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냉동창고 화재 사례를 기반으로 하는 NFPA 921 CODE에 의한 과학적 화재조사 연구
Scientific fire investigation by NFPA 921 CODE based on frozen warehouse fire ca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78 - 85  

박경진 (인제대학교 재난관리학과) ,  이영기 (경상남도소방본부 양산소방서) ,  차성식 (인제대학교 재난관리학과) ,  정도영 (인제대학교 재난관리학과) ,  김장오 (인제대학교 재난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7년 20건의 화재가 발생한 냉동창고 화재사례중 발화원인의 판정에 다수의 의견이 존재하였던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론은 NFPA 921 CODE에서 규정하고 있는 과학적 화재조사 방법이다. 과학적 화재조사 방법은 가설설정을 통한 논리적 추론에 의한 화재조사 방법으로 발화원인 판단에 오류를 최소화 시킨다. 반면에 비과학적 화재조사 방법은 발화원인의 판단에 주관적 추측, 추론적 판단 등의 비합리적 요소의 개입으로 많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는 결국 인적, 물적 책임의 문제 및 학문적 퇴보를 가져온다. 특히 목격된 화재(Sighted fire)에 비해 목격되지 않는 화재(Fire not seen)의 경우 원인조사에 있어서 더 많은 발화원인 의 오류를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시 **마트에서 발생한 냉동창고 정온전선의 화재사례에 대해 화재조사 보고서의 검토, 현장조사를 바탕으로한 가설A 와 가설B의 설정하였다. 설정된 가설은 NFPA 921 code 규정하고 있는 연역적 검정 방법중 실험으로 검정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향후 목격되지 않는 화재(Fire not seen) 및 원인 불명 화재의 발화원인 판단에 NEW Paradigm의 구축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 자료는 냉동창고 제조사 및 운영사에 통보, 화재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ases where there were many opinions in the judgment of the cause of ignition in the case of 20 cases of frozen warehouse fire that occurred in 2017.The research methodology is the scientific fire survey method prescribed by the NFPA 921 CODE. Scientific fire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20건의 화재가 발생한 냉동창고 화재사례중 발화원의 판정에 조사관의 각기 다른 주장이 존재하였던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론의 불일치는 시간의 부족, 인원의 부족, 비과학적인 화재조사등에 기인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발생한 **마트의 냉동창고 화재 사례를 NFPA 921 CODE의 과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화원인으로 파레트에서 화재가 시작되었다는 가설A와 정온전선의 트레킹현상으로 화재가 시작되었다는 가설B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선소방서에서의 비과학적, 개별적 화재조사 방법에 통일성, 규범성을 기하고자 오랫동안 미국에서 규범으로 존재하는 NFP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921 CODE〔2〕에 의한 과학적 화재조사 기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가설설정을 통한 논리적 추론에 의한 화재조사는 발화원인 규명에 있어서 과학성〔3〕, 객관성, 신뢰성을 부여함은 물론 화재원인의 규명에 오류〔4∼5〕를 최소화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11. (a) Main circuit breaker not working and (b) The auxiliary circuit breaker does not work.
  • 19. (a) Current change graph and (b) The circuit breaker does not work.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발생한 **마트의 냉동창고 화재 사례를 NFPA 921 CODE의 과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화원인으로 파레트에서 화재가 시작되었다는 가설A와 정온전선의 트레킹현상으로 화재가 시작되었다는 가설B를 설정하였다. 가설은 NFPA921 CODE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역적 방법 중 실험에 의한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 셋째. 최대 열방출률에서 정온전선의 용융,탄화흔이 발견되지 않은점, 20회 동안의 인위적 트레킹 실험 결과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지 않은점을 근거로 파레트가 최초 발화지점이라고 주장한 가설 A를 기각하고 정온전선의 트레킹현상으로 용융물이 배수관에 착화, 파레트로 전이되면서 V형 패턴의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가설B의 의견을 인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는 크게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화재는 크게 목격된 화재(Sighted fire)와 목격되지 않는 화재(Fire not seen)로 구분할 수 있다. 목격된 화재는 CCTV의 관찰, 직·간접 목격자의 진술로 발화지점을 명확히 판정 할 수 있다.
목격되지 않은 화재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또한 발화원인의 규명에 있어서도 특별한 이견이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목격되지 않은 화재는 소화작업, 인명구조, 안전조치 등의 단계에서 파괴 이동되어 증거자료의 많은 부분이 소실, 원형 변경이 되어 화재원인 규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과학적 화재조사의 두번째 단계는? 특히 목격되지 않은 화재의 경우 필요성은 증대된다. 두 번째 단계는 현장검증, 화재조사의 재검토, 관계자 인터뷰, 화재재현 실험을 통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론적인 정의를 내리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과제해결을 위한 자료의 수집단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E-Fire Statistics", 2017. 

  2. NFPA, "NFPA921 Guide for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ions 2014 Edition", pp.11-19, 2014 

  3. National Fire Agency, Fire Tactics, Vol.1, pp.235, 2016. 

  4. Eui Pyeong Lee, A Study on Measures to Minimize Errors in the Judgment of Fire Cau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3, No.3, pp.139-146, 2012. DOI: https://dx.doi.org/10.9798/KOSHAM.2013.13.3.139 

  5. Eui Pyeong Lee, Cause Analysis of Errors in the Judgement of Fire Cau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3, No.2, pp.209-216, 2013. DOI: https://dx.doi.org/10.9798/KOSHAM.2013.13.2.209 

  6. Se-hong Min.Byeong-jun Song, A Study on Ignition and Fire Risks of Electric Heat Wir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17, No.4, pp.115, 2015. DOI: https://dx.doi.org/10.12812/ksms.2015.17.4.113 

  7. Automation parts, A Satisfactory Partner of Factory Automation, Future Development Front Materials, 2009, http://blog.naver.com/msj3692/70073573333, 2017.0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