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염관리 분야에서 감시배양검사의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a Surveillance Culture Laboratory in Infection Control Fiel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3, 2018년, pp.359 - 369  

박창은 (남서울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분자진단연구소) ,  정나연 (삼성서울병원 감염관리실) ,  양민지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김한울 (부산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주세익 (대전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건한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성희경 (동의과학대학교 임상병리과) ,  황유연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임현미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손재철 (충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  윤선한 (서울의과학연구소) ,  윤남섭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장인호 (상지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적 방법은 일관성이 있는 감염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감시 통제를 수행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진단을 향상시켜나가는 것이다. 또한 의료 종사자의 손과 의복 및 장비는 환자 관리 및 환경과 접촉하여 병원체가 오염되는 요인이다. 병원체를 가진 시설 표면(예: 침대 레일, 침대 옆 탁자), 음용수, 냉각탑용수, 내시경기구, 급식위생, 공기매개, 멸균검사, 내독소검사, 및 의료 장비를 포함한 의료 환경의 오염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감염원을 활동 감시를 통해 MLST, PFGE의 기법으로 역학분석을 수행한다. 따라서 HAI 예방을 위한 환경 감시배양 검사는 환자의 안전과 감염원의 차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의 감염관리 시스템을 통제하여 최적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예방을 가능케 하고 국가의 감염관리 시스템의 안전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감시배양 검사의 표준화를 통해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체계에 이바지하고 감염관리 전문인력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표준화 마련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료관련 감염을 줄이고 국가적 의료관리 체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ssential measure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HAI) is to develop a consistent system of surveillance, thereby promoting a reliable situation diagnosis to perform efficient control for the problem. Patient-to-patient transmission of pathogens within the hospital plays a substant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100 µL을 접종한 BHIB는 37°C 배양기에 24시간 배양 후 각 배지에 접종하며, 필터 접종한 혈액우 무배지의 집락 수를 총 CFU/duodenoscope로 계산한다. BHIB에 증균 배양한 결과도 고려하여 결과 보고하고 자란 균은 그람염색을 한다. 고-관심주요군(High-concern, HC) 세균의 경우는 자동화 장비로 빠른 결과를 보고한다.
  • 따라서 HAI 예방을 위한 환경 감시배양 검사는 환자의 안전과 감염원의 차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의 감염관리 시스템을 통제하여 최적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예방을 가능케 하고 국가의 감염관리 시스템의 안전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감시배양 검사의 표준화를 통해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체계에 이바지하고 감염관리 전문인력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표준화 마련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료관련 감염을 줄이고 국가적 의료관리 체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 한편 감염관리 수가 지원 등의 파급효과에 역할을 도모하고자 한다. 나아가 국민 보건 및 삶의 질 향상과 감염관리 분야의 근본적인 기술보급과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 분야의 사회적 기여를 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고유의 감시배양 검사의 근거자료 확보를 통해 의료관련 감염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국내 중소병원의 의료관련 감염관리 문제점 및 유행에서의 원인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국내 현실에 맞는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실무 의료관련감염관리 전략 개발의 표준화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의료관련감염관리 지침에 포함되는 기법 개발, 교육, 홍보 분야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는 감염관리 사업을 추진하는 데 본 과제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감염관리 분야의 감시배양 검사의 국내 기술 확립 및 표준화 기법을 확보하여 중소병원에 보급하고 감염관리 분야의 업무역량의 강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한편 감염관리 수가 지원 등의 파급효과에 역할을 도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목표로 하는 세균에 맞추어 특수한 검체 수집방법을 제시하고 감시배양을 수행해야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를 할 수 있으며 감염관리 분야에서 감시배양검사법 표준화에 따라 진단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된 국가적 감시 및 관리를 위해서는 검사법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표준화된 감염감시배양검사의 확립과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의료관련감염 중 임상병리사의 업무인, 환경감시배양검사를 숙지시키고 업무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며 감염예방관리료 수가 산출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후 35°C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집락수를 계산하고 이후 1주일 까지 실온에 보관하면서 1주일이 되었을 때 집락수를 최종 보고한다.
  •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감염관리 분야의 감시배양 검사의 국내 기술 확립 및 표준화 기법을 확보하여 중소병원에 보급하고 감염관리 분야의 업무역량의 강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한편 감염관리 수가 지원 등의 파급효과에 역할을 도모하고자 한다. 나아가 국민 보건 및 삶의 질 향상과 감염관리 분야의 근본적인 기술보급과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 분야의 사회적 기여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독소 검사는 무엇을 대상으로 시행하는가? 내독소 검사는 투석용수(용수저장탱크, 용수공급 파이프) 및 투석액[20], 역삼투압방식 원수, 배관수, 투석기계 유입수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내독소 검사는 겔 형성을 지표화하는 겔화법(gel clot, GC), 탁도를 측정하는 비탁법(kinetic turbidimetric assay, KTA), 화학 발색을 측정하는 비색법(kinetic chromogenic assay, KCA) 중에 한 가지를 택해 측정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환경관리의 평가수준을 어떻게 나누는가? 이렇게 감염원을 규명하는 것은 유행발생시 감염원의 전파경로를 파악하고 통제를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강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이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환경관리의 평가수준을 기본(level I)과 심화(level II)로 나누었으며, level II에 적용하는 행위의 직접관찰, 미생물 배양검사, 형광표지, ATP 측정 같은 평가방법에 대해 제한점을 고려하여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있다[11]. 미생물 배양검사는 환경의 청결도를 평가하거나 환경에 존재하는 병원균을 검출하기 위해 흔히 고려되는 방법이나, 표준화된 방법과 해석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고, 시간과 자원이 많이 드는 제한점이 있다.
내독소 노출시의 증상은 무엇인가? 내독소는 발열원(pyrogen)으로 체온중추를 자극해 강한 발열작용을 일으키는 물질로 열에 안정하여 통상적인 멸균으로 활성을 잃지 않으므로 건열멸균 등으로 불활성화 시켜야 한다. 노출 시에는 발열과 백혈구감소증, 쇼크를 심하게는 패혈증까지 일으킨다. 따라서 투석에 사용하는 물은 내독소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Goodman RA, Buehler JW, Koplan JP. The epidemiologic field investigation: science and judgement in public health practice. Am J Epidemiol. 1990;132:9-16. http://dx.doi.org/10.1093/oxford journals.aje. a115647. 

