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지역주민기반 대사성질환 개선 프로그램 중재 효과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Health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Metabolic Disease in Jeju Island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3, 2018년, pp.297 - 303  

김우진 (제주한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김상훈 (제주한라병원 대외협력처) ,  박신영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사성질환 관련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제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마을 기반 건강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0명의 실험군은 BMI가 25 이상인 지역주민으로 3주 동안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PNF) 트레이닝과 스트레칭을 포함한 운동요법 7회, 영양관리 식습관 개선을 위한 쿠킹테라피 프로그램 4회 그리고 대체의학활용 프로그램인 힐링터치 마사지 프로그램 3회의 건강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건강프로그램 중재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에 체 성분, 혈액의 지질 프로파일, 혈당 및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건강프로그램 중재 후에는 중재 전에 비해 TC, HbA1C, 이완기혈압, 체지방 그리고 허리둘레가 크게 감소하여 거의 정상수치가 되었고 특히 HbA1C, 체지방 그리고 허리둘레는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 (P<0.001)되었다. 그러나 반대로 건강프로그램 중재를 받지 않은 대상군의 경우 HbA1C, 체지방 및 허리둘레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 (P<0.001)하는 부정적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사성질환 관련 인자들은 건강프로그램의 중재로 개선되어 호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중재프로그램인 운동과 쿠킹테라피 효과를 구분하여 조사하지는 않았지만 3주간의 단기간에 보여진 효과가 두 가지를 병행해서 수행함으로써 나타난 결과임을 암시하며 식사조절과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대사성질환 개선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health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metabolic disease in Jeju island. There were 50 obese local resi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body mass index, $BMI{\geq}25kg/m^2$). They participated in cooking therapy with nutrition educ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며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중재를 위해 마을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로 잘 알고 있는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참여도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고 대사질환의 위험요인 중 비만에 해당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중재 후에 변화할 수 있는 유용한 요소들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사성질환 개선프로그램’에는 식사요법, 1:1 영양상담, 운동요법 및 근육마사지 등을 포함시켜 3주간의 단 기간의 주요 결과를 분석하여 농촌마을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 뿐 아니라, 천혜의 자연 환경을 갖춘 제주의 장점을 치유상품화 할 수 있는 컨텐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성질환에 도움이 되는 것은? 정상군의 경우 연령과 운동 강도가 HDL수치에 영향이 없었지만 대사질환군의 경우 연령과 운동 강도가 HDL 유지에 중요하므로 특히 고령의 대사질환군의 경우 신체활동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3]. 걷기 운동은 다양한 종류의 신체활동 중에서 가장 쉽게 할 수 있고 하루 30분 정도로도 대사성질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4], 운동과 함께 대사성질환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식생활 개선이다. 고위험군 및 저위험군 대사증후군 직장인 남성을 대상으로 식생활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보고에서 중재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에 고위험군의 BMI, 허리둘레, 혈압, HDL, 당화혈색소(HbA1C)가 모두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여러 중재 요소 중 1:1 영양 상담이 가장 도움이 된 것으로 보고하였다[5].
대사성질환 관련 총 12개 지표 중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악화가 있었던 항목은 무엇인가? 대조군과의 비교를 해보면 그 변화의 의미는 더욱 커진다. 대조군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악화가 있었던 항목은 혈당, 총콜레스테롤, 복부지방, 허리둘레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악화가 있었던 항목으로는 당화혈색소, 이완기혈압, 체지방, 내장지방으로 측정지표 12개중 8항목에서 악화가 있었다. 이런 결과를 놓고 볼 때 대사성질환 관련 지표는 아무 개입이 없으면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식이나 운동을 실시하면 의미 있게 개선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만유병률 증가와 더불어 신체활동 부족은 무엇으로 이어질 수 있나? 중년여성 대상 영양교육 및 운동중재 프로그램 및 12주간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를 함께 병행한 비만프로그램 실시 후에 프로그램 시작 전에 비해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12주간 성인 비만 여성 대상의 경우 체중감량,BMI, 허리둘레, 체지방율이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여 여러 중재 방법들 중 에서도 특히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6, 7]. 비만유병률 증가와 더불어 신체활동 부족은 고혈압, 제 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대사성질환 발생 위험을 높여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예방과 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8, 9]. 선행연구들에 의해 진행된 중재연구 결과 성별, 연령층에 관계없이 규칙적인 신체활동 참여와 체력수준 향상은 비만도 감소, 체력수준 향상 및 건강지표 개선 등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10, 11],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중재를 위한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비만유병률 및 대사성질환은 계속 증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SE. Impacts of ageing society on local administration and its preparation for the future. Local administration study. 2017;31:3-034.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besity white paper. 2017. p41-127. 

