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흉부팬텀을 이용한 변형된 늑골 사방향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ffectiveness in a Modified Rib Oblique Projection View Using a Chest Phanto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2 no.4, 2018년, pp.525 - 532  

엄기태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이민수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강성진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늑골의 사방향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변화가 아닌 X-선관의 수평 축방향 각도 변화를 적용하여 영상화 하였다. 인체 모형 팬텀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늑골 사방향의 표준 검사 방법을 적용한 대조 영상과 중심 X-선을 팬텀의 수직 입사 방향으로부터 오른쪽 수평 축 방향으로 $5^{\circ}$ 간격으로 $5^{\circ}$부터 $30^{\circ}$까지 6단계의 입사각도 변화를 적용한 변형 사방향 실험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비교 평가를 위해 대조영상을 기준으로 실험 영상의 관심 영역 별 SNR과 CNR을 계산하였다. 또한 대조 영상의 좌 우 늑골 비율과 실험 영상의 X-선 입사각도 별 좌 우 늑골 비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25^{\circ}$의 X-선 입사 각도를 적용한 실험 영상이 표준 검사 방법을 적용한 대조 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SNR과 CNR, 좌 우 늑골 비율의 측정값에서 가장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변형 늑골 사방향 검사는 환자의 검사 자세 유지가 어려울 경우 적용할 수 있는 늑골 사방향 검사 방법으로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ilmed by applying the axial angle variation of the X-ray tube instead of the patient's position change during the perimetric examination of the ribs. A Reference image with the rib oblique examination using a chest phantom and experimental images applied with a six-phase variation i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음주나 약물 투여 및 외상에 의한 의식(consciousness) 저하나 불명(unconsciousness)의 경우 환자의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검사가 제한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늑골의 사방향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변화가 아닌 X-선관의 축 방향 각도 변화를 적용하여 영상화함으로써 환자의 자세 변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검사자의 도수적 자세 유지에 대한 개입을 줄여 간접 피폭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늑골의 정확한 묘사가 가능한 영상의 획득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늑골 사방향 검사방법에서 앞서 기술한 문제적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변형 늑골 사방향 검사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변형 늑골 사방향 검사 방법은 환자의 자세를 사위자세(oblique position)로 유지하지 않는 대신, X-선의 입사 각도를 환자의 좌·우 체축(transverse axial)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동일한 영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자세 변화나 검사자의 자세 유지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늑골 골절로 인하여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늑골 골절의 일차적 진단에 사용되는 X-선 검사는 폐(lung) 및 심장(heart)의 음영과 척추의 추체(vertebra body)와 돌기(process),흉골(sternum)과 종격(mediastinum) 구조물 등의 겹침과 흉곽 자체의 두께와 부피로 인한 기하학적 불 선예도가 증가할 수 있는 요소가 상존하기 때문에 이의 정밀한 묘사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특히나 늑골 골절로 인하여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 있어서는 편안한 검사 자세 유지와 신속한 검사를 위한 검사자의 숙련도, 적절한 노출조건의 설정 등이 중요하다[1]. 늑골 골절의 다양한 양상과 골절 위치의 정확한 묘사를 위해서는 전·후면 검사와 더불어 좌·우 사방향(oblique projection) 검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전·후면 검사와 더불어 좌·우 사방향 검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늑골 골절의 다양한 양상과 골절 위치의 정확한 묘사를 위해서는 전·후면 검사와 더불어 좌·우 사방향(oblique projection) 검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방향 검사의 시행에는 늑골 손상을 가진 환자 스스로 검사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검사자의 도수적(manipulative) 검사 자세 교정은 늑골 손상뿐만 아니라 기타 외상을 더욱 악화 시킬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음주나 약물 투여 및 외상에 의한 의식(consciousness) 저하나 불명(unconsciousness)의 경우 환자의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검사가 제한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늑골의 사방향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변화가 아닌 X-선관의 축 방향 각도 변화를 적용하여 영상화함으로써 환자의 자세 변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검사자의 도수적 자세 유지에 대한 개입을 줄여 간접 피폭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늑골의 정확한 묘사가 가능한 영상의 획득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X-선 검사의 정밀묘사 어려움의 이유는 무엇인가? 늑골 골절은 외상, 상해, 스포츠 활동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다. 늑골 골절의 일차적 진단에 사용되는 X-선 검사는 폐(lung) 및 심장(heart)의 음영과 척추의 추체(vertebra body)와 돌기(process),흉골(sternum)과 종격(mediastinum) 구조물 등의 겹침과 흉곽 자체의 두께와 부피로 인한 기하학적 불 선예도가 증가할 수 있는 요소가 상존하기 때문에 이의 정밀한 묘사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특히나 늑골 골절로 인하여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 있어서는 편안한 검사 자세 유지와 신속한 검사를 위한 검사자의 숙련도, 적절한 노출조건의 설정 등이 중요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 K. Kim, "A Study on the Best Method in Radiography of Upper Rib Fracture," Article of Daegu Industrial Information College, Vol. 15, pp. 313-319, 2001. 

  2. H. Y. Kim, M. Y. Kim, "Management of Patients with Ribs Fractures: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ol. 43, No. 3, pp. 285-291, 2010. 

  3. E. M. Bulger, M. A, Arneson, C. N. Mock, G. J. Jurkovich, "Rib fractures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Trauma, Vol. 48, No. 6, pp. 1040-1046, 2000. 

  4. Y. Barnea, H. Kashtan, Y. Skornick, N. Werbin, "Rib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mortality and morbidity" Canadian Journal of surgery, Vol. 45, No. 1, pp. 43-46, 2002. 

  5. L. I. Worthley, "Thoracic epidural in management of chest trauma. A study of 161 case," Intensive Care Medicine, Vol. 11, No. 6, pp. 312-315, 1985. 

  6. B. S. Kang, S. C. Kim, H. S. Kim, Radiographic Imaging, 3rd Ed, Daihaks, Seoul Korea, pp. 482, 2012. 

  7. Y. I. Kim. Analog & Digital PACS, 8th Ed, Daihaks, Seoul Korea, pp. 78, 2014. 

  8. N. K. Jung, J. S. Kim, Y. K. Park, J. W. Yoon, H. G. Lee, "Development of high accuracy x-ray grid &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integration technology", Final Report of Nuclear Research and Development,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6. 

  9. J. M. Goo, J. G. Im, H. J. Lee, M. J. Chung, J. B. Seo, H. Y. Kim, Y. J. Lee, J. W. Kang, J. H. Kim, "Detection of simulated chest lesions by using soft-copy reading: comparison of an amorphous silicon flat-panel-detector system and a storage phosphor system", Radiology, Vol. 224, No. 1, pp. 242-246, 2002. 

  10. X. J. Rong, C. C. Shaw, X. Liu, M. R. Lemacks, S. K. Thompson, "Comparison of an amorphous silicon/cesium iodide flat panel digital chest radiography system with screen/film and computed," Medical Physics, Vol. 28, No. 11, pp. 2328-2335, 2001. 

  11. J. S. Lee, S. J. Ko, S. S. Kang, J. H. Kim, D. H. Kim, C. S. Kim,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Sensitivity in the Digital Chest Imag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8, pp. 275-283, 2013. 

  12. D. C. Sung, J. S. Jung, S. S. Kim, N. L. Park, S. K. Park, C. B. Ahn, J. S. Lim, "Lumbar spine oblique using tube angle method of usefulness evaluation",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Imaging Technology, Vol. 2017, No. 1, pp. 117-12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