  2. Olmsted RN. Prevention by design: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health care facilities for patient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Infect Dis Clin North Am. 2016;30:713-728. http://dx.doi.org/10.1016/j.idc.2016.04.005. 

  3. Sehulster L, Chinn RY; CDC, HICPAC.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MMWR Recomm Rep. 2003;52:1-42. 

  4. Denton M, Wilcox MH, Parnell P, Green D, Keer V, Hawkey PM, et al. Role of environmental cleaning in controlling an outbreak of Acinetobacter baumannii on a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Crit Care Nurs. 2005;21:94-98. 

  5. Dharan S, Pittet D. Environmental controls in operating theatres. J Hosp Infect. 2002;51:79-84. 

  6. Mahida N, Clarke M, White G, Vaughan N, Boswell T. Outbreak of Enterobacter cloacae with New Delhi metallo- $\beta$ -lactamase (NDM)-1: challenges i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 J Hosp Infect. 2017;97:64-65. http://dx.doi.org/10.1016/j.jhin.2017.05.016. 

  7. Kim YA, Lee H, Lee K. Contamin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al by pathogenic bacteria and infection contro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5;20:1-6. 

  8. Tablan OC, Anderson LJ, Besser R, Bridges C, Hajjeh R; CDC, et al.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 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MMWR Recomm Rep. 2004;53:1-36. 

  9. Seto WH. Airborne transmission and precautions: facts and myths. J Hosp Infect. 2015;89:225-228. http://dx.doi.org/10.1016/j.jhin.2014.11.005. 

  10. Weber DJ, Rutala WA.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transmission of healthcare-associated pathogens due to the contaminated hospital environment.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13;34:449-452. http://dx.doi.org/10.1086/670 223. 

  11. Muller MP, MacDougall C, Lim M; Ontario Agency for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Public Health Ontario; Provincial Infectious Diseases Advisory Committee on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vincial Infectious Diseases Advisory Committee on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Antimicrobial surfaces to preve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 systematic review. J Hosp Infect. 2016;92:7-13. http://dx.doi.org/10.1016/j.jhin.2015.09.008. 

  12. Healy M, Huong J, Bittner T, Lising M, Frye S, Raza S, et al. Microbial DNA typing by automated repetitive-sequencebased PCR. J Clin Microbiol. 2005;43:199-207. 

  13. Maiden MC, Jansen van Rensburg MJ, Bray JE, Earle SG, Ford SA, Jolley KA, et al. MLST revisited: the gene-by-gene approach to bacterial genomics. Nat Rev Microbiol. 2013;11:728-736. http://dx.doi.org/10.1038/nrmicro3093. 

  14. CDC.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PulseNet PFGE of Escherichia coli O157:H7, Escherichia coli non-O157 (STEC), Salmonella serotypes, Shigella sonnei and Shigella flexneri, [Internet]. Atlanta: CDC; 2013 [cited 2018 June 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pulsenet/PDF/ecoli-shigella-salmonella-pfge-protocol-508c.pdf. 

  15. Moser SA, Box MJ, Patel M, Amaya M, Schelonka R, Waites KB. Multiple-locus variable-number tandem-repeat analysi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iscriminates within USA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types. J Hosp Infect. 2009;71:333-339. http://dx.doi.org/10.1016/j.jhin.2008.12.011. 

