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속 카메라와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한 삭마 재료의 정량적 표면 침식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for Surface Recession of Ablative Materials Using High-speed Camera and 3D Profilometer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6 no.9, 2018년, pp.735 - 741  

최화영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노경욱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천재희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신의섭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카메라와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재료의 표면 침식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대기권 재진입 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0.4 MW 아크 가열 풍동을 이용하여 흑연과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삭마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삭마 실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침식량과 침식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전후 시편의 표면 형상을 측정하였으며, 시편의 높이 차이로부터 침식량 분포를 정밀하게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 침식 현상을 종합 분석하는데 있어서 두 측정 결과를 상호 보완하는 것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surface recession of ablative material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a high-speed camera and a three-dimensional profilometer. The ablation tests of the graphite and carbon/phenolic composite samples were performed using a 0.4 MW arc-heated wind tunnel for simulating the at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카메라와 삼차원 표면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재료의 표면 침식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0.4 MW 아크 가열 풍동을 이용하여 흑연 및 탄소/페놀릭 복합재료 시편의 삭마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고속 카메라는 플라즈마 유동에 의한 표면 침식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사용하였고,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흑연 시편이 선형적으로 침식한 후 유동 노출 시간 이후에 수축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7의 (c)에 도시하였다. 가장자리의 한 지점(▲)과 열 유속이 집중되는 중앙 부분(◆)을 샘플링하여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였다.
  • 측정에 사용된 초고속 카메라는 프레임률 86,400 fps(frame per second)까지 촬영이 가능하지만 프레임률을 크게 하면 큰 저장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분석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흑연 시편 250 fps, 탄소/페놀릭 복합재료 시편 125 fps으로 설정하여 촬영하였다.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흑연과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촬영 영상을 각각 7초, 9초 간격으로 샘플링 하였다.
  • 시편의 지름은 20 mm이고, 모서리에 필렛(fillet)이 있는 원통 형상이다. 또한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해 시편 내부에 열전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지름 1.6 mm의 작은 구멍을 설계하였다. 시편의 자세한 도면과 사진은 Fig.
  • 실험 중 초고속 카메라 촬영을 통해 삭마 재료의 침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실험 전후 시편의 표면을 측정하고 침식량을 분석하였다. 표면 침식량 분석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두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0.4 MW 아크 가열 풍동을 이용하여 흑연과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삭마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중 초고속 카메라 촬영을 통해 삭마 재료의 침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카메라와 삼차원 표면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재료의 표면 침식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0.
