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귀주성의 묘족과 포의족의 납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batik of Miao and Buyi in GuiZhouSheng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4, 2018년, pp.531 - 546  

멍위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김지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examine techniqu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atik by focusing on the work of DanZhai and that of ZhenNing Buyi. We collected 50 pieces of batik each from Miao and Buyi in Chinese GuiZhouSheng and then analyzed their colors and patterns. The fi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채 묘족과 진녕 포의족의 납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묘족은 단채(丹寨), 황평(黄平), 안순(安顺) 등의 지역에서, 포의족은 안순(安順), 진녕(鎭寧), 관령(关岭)등에서 납염을 하고 있다. 그 중 단채 묘족과 진녕 포의족의 납염은 전통적 제조방식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까지 귀주성에 거주하고 있는 부녀자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고 있다.
납염이란 무엇인가? 그 대표적 사례로 중국 남부 귀주성(贵州省)에 거주하고 있는 묘족(苗族), 포의족(布依族)의 납염은 2,000여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중국의 전통 납염을 대표한다고 평가받고 있다. 납염은 염색의 한 기법으로써 밀랍으로 그림을 그린 후 문양을 방염 처리하여 무늬를 얻는 것을 말한다. 납염에 있어 문양은 그 민족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후 유구한 역사를 통하여 변화, 발전되어 왔다.
납염 또는 납방염(蜡防染)은 국가 별로 어떻게 명명되었는가? 방염을 통해 문양을 만드는 염색 기법은 고대인도, 이집트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행하여 왔다. 인도네시아의 친츠 바틱(chintz batik)은 국제 공용어로 이란에서는 칼람카리(kalamkari)라고 하고, 중국, 일본에서는 화포(花布), 인화포(印花布)(Lee, 2008) 등으로 명명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납염 또는 납방염(蜡防染)이라고 하며, 파라핀(paraffin)염이라고 불리고 있다(Park & Ra,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en, Y. C. (2007). 中?苗族文化的民族??究 [An ethnological study of Chinese Miao ethnic cul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nzu University of China, Beijing, China. 

  2. Chun, H.-S., Bai, J., & Kim, H.-S. (2007). A study on the women's costume of red Miao in Guizhou China (I): Comparing with the costume of red Miao between modern and the Quing Dynasty(淸代).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3), 101-116. 

  3. Color & Design Institute & Union Color Tech. (n.d.). KS 표준색 C&D 155b [KS Standard Color C & D colors-155b]. Seoul: Korea Color Design Institute. 

  4. He, C., & Yang, W. B. (2009). 中??? ?州?染 [Guizhou Batik]. Suzhou: Suzhou University Press. 

  5. Hyun, S. H., & Bae, S. J. (2007).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Korean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6), 985-996. doi:10.5850/JKSCT.2007.31.6.985 

  6. Jia, J. S. (2013). 中??代民?手工?染工?文化?究 [Research on Chinese modern folk handicraft batik culture]. Beijing: Tsinghua University Press. 

  7. Jung, J. N. (2007). 중국 소수민족 연구: 소수민족으로 분석하는 중국 [Chinese minority studie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8. Kim, H.-S. (1998).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the pattern in the Miao costume in Chin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 83-102. 

  9. Kim, H.-S. (2009). A study on pattern of the Miao costume in China: Focusing on the paraffin dyeing embroidery weavi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31-42. 

  10. Kim, H. S., & Lim, Y. J. (1998). A study on the costume of the Miao Tribe in China: Focusing on 湘西 style and 黔束 style in female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6, 77-95. 

  11. Kim, S.-Y. (2013).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batik in Indones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5), 676-690. doi:10.5850/JKSCT.2013.37.5.676 

  12. Kim, Y.-D. (1992). A study on the moulding expression of batik. 기전여자전문대학 논문집 [Kijeon Women's College Collection of Papers], 12, 107-127. 

  13. Kim, Y.-S. (2010). A study on Miao people batik dyeing of Guizhou province in Chin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2), 63-79. 

  14. Kim, Y.-S., & Hong, J.-M. (1999). A study on traditional costume of China's Guizhou province: Focusing on Bouyei peopl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3(3), 49-57. 

  15.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Ed.). (1998). Dictionary of art. Seoul: Author. 

  16. Lee, D. (2015). Buyi batik research and innovative in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Beijing, China. 

  17. Lee, E. O.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in Korean textil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3(3), 271-280. 

  18. Lee, K. H., Yoon, J. W., & Han, J. A. (2007).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specialized in the traditional costume of the Miao.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5), 902-915. 

  19. Lee, K. S. (1994). 텍스타일 프린트 디자인 [Textile print design]. Seoul: Hyeonamsa. 

  20. Lee, M. J. (2008). A study on Miao batik (The art of crafts) in Guizhou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M. J., & Sohn, H. S. (2011a). A study on the efficacy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anzhai Miao batik of Guizhou Chin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2), 23-38. 

  22. Lee, M.-J., & Sohn, H.-S. (2011b). Research on dyeing crafts of Chinese indigo dyed desig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2), 376-388. 

  23. Lim, S. Y. (2014). A study on textile pattern design development method applying one un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4), 581-590. 

  24. Ma, Z. R. (2003). 民族民?????: ?州?染 [Batik of Guizhou China]. Guizhou: GuiZhou Nationalities Press. 

  25. Park, H.-J., & Ra, J.-Y. (2014). The case study of textile design using soy wax resist.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5, 147-156. 

  26. Park, S. O., & Yeom, H. S. (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n home interior textile design: Focusing on the products of Marimekko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2), 225-237. 

  27. Wu, Z., & Lee, H.-J. (2006).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aces' costumes in Chinese contemporary costum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6), 956-970. 

  28. Zhang, Y., & Kim, S.-J. (2011). Fashion design studies on reinterpretation of Chinese ethnic minority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2), 175-183. 

  29. Zhou, Y. (2013). ?去花?: ?州少?民族???染手工??究 [Remove the wax see flowers]. Beijing: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