  16. Tenover FC, Arbeit RD, Goering RV. How to select and interpret molecular strain typing methods for epidemiological studies of bacterial infections: a review for healthcare epidemiologists. Molecular typing working group of the society for healthcare epidemiology of Americ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7;18:426-439. 

  17. Breathnach AS, Cubbon MD, Karunaharan RN, Pope CF, Planche TD.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outbreaks in two hospitals: association with contaminated hospital wastewater systems. J Hosp Infect. 2012;82:19-24. 

  18. Garg SK, Mittal S, Kaur P. Dental unit waterline managemen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current trends. J Investig Clin Dent. 2012;3:247-52. http://dx.doi.org/10.1111/j.2041-1626.2012. 00135.x. 

  19. Glorieux G, Neirynck N, Veys N, Vanholder R. Dialysis water and fluid purity: more than endotoxin. Nephrol Dial Transplant. 2012;27:4010-4021. http://dx.doi.org/10.1093/ndt/gfs306. 

  20. Oie S, Kamiya A, Yoneda I, Uchiyama K, Tsuchida M, Takai K, et al. Microbial contamination of dialysate and its prevention in haemodialysis units. J Hosp Infect. 2003;54:115-119. 

  21. Rioufol C, Devys C, Meunier G, Perraud M, Goullet 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ndotoxins released by bacterial biofilms. J Hosp Infect. 1999;43:203-209. 

  22. Trautmann M, Zauser B, Wiedeck H, Buttenschon K, Marre R. Bacterial colonization and endotoxin contamin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fluids. J Hosp Infect. 1997;37:225-236. 

  23. Peiro SA, Kulander L, Eriksson O.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ndotoxins on surgical gloves. J Hosp Infect. 1990;16:167-72. 

  24. Descours G, Cassier P, Forey F, Ginevra C, Etienne J, Lina G, et al. Evaluation of BMPA, MWY, GVPC and BCYE media for the isolation of Legionella species from respiratory samples. J Microbiol Methods. 2014;98:119-21. http://dx.doi.org/10.1016/j.mimet.2014.01.001. 

  25. Pottage T, Macken S, Walker JT, Bennett AM.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more resistant to vaporized hydrogen peroxide than commercial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iological indicators. J Hosp Infect. 2012;80: 41-45. http://dx.doi.org/10.1016/j.jhin.2011.11.001. 

  26. Winter S, Smith A, Lappin D, McDonagh G, Kirk B. Failure of non-vacuum steam sterilization processes for dental handpieces. J Hosp Infect. 2017;97:343-347. http://dx.doi.org/10.1016/j.jhin.2017.09.004. 

  27. CDC.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Internet]. Atlanta: CDC; 2008 [cited 2018 June 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pdf/guidelines/disinfection-guidelines.pdf. 

  28. Cattoir L, Vanzieleghem T, Florin L, Helleputte T, De Vos M, Verhasselt B, et al. Surveillance of endoscopes: comparison of different sampling technique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17;38:1062-1069. http://dx.doi.org/10.1017/ice.2017.115. 

  29. Kovaleva J, Degener JE, van der Mei HC. Mimicking disinfection and drying of biofilms in contaminated endoscopes. J Hosp Infect. 2010;76:345-350. http://dx.doi.org/10.1016/j.jhin.2010.07.008. 

  30. ASGE Quality assurance in endoscopy committee; Petersen BT, Chennat J, Cohen J, Cotton PB, et al. Multisociety guideline on reprocessing flexible gastrointestinal endoscopes. Gastrointest Endosc. 2011;73:1075-1084. http://dx.doi.org/10.1016/j.gie.2011.03.1183. 

  31. Marek A, Smith A, Peat M, Connell A, Gillespie I, Morrison P, et al. Endoscopy supply water and final rinse testing: five years of experience. J Hosp Infect. 2014;88:207-212. http://dx.doi.org/10.1016/j.jhin.2014.09.004. 

  32. Bashaw MA. Guideline implementation: processing flexible endoscopes. AORN J. 2016;104:225-236. http://dx.doi.org/10.1016/j.aorn.2016.06.018. 

  33. Felfoldi T, Heeger Z, Vargha M, Marialigeti K. Detection of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in the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of a hospital in Hungary. Clin Microbiol Infect. 2010;16:89-92. http://dx.doi.org/10.1111/j.1469-0691.2009.02795.x. 

  34. Tanner WD, VanDerslice JA, Toor D, Benson LS, Porucznik CA, Goel RK, Atkinson RM. Development and field evaluation of a method for detecting carbapenem-resistant bacteria in drinking water. Syst Appl Microbiol. 2015;38:351-357. doi:10.1016/j.syapm.2015.03.010. 

