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갈화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ive Effects of Puerariae Flos Extract on Experimental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odel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3 no.5, 2018년, pp.1 - 8  

황형칠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원광한약연구) ,  공룡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원광한약연구) ,  강옥화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원광한약연구) ,  권동렬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원광한약연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of Puerariae Flos ethanol extract (PE) on methionin and choline deficient (MCD)-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C57BL/6J mice. Methods : In the in vivo experiments, C57BL/6J mice were divided into 4 g...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에 서는 MCD-diet 모델을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모델로 삼고 갈화 에탄올 추출물 (PE)을 투여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병리적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였다.
  • 최근에는 갈화가 당뇨 조절 기능, 간보호 작용, 항산화 효과, 암세포사멸 효능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관련 질환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보고되기도 하였다31-32). 따라서 본 연구는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에 서는 MCD-diet 모델을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모델로 삼고 갈화 에탄올 추출물 (PE)을 투여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병리적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화 에탄올 추출물 (Puerariae Flos ethanol extract, PE)의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CD-diet 모델을 이용한 in vivo 실험에 PE을 투여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병리적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지방생성에 미치는 작용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환자의 간에서는 인지되지 않는 손상이 빈번히 일어날 경우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NAFLD은 서구인의 경우 20 - 30% 의 유병률을 보이며, 비만이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경우 25 - 75%에서 발병된다2-5). 특히,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환자의 간에서는 인지되지 않는 손상이 빈번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만성적인 간 손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점차 악화되는 과정에서 병이 진행되다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혈관질환과 같은 대사증후군이 명확해질 시점이 되면 지방간염 (steatohepatitis) 과 간경화 (cirrhosis)로 진행된다. 이때, 지방 성분은 간세포 내중성지질 방울 (droplets)의 형태로 저장되며 그 결과 간세포의 세포핵은 세포 주변으로 밀려나 거품 모양의 세포 형태를 이루게 된다6).
비알콜성 지방간이란? 비알콜성 지방간 (NAFLD)은 알코올 섭취력은 거의 없지만 알코올성 지방간과 유사하게 소엽성 간염의 조직 소견을 특징으로 하며, 중성지질(triglyceride) 함량이 전체 간 무게의 5%을 초과할 경우로 정의된다1). NAFLD은 서구인의 경우 20 - 30% 의 유병률을 보이며, 비만이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경우 25 - 75%에서 발병된다2-5).
비알콜성 지방간의 동물모델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현재 NAFLD의 동물모델에는 methionine and choline deficient (MCD) diet, choline-deficient diet (CD), high-fat diet (HFD) 등이 있다. 이 중 MCD-diet 모델은 짧은 기간에 가장 심각한 NAFLD의 표현형을 나타내는데, 이 모델은 40년 이상 사용된 모델이며, 2 - 4주면 설치류에 간 지방증 (주로 거대 수포성)을 유도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 JS. Dermatology. Soomoonsa Press. 2000:73. 

  2. Pavel S, Muskiet FA. Eumelanin (precursor) metabolites as markers for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 preliminary report. Cancer Detect Prev. 1983;6:311-316. 

  3. Prota, G.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1980;75:122-127. 

  4. Parvez S, M Kang, HS Chung, C Cho, MC Hong, MK Shin, H Bae.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06;20:921-934. 

  5. Mayer A. M. Polyphenol oxidases in plants recent progress. Phytochemistry. 1987;26:11-20. 

  6. Cabanes JS, Chazarra S, Garcia-Carmona F.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 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1994;46:982-985. 

  7. Masashi N, Yasuteru K,Tooru S. Murine Model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Steatohepatitis. 2012;2013:237870. doi: 10.1155/2013/237870. 

  8. Andrew J Lickteig, Craig D Fisher, Lisa M Augustine, Nathan J. Cherrington. Genes of the Antioxidant Response Undergo Upregulation in a Rodent Model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J Biochem Molecular Toxicology. 2007;219:216-220. 

  9. Mu Y-ping, Ogawa T, Kawada N. Reversibility of fibrosis, inflammation,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the liver of rats fed a methionine-cholinedeficient diet. Laboratory Investigation. J Technical Methods and Pathology. 2010;90:245-256. 

  10. Heo J. Hwang sil donguibogam. Seoul: Geumjinpublishing. 1993;927. 

  11. Kim CM, Sin MK, Lee KS, Ahn DK.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Seoul:Jeongdam. 2004;2307. 

  12. Kim TJ, Resources plants in Korea.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ouncil, 1986;232. 

  13. Kubo M, Fujita K. A new irisolidone-7-Oglucoside and tectoridin from Pueraria species. Phytochemistry. 1973;12:25-47. 