  • 삭마에 의한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기 위해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실험 전후의 시편 표면을 측정하였다. 표면 측정을 위해 5배율의 대물렌즈를 사용하였고, 종/횡 방향의 분해능을 각각 1 µm, 10 µm로 설정하여 미세한 형상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측정한 거리를 mm 단위로 환산하여 시간에 따른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였다. 삼차원 표면 측정기는 시편이 식은 후의 표면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와 비교하기 위해 각 시편의 영상을 50초까지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한 침식량 결과는 시편이 완전히 식은 후에 측정되었기 때문에 유동 노출 시간 이후의 초고속 카메라 침식량 결과와 비교하였다. 흑연 시편의 침식량 A와 B는 64.
  • 표면 측정을 위해 5배율의 대물렌즈를 사용하였고, 종/횡 방향의 분해능을 각각 1 µm, 10 µm로 설정하여 미세한 형상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삼차원 표면 측정기의 후처리 소프트웨어(IF-Measure Suit 5.1)를 사용하여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고 가시화하였다. 삭마실험 전후 시편의 표면 좌표 데이터는 직교 좌표계의 x, y, z 성분으로, 약 5백만 개 이상의 포인트(point)로 구성된다.
  • 5와 같다. 실험 전후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하기 위해 치공구(fixture)에 시편을 고정하고 기준면과 측정 범위를 설정하였다. 표면 측정기와 연동된 측정 소프트웨어(IF-Laboratory Measurement Module 5.
  • 4 MW 아크 가열 풍동을 이용하여 흑연과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삭마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중 초고속 카메라 촬영을 통해 삭마 재료의 침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실험 전후 시편의 표면을 측정하고 침식량을 분석하였다.
  • 7의 (a)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 영상을 겹쳐 표면 침식 변화를 가시화한 그림이다. 영상이 0초일 때 시편 표면의 중앙부를 기준선으로 설정하고, 픽셀 단위로 기준선과의 거리를 산출하였다. 측정한 거리를 mm 단위로 환산하여 시간에 따른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였다.
  • 초고속 카메라(FASTCAM SA2, Photron Co.)와 삼차원 표면 측정기(IFM G4, Alicona Co.)를 사용하여 시편 표면을 촬영하였다. 각 장비의 사양은 Table 2와 같다.
  • 초고속 카메라는 Fig. 4와 같이 설치되어 삭마실험이 수행되는 동안 플라즈마 유동에 노출되는 시편의 표면 변화를 측면에서 촬영하였다. 이 장비는 10 µm 픽셀 센서를 사용하며, 최소 2.
  • 4 MW 아크 가열 풍동을 이용하여 흑연 및 탄소/페놀릭 복합재료 시편의 삭마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고속 카메라는 플라즈마 유동에 의한 표면 침식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사용하였고,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흑연 시편이 선형적으로 침식한 후 유동 노출 시간 이후에 수축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탄소/페놀릭 복합재료 시편은 0~5초까지 팽창하였으며, 이후 일정한 표면 침식률을 보였다.
  • 여기서 기호 A, D는 유동 노출 시간 이후 초고속 카메라로 측정된 침식량이고, B, E는 삼차원 표면 측정기로 측정된 시편 중앙 지점의 침식량이다.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침식량과의 경향성 비교를 위해 삼차원 표면 측정기의 침식량은 시편 표면의 최대높이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C, F는 삼차원 표면 측정기로 측정된 시편 가장자리 지점의 침식량을 의미한다.
  • 영상이 0초일 때 시편 표면의 중앙부를 기준선으로 설정하고, 픽셀 단위로 기준선과의 거리를 산출하였다. 측정한 거리를 mm 단위로 환산하여 시간에 따른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였다. 삼차원 표면 측정기는 시편이 식은 후의 표면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와 비교하기 위해 각 시편의 영상을 50초까지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 표면 측정을 위해 5배율의 대물렌즈를 사용하였고, 종/횡 방향의 분해능을 각각 1 µm, 10 µm로 설정하여 미세한 형상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또한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삭마 실험 전후 시편의 표면을 측정하고 침식량을 분석하였다. 표면 침식량 분석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두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흑연 시편 250 fps, 탄소/페놀릭 복합재료 시편 125 fps으로 설정하여 촬영하였다. 표면 침식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흑연과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촬영 영상을 각각 7초, 9초 간격으로 샘플링 하였다. Fig.
  • 2와 같다. 플라즈마 유동을 생성하기 위하여 시험실(test chamber)과 분절형 아크 히터(segmented arc-heater) 내부를 진공 상태로 조성하고, 분절형 아크 히터에 아르곤과 공기를 공급하였다. 유동 조건은 Fig.