  35. Barrie D. The provision of food and catering services in hospital. J Hosp Infect. 1996;33:13-33. 

  36. Rompre A, Servais P, Baudart J, de-Roubin MR, Laurent P.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coliforms in drinking water: current methods and emerging approaches. J Microbiol Methods. 2002;49:31-54. 

  37. Holy O, Forsythe S. Cronobacter spp. as emerging cause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J Hosp Infect. 2014;86: 169-177. http://dx.doi.org/10.1016/j.jhin.2013.09.011. 

  38. Hansen D, Blahout B, Benner D, Popp W. Environmental sampling of particulate matter and fungal spores during demolition of a building on a hospital area. J Hosp Infect. 2008; 70:259-264. http://dx.doi.org/10.1016/j.jhin.2008.07.010. 

  39. McLarnon NA, Edwards G, Burrow JG, Maclaren W, Aidoo KE, Hepher M. The efficiency of an air filtration system in the hospital ward. Int J Environ Health Res. 2006;16:313-317. 

  40. Vincent JH. Aerosol sampling: science, standards,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7. p473. 

  41. O'Brien D, Stevens N, Fitzgerald-Hughes D, Humphreys H. Effect of a novel air disinfection system on airborne micro-organisms in a hospital outpatient clinic. J Hosp Infect. 2012; 80:98-99. http://dx.doi.org/10.1016/j.jhin.2011.08.018. 

  42. Tammelin A, Ljungqvist B, Reinmuller B. Single-use surgical clothing system for reduc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operating room. J Hosp Infect. 2013;84:245-247. http://dx.doi.org/10.1016/j.jhin.2013.03.007. 

  43. Shiomori T, Miyamoto H, Makishima K, Yoshida M, Fujiyoshi T, Udaka T, et al. Evaluation of bedmaking-related airborne and surfac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ntamination. J Hosp Infect. 2002;50:30-35. 

  44. Chong MS, Lee K.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Jeju-area general hospitals. Korean J Clin Lab Sci. 2016;48:130-136. http://dx.doi.org//10.15324/kjcls.2016.48.2.130. 

  45. Lund BM, O'Brien SJ.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n hospitals and other healthcare settings. J Hosp Infect. 2009;73:109-120. http://dx.doi.org/10.1016/j.jhin.2009.05.017. 

  46. Tenover FC, Arbeit RD, Goering RV, Mickelsen PA, Murray BE, Persing DH, et al. Interpreting chromosomal DNA restriction patterns produced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criteria for bacterial strain typing. J Clin Microbiol. 1995;33:2233-2239. 

  47. Wu F, Della-Latta P. Molecular typing strategies. Semin Perinatol. 2002;26:357-366. 

  48. Bartley PB, Ben Zakour NL, Stanton-Cook M, Muguli R. Hospital-wide eradication of a nosocomial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outbreak. Clin Infect Dis. 2016;62:273-279. http://dx.doi.org/10.1093/cid/civ870. 

  49. Beilenhoff U, Neumann CS, Rey JF, Biering H, Blum R, Schmidt V, et al. ESGE-ESGENA guideline for quality assurance in reprocessing: microbiological surveillance testing in endoscopy. Endoscopy. 2007;39:175-181. 

  50. Arroyo MG, Ferreira AM, Frota OP, Rigotti MA, de Andrade D, Brizzotti NS, et al, Effectiveness of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presumptive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hospital water sources. BMC Infect Dis. 2017;17:458. http://dx.doi.org/10.1186/s12879-017-2562-y. 

  51. Gillespie E, Sievert W, Swan M, Kaye C, Edridge I, Stuart RL. Adenosine triphosphate bioluminescence to validate decontamination of endoscopes. J Hosp Infect. 2017;97:353-356. http://dx.doi.org/10.1016/j.jhin.2017.05.020. 

  52. Spaun GO, Goers TA, Pierce RA, Cassera MA, Scovil S, Swanstrom LL. Use of flexible endoscopes for NOTES: sterilization or high-level disinfection? Surg Endosc. 2010;24: 1581-1588. http://dx.doi.org/10.1007/s00464-009-0815-6. 

  53. Tang JW, Noakes CJ, Nielsen PV, Eames I, Nicolle A, Li Y, et al. Observing and quantifying airflows in the infection control of aerosol- and airborne-transmitted diseases: an overview of approaches. J Hosp Infect. 2011;77:213-222. http://dx.doi.org/10.1016/j.jhin.2010.09.037. 

  54. Griffiths WD, Bennett A, Speight S, Parks S.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a commercial air purification system for reducing airborne contamination using model micro-organisms: a new test methodology. J Hosp Infect. 2005;61:242-247. 

  55. Shintani H, Taniai E, Miki A, Kurosu S, Hayashi F. Comparison of the collecting efficiency of microbiological air samplers. J Hosp Infect. 2004;56:4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