  14. Kubo M, Sasaki M, Namba K, Naruto S, Nishimura H. Isolation of a new isoflavone from chinese Pueraria Flower. Chem Pharm Bull. 1975;23:2449-2451. 

  15. Kurihara T, Kikuchi.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Flower (1): On the constituents of Flower of Pueraria thunbergiana Benth (2). Isolation of a new isoflavone glycoside. Yakugaku Zasshi. 1975;95: 1283-1285. 

  16. Park HJ, Park JH, Moon JO, Lee KT, Jung WT, Oh SR, Lee HK. Isoflavone glycosides from the Flower of Pueraria thunbergiana. Phytochemistry. 1999;51:147-151. 

  17. Hsu FL, Liu IM, Kuo DH, Chen WC, Su HC, Cheng JT. Antihyperglycemic effect of puerarin in ster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Nature Products. 2003;66:788-792. 

  18. Hwang YP, Choi CY, Chung YC, Jeon SS, Jeong HG. Protective effects of puerarin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Arch Pharmacal Res. 2007;30:1309-1317. 

  19. Falchuk FR, Fiske SC, Haggitt RC, Federman M, Trey C. Pericentral hepatic fibrosis and intracellular hyalin in diabetes mellitus. Gastroenterology. 1980;78:535-541. 

  20. Bacon BR. Genetic, metabolic, and infiltrative diseases affecting the liver.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th ed. New York: McGraw-Hill. 2008;1980-1983 

  21.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221-1231. 

  22. Yun JW, Cho YK. Clinical impac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n other medical diseases. Korean J Intern Med. 2009;76(1):25-29. 

  23. Brunt EM. Alcoholic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lin Liver Dis. 2002;6(2):399-420. 

  24. Leevy CM. Fatty liver. A study of 270 patients with biopsy proven fatty liver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1962;41:249-276. 

  25. Wanless IR, Lentz JS. Fatty liver hepatitis (steatohepatitis) and obesity: an autopsy study with analysis of risk factors. Hepatology. 1990;12: 1106-1110. 

  26. Eriksson S, Eriksson KF, Bondesson L.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obesity: a reversible condition. Acta Med Scand. 1986;220:83-88. 

  27. Kim MJ, Park CH, Kim DH, Park MH, Park KC, Hyun MK, Lee AK, Moon HR, Chung HY. Hepatoprotective Effects of MHY3200 on High-Fat,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Rats. Molecules. 2018;23(8). doi: 10.3390/molecules23082057. 

  28. Powell EE, Cooksley WG, Hanson R, Searle J, Halliday JW, Powell LW. The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follow-up study of forty-two patients for up to 21 years. Hepatology. 1990;11:74-80. 

  29. Lee R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study of 49 patients. Hum Path. 1989;20:594-598. 

  30. Bacon BR, Faragvash MJ, Janny CG, Neuschwander-Tetri BA.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 espanded clinical entity. Gastroenterology. 1994;107:1103-1109. 

  31. Hsu FL, Liu IM, Kuo DH, Chen WC, Su HC, Cheng JT. Antihyperglycemic effect of puerarin in ster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Nature Products. 2003;66:788-792. 

  32. Hwang YP, Choi CY, Chung YC, Jeon SS, Jeong HG. Protective effects of puerarin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Arch Pharmacal Res. 2007;30:1309-1317. 

  33. Gervois P, Torra IP, Fruchart JC, Staels B. Regulation of lipid and lipoprotein metabolism by PPAR activators. Clin Chem Lab Med. 2000;38:3-11. 

  34. Foretz M, Guichard C, Ferre P, Foufelle 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is a major mediator of insulin action on the hepatic expression of glucokinase and lipogenesis-related genes. Proc Natl Acad Sci. 1999;96:12737-12742. 

  35. Morrison CD, Huypens P, Stewart LK, Gettys TW. Implications of cross talk between leptin and insulin signaling during the development of dietinduced obesity. Biochim Biophys Acta. 2009;1792: 409-416. 

  36. Gomez-Lechon MJ, Donato MT, Martinez-Romero A, Jimenez N, Castell JV and O'Connor JE. A human hepatocellular in vitro model to investigate steatosis. Chem Biol Interact. 2007;165(2):106-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