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on Science Positive Experience: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2, 2018년, pp.214 - 229  

문주영 (화성상봉초등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과학 '지구와 달' 단원에서 다양한 교과를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과학 중심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긍정 경험(과학관련 태도, 학습정서,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자아개념 및 진로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H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이고, 연구반(30명)과 비교반(34명)으로 나누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반에 적용하였고, 비교반은 교사용 지도서 지침에 근거한 일반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긍정 경험의 하위영역인 과학 학습정서,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진로 포부, 과학 관련 태도 능력의 신장 등에 효과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였고,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하였으며, 즐겁게 몰입하게 하여서 과학학습에 대한 어려움이나 불안감에 부딪혀도 포기하지 않는 원동력을 주어서 과학긍정 경험을 이끌어 내는데 유용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은 학생들과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으로 학생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참여형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은 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based STEAM program on the positive scienc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4 fourth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구와 달’ 단원을, 과학중심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과학’은 모든 학생이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을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 창의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과로 명시하고 있다. 목표로는 학생들의 생활의 경험과 관련이 있는 상황을 통하여 과학 지식과 탐구 과정을 즐겁게 학습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올바른 상호 관계를 인식하며 올바른 민주 시민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탐구과정을 통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해결,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다(MOE, 2015).
  • 본 연구는 과학긍정 경험 검사를 측정하기 위하여 Shin et al. (2017b)이 개발한, 평가문항이 상세하고 신뢰도가 입증된(Cronbach α = .962) 과학 긍정경험(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PES)) 검사의 문항을 토대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과의 내용을 재구성한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H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선정하였고, 1개 반은 과학중심 STEAM(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연구반(30명), 나머지 1개 학급은 비교반(34명)으로 통제하여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과학, 수학, 기술, 공학, 예술적요소를 유기적으로 융합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지구환경의 극한 상황 제시를 시작으로 달기지를 만들어 가는 창의적설계와 학교 밖 체험학습과 연계한 감성적 체험의 과정 속에서 탐구과정의 하나인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학습전략으로 4학년 2학기 ‘4.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글 읽기에서 학습주제에 맞는 흥미와 관심을 가질 만한 기사거리, 친구들의 글, 재미있는 교재내용을 읽는 활동을 통하여 ‘지구와 달’에 대한 무한한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 철사를 이용해 비닐봉지 입구를 원으로 만든 다음, 철사를 이용해 종이컵을 매달아 알코올로 불을 붙여 띄워보았다. 이것은 화재의 위험이 있어 아이들이 직접 고안한 모형을 교사가 같이 시범적으로 진행하였고, 모형 열기구가 어떻게 되는지, 열기구가 뜨는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인지, 공기의 어떠한 성질을 이용한 것인지 모둠 별로 각자 토의해보고 발표하였다(S). 또한 잘 되지 않는 모둠은 풍선 열기구로 대체하여 자신이 열기구를 타고 우주여행을 하는 체험을 상상하여 글로 써보는 과학글쓰기로 마무리하였다.
  • STEAM 교육은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학문간의 연계를 지향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학생 스스로 설계하고, 기존에 배운 지식과 아이디어를 실생활에 적용함으로써 교과 간에 자연스럽게 연계와 융합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Kim, 2011). 이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산출물을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학문에 대한 희열과 즐거움을 경험하는 체험 위주의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인재는 교육 현장뿐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의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창의적 사고로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통합하여 의사소통과 협력으로 문제를 수행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들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이나 직접 관찰이 어려운 과학적 상황에서 교과 교육과정 내에서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타 교과를 연계한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긍정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 교육의 목적은? STEAM 교육은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학문간의 연계를 지향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학생 스스로 설계하고, 기존에 배운 지식과 아이디어를 실생활에 적용함으로써 교과 간에 자연스럽게 연계와 융합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Kim, 2011). 이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산출물을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학문에 대한 희열과 즐거움을 경험하는 체험 위주의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인재는 교육 현장뿐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의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창의적 사고로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통합하여 의사소통과 협력으로 문제를 수행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STEAM 교육이란 무엇인가? STEAM 교육은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학문간의 연계를 지향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학생 스스로 설계하고, 기존에 배운 지식과 아이디어를 실생활에 적용함으로써 교과 간에 자연스럽게 연계와 융합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Kim, 2011). 이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산출물을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학문에 대한 희열과 즐거움을 경험하는 체험 위주의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과학학습의 정의적 영역의 특성이 중요한 이유는? 과학 학습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의 특성은 학습자를 인지적 참여에 적극적으로 몰입하게 하고, 보다 높은 차원의 인지활동이 가능하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학업성취와 더불어 매우 중요하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학생중심 교육과정과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도 과학에 대한 긍정경험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rliner, D. C. (1992). Redesigning classroom activities for the future. Educational Technology, 32, 7-13. 

  2. Bol, L., & Strage, A. (1996). The contradiction between teacher's instructional goals their assessment practices in high school biology courses. Science Education, 82, 145-163 

  3. BSCS (1993). Developing biological literacy (pp. 107-124). Dubuque, IA: Kendall/Hunt. 

  4. Choi, S., Goo, J., Kim, J., Park, S., Oh, E., & Kim, J. (2013).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RRE 2013-18).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DeBoer, G. E. (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6. Friedman, S. M., Dunwoody, S., & Rogers, C. L. (1986). Scientists and journalists: Reporting science as news. New York, NY: The free press. 

  7. Han, A., & Lee, H. (2001). The effect of science reading program on scie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3, 159-178. 

  8. Hong, J. (2001). The effects of STS instructional programs centered on decision making activities for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Biology Education, 29(4), 375-381. 

  9. Kim, K. (2015). An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lesson apply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on essay-test achievemen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Kim, J. (2011). A cubic model for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2), 124-139. 

  11. Lee, M., & Kim, G. (2004).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2), 399-407. 

  12. Lee, H., Moon, G., & Kim, Y. (2007). A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 Biology Education, 35(2), 329-336. 

  13. Lim,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and their perception of science career.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5(3), 227-238. 

  14. Lim, S., Hong, E., & Yang, I., & Lim., J. (2011). Correlation of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to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5), 758-769.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Sejong, Korea: Author.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7. Norris, S., & Phillips, L.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18. Oh, H. (2011).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on scienc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Ohn, J., Kim, G., Park, H., Hong, E., & Hwang, G. (2015). Research on development of the general guidelin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jong,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 Park, J., & Shin, Y. (2015). The effects of science-based STEAM class on the children's concept formation of heat transfer.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6(2), 1-23. 

  21. Shin, S, Ha, M., & Lee, J (201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75-86. 

  22. Shin, Y., Kang, H., Kwak, Y., Kim, H., Lee, S. Y., & Lee, S. H. (2017a).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s. Biology Education, 45(1), 41-54. 

  23. Shin, Y., Kwak, Y., Kim, H., Lee, S. Y., & Lee, S. H., Kang, H. (2017b).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335-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