$\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 고수온에 따른 남해안 멸치 알과 자어 분포 및 어획량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egg and larval distributions and catch changes of anchovy in relation to abnormally high sea temperature in the South Sea of Korea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4 no.3, 2018년, pp.262 - 270  

유준택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김영혜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송세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이승환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gg and larval distributions and catch changes of anchovy in relation to abnormally high sea temperature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summer 2015 and 2016. The densities of anchovy eggs and larvae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were lower in July-August 2016 tha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 여름철 이상 고수온에 따른 남해안 멸치의 난·자어의 분포 및 어획량 변동 특성을 2015년과 비교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6년 여름철 이상 고수온에 따른 남해안 멸치의 난·자어의 분포 및 크기별 어획량 변동 특성을 2015년과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 , 2008). 본 연구에서는 이들 멸치 어획자료를 유영생활이 불가능한 자어, 유영생활이 가능한 치어, 성어로 다시 정리하여 멸치 어획량 변동을 크기별로 세세히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멸치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멸치는 치어단계부터 여러 형태의 가공품, 젓갈 등으로 판매되어지고 있어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고, 대부분 남해안에서 어획된다(Kim and Lo, 2001; Kim et al., 2013).
남해안에서 멸치가 잡히는 양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 2013). 남해안에서 멸치는 2000년대 들어 연간 20만톤 이상 어획되고 있으나, 연도별·계절별 어획량 변동은 심하다(Ko et al., 2010).
수온변화로 인한 멸치 어획량 변동은 어떻게 추정되는가? 한편, 기상청이 발간한 2016년 이상기후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연평균 기온은 1973년 이래 가장 높았고, 8월 수온은 평년보다 7~8℃ 높아 양식생물 대량 폐사 등의 피해가 있었다(KMA, 2017). 이러한 이상 고수온 발생에 따른 급격한 수온상승은 남해안 멸치 어장에서 멸치의 산란량 및 초기가입량도 변동시켜, 이로 인해 멸치 어획량은 크게 변동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멸치 어장에 이상고수온이 발생하였을 때 일어나는 멸치의 생물·생태학적 변화와 어획량 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고, 이들 변화 및 변동에 관한 정보의 축적 없이는 향후 이상고수온 발생 시 멸치 어황을 정도 높게 신속히 예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 BY, Yang WS, Kim JI, Jang SI, Chu EK and JS Park. 2008. Spawning density and recruitment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2007. Korean J Ichthyol 20, 190-197. 

  2. Choo HS 2002. The variations of oceanic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J Korean Fish Soc 35, 77-85. 

  3. Choo HS and DS Kim. 1998.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s on the egg and larval transport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31, 226-224. 

  4. Kim JK, Ryu JH, Kim S, Lee DW, Choi KH, Oh TU, Hwang KS, Choi JH, Kim JN, Kwun HJ, Ji HS and JN Oh. 2011. An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 Hanguel graphics, Busan, Korea, 1-350. 

  5. Kim JY, Lee SK, Kim SS and MS Choi. 2013.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anchovy reproductive potential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Ani Cell Sys 17, 133-140. (DOI:10.1080/19768354.2013.782896) 

  6. Kim JY and NCH Lo. 2001. Temporal variation of seasonality of egg production and the spawning biomas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1983-1994. Fish Oceanogr 10, 297-310. (DOI:10.1046/j.1365-2419.2001.00175.x) 

  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ation). 2017. 2016 abnormal climate report, KMA, 1-190. 

  8. Ko JC, Seo YI, Kim HY, Lee SK, Cha HK and JI Kim.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Yeosu and Tongyeong coastal waters of Korea. Korean J Ichthyol 22, 256-266. 

  9. Lee CI and HJ Kim. 2007. Effect of temperature on anchovy catch and laver production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of Korea. J Environ Sci 16, 897-906. 

  10. Lee CI, Jang LH and SE Park. 2009.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main spawning period on anchovy catch. Korean J Fish Aquat Sci 42, 297-301. 

  11. Nojima M and Y Nakamura. 1988. Biological study on the shirasu in the adjacent waters to Satsunan sea region. Bull Jap Soc Fish Oceanogr 52, 248-252. 

  12. Mitani I. 1988. Cnaracteristics of daily age composition of larva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fishing ground in Sagami Bay. Nippon Sui Gak 54, 209-214. (DOI:10.2331/suisan.54.209) 

  13. Park JH, Im YJ, Cha HK and YS Suh.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ceanographic and fishing conditions for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Korean Soc Fish Res 6, 46-53. 

  14. Park JH and JH Lee. 1991.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fishing ground and the fluctuation of fishing condi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catched by anchovy drag net. Bull Korean Fish Tech Soc 27, 238-246. 

  15. Takasuka A and I Aoki. 2002. Growth rates of larval stag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Kuroshio extension and Kuroshio-Oyashio transition regions, western north Pacific ocean. Fish Sci 68 (supplement I), 445-446. (DOI:10.2331/fishsci.68.sup_445) 

  16. Tsuruta Y. 1992. Reproduction in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as related to population fluctuation. Bull NRIFE 13, 129-168. 

  17. Tsuruta Y. 2001. Life history strategy of Japanese anchovy. Nippon Sui Gak 67, 1133-1134. 

  18. Tsuruta Y. 2006. Planning of egg stock assessments according to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nchovy. Bull Fish Res Agen supplement 4, 41-48. 

  19. Uotani I, Iwakawa T and K Kawaguchi. 1993. Experimental study on the formation mechanisms of Shirasu (postlarval Japanese anchovy) fishing grounds with special reference to Turbidity. Nippon Sui Gak 60, 73-78. (DOI:10.2331/suisan.60.7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