  3. Lim HK, Sull JW, Park JY, Hong MH, Lee YR, et al. Relationship of metabolic diseases with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age. Korean J Clin Lab Sci. 2018;50:144-154. https://doi.org/10.15324/kjcls.2018.50.2.144. 

  4. Oja P, Vuori I, Paronen O. Daily walking and cycling to work: their utility as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Patient Educ Couns. 1998;33(Suppl 1):87-94. 

  5. Kim HJ, Choi IJ, Kim WG, Asano K, Hong JM, Cho YM, et al. Effect of a worksite-based dietary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KJCN. 2016;21:237-246. https://doi.org/10.5720/kjcn.2016.21.3.237. 

  6. Choi MS.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health and diet quality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2009;42:48-58. https://doi.org/10.1186/1471-2458-9-45. 

  7. Lee HS, Lee JW, Chang NS, Kim JM.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blood lipid obese women. Korean J Nutr. 2009;42: 759-769. https://doi.org/10.5720/kjn.2009.42.8.759. 

  8. Mottillo S, Filion KB, Genest J, Joseph L, Pilote L, Poirier P,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ata-analysis. J Am Coll Cardiol. 2010;56:1113-1132. https://doi.org/10.1016/j.jacc.2010.05.034. 

  9. Jekal Y, Yun JE, Park SW, Jee SH. Jeon J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atness and fitness during adolescence and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disorders in adulthood. Korean diabetes J. 2010;34:126-134. https://doi.org/10.4093/kdj.2010.34.2.126. 

  10. Ko SH, Park CH, Jekal US.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level of obesity, physical fitness level and metabolic related risk factors among hypertensive and diabetic patients.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7;12:645-655. https://doi.org/10.21097/ksw.2017.02.12.1.645. 

  11. Williams PT. Physical fitness and activity as separate heart disease risk factors: a meta-analysis. Med Sci Sports Exerc. 2001;33:754-761. 

  12. Park CH, Jekal Y. The effect of famil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m on the level of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related risk factor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7;12:565-578. https://doi.org/ 10.21097/ksw.2017.08.12.3.565. 

  13. Wang Y, Xie B, Tao Y, Ma Y, Zang K. Impact of community-based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metabolic symdrome intervention technology in rural residents in Southern Jiangsu, China. Clini Res. 2015;2163-2169. https://doi.org/10.12659/MSM.893972. 

  14. Kim MJ, Park EO. The prevalence and the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urban and rural community. Korean J of Adult Nurs. 2014;26:67-77. 

  15. Weng X, Liu Y, Ma J, Wang W, Yang G, Caballero B. An urban-rural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Eastern China. Public Health Nutrition. 2007;10:131-136. https://doi.org/10.1017/S1368980007226023. 

  16. Zyl S, Merwe LJ, Walsh CM, Groenewald AJ, Rooyen FC. Risk-factor profiles for chronic diseases of lifestyle and metabolic syndrome in an urban and rural setting in South Africa. Afr J Prm Health Care Fam Med. 2012;4:1-10. https://doi.org/10.4102/phcfm.v4i1.346. 

  17. Rossi AM, Davies E, Lavoie KL, Arsenault A, Gordon JL, Meloche B, et al. The impact of metabolic syndrome and endothelial dysfunction on exercise-induced cardiovascular changes. Obesity. 2013;21:143-148. https://doi.org/10.1002/oby.20258. 

  18. Shin KA. Optimal cutoff points of rate pressure product in each stage of treadmmill exercise te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Clin Lab Sci. 2018;50:136-143. https://doi.org/10.15324/kjcls.2018.50.2.136. 

  19. Grundy SM, Cleeman JI, Merz CN, Brewer HB, Clark LT, Hunninghake DB, et al. Implication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 Circulation. 2004;110:227-239. https://doi.org/ 10.1161/01.ATV.0000133317.49796.0E. 

  20. Rabe K, Lerke M, Parhofer KG, Bredl UC. Adip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Mol Med. 2008;14:741-751. https://doi.org/10.2119/2008-00058.Rabe. 

  21. Lindsay RS, Funahashi T, Hanson RI, MatsuzawaY, Tanaka S, Tataranni PA, et al. Adiponectin and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the Pima Indian population. Lancet. 2002;360:57-58. https://doi.org/10.1016/S0140-6736. 

  22. Wijesekara N, krishnamurthy M, Bhattacharjee A, Suhail A, Sweeney G, Wheeler MB. Adiponectin-induced ERK and Akt phosphorylation protects against pancreatic beta cell apoptosis and increases insulin gene expression secretion. J Biol Chem 2010;285:33623-33631. https://doi.org/10.1074/jbc.M109.085084. 

  23. Hans JS, Zhoh CK, Lee EJ. The effect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blood lipid profile and adiponectin in obese women. Korean J Obes. 2013;22:231-236. http://dx.doi.org/10.7570/kjo.2013.22.4.2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