대상 데이터

  • 삭마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흑연(GR, graphite)과 탄소 섬유 강화 페놀릭 기지 복합재료(CP, carbon fiber reinforced phenolic matrix composites)이다. 시편의 지름은 20 mm이고, 모서리에 필렛(fillet)이 있는 원통 형상이다.
  • 삭마 실험은 전북대학교 고온플라즈마응용연구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0.4 MW 아크 가열 풍동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풍동의 개략도는 Fig.
  • 삭마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흑연(GR, graphite)과 탄소 섬유 강화 페놀릭 기지 복합재료(CP, carbon fiber reinforced phenolic matrix composites)이다. 시편의 지름은 20 mm이고, 모서리에 필렛(fillet)이 있는 원통 형상이다. 또한 내부 온도 측정을 위해 시편 내부에 열전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지름 1.
  •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삭마 실험동안 시편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초고속 카메라는 프레임률 86,400 fps(frame per second)까지 촬영이 가능하지만 프레임률을 크게 하면 큰 저장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분석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 보호 시스템 삭마현상은 어떠한 변화를 수반하는가 열 보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탄소/페놀릭, 탄소/탄소 복합재료 등과 같은 삭마 재료는 재진입 환경에서 표면 물질을 소모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많은 열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삭마(ablation) 현상을 겪는다[2]. 이 현상은 표면 침식과 같은 재료 소모와 함께 열분해, 수축 및 팽창 등 열화학적 변화를 수반한다[3]. 이 중 표면 침식량은 열 보호 시스템의 두께를 결정하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주요 인자로써 고려되어야 한다[4].
삼차원 표면 측정기는 어떠한 장비이고 어떻게 표면 형상을 측정하는가 사용된 삼차원 표면 측정기는 초점 변화(focus variation) 원리를 이용한 광학식 측정 장비이다. 비 접촉식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시편 표면에서 반사되는 가시광선을 검출함으로써 미세한 표면 형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최대 10 nm의 해상도까지 측정 가능하다. 삼차원 표면 측정기를 이용한 삭마 재료의 표면 측정 과정은 Fig.
표면 침식량을 설계 단계에서 주요 인자로 고려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현상은 표면 침식과 같은 재료 소모와 함께 열분해, 수축 및 팽창 등 열화학적 변화를 수반한다[3]. 이 중 표면 침식량은 열 보호 시스템의 두께를 결정하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주요 인자로써 고려되어야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plinter, S. C., Bey, K. S., and Gragg, J. G., "Comparative Measurements of Earth and Martian Entry Environments in the NASA Langley HYMETS Facility," 49th AIAA Aerospace Sciences Meeting including the New Horizons Forum and Aerospace Exposition, Jan. 2011. 

  2. Yun, N. G., Jung, B., and Cho, Y. J., "Ablative Composite Materials for Rocket propulsion System," Composites Research, Vol. 3, No. 2, 1990, pp. 57-64. 

  3. Zahra, E., Farchad, Y., and Mir, A. M.,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henolic-based Compodites Reinforced by Carbon Fibres and Multiwall Carbon Nanotubes,"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Vol. 72, 2015, pp. 22-31. 

  4. David, M. D., Michael, W. O., Michael, D. B., and Matthew, M., "Understanding High Recession Rates of Carbon Ablators Seen in Shear Tests in an Arc Jet," 48th AIAA Aerospace Sciences Meeting Including the New Horizons Forum and Aerospace Exposition, Aerospace Sciences Meeting, AIAA Paper 2010-1177, Orlando, Florida, USA, 2010. 

  5. Albert, T., Carl, F., Michael, R., and Joseph, R., "Development of a closed pore insulation material," NASA Contractor Report 2254, Washington, DC, 1973 

  6. Stefan, L., and Thomas, R.,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hotogrammetric Surface Analysis of Heat Shield Materials during Plasma Wind Tunnel Testing," 7th European Workshop on Thermal Protection Systems and Hot Structures, Noordwijk, the Netherlands, 2013. 

  7. Helber, B., Asma, C., Babou, Y., Magin, T., and Chazot, O.,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Material Response of Carbon Composite Ablators in the VKI Plasmatron Facility," 17th AIAA International Space Planes and Hypersonic Systems and Technologies Conference, 2011. 

  8. Kim, N. J., Oh, P. Y., and Shin, E. S., "A Study on Surface Properties of Ablative Materials from 0.4MW Arc-heated Wind Tunnel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3, No. 12, 2015, pp. 1048-10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