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 우리나라 드론의 발전 방향
Development of Unmanned Aircraf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8 no.5 pt.2, 2018년, pp.3 - 10  

이영욱 (전주기전대학 글로벌산업인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은 지상에서 전파를 사용하여 조종, 제어가 가능한 무인 항공기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인으로 움직인다. 무인항공기의 역사는 군사용에서 시작되었는데 1917년 미국에서 제작된 '스페리 에어리얼 토페도' 드론이 폭탄을 싣고 최초로 비행에 성공한 것이 첫 무인항공의 시작이었다. 무인항공 기술의 발달로 군사용 드론의 용도는 더욱 넓은 분야로 확대되었다. 최근 드론의 용도는 농업, 산업, 물류, 방송,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시장의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드론은 우리의 실생활에 깊이 파고들어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부각되고 있지만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나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위험요소는 간과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드론과 관련한 기술적인 결함과 조종자의 실수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까지 완벽하게 예방할 수 없지만 드론을 불법하게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는 사생활 침해, 보안 유출, 테러 등은 사전에 차단되어야만 드론산업 발전의 저해가 되지 않고 가속화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rone is an unmanned aircraft that can be steered and controlled using radio waves on the ground, and the pilot moves unmanned without boarding. The history of the unmanned airplane began with military use, and the first unmanned aerial flight was the first successful flight of the 'Sperry Ae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 국가들의 드론 활용 및 시장전망과 기술수준 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두고 현재까지 발표된 각종 문헌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우리나라의 드론 기술개발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론의 원리를 설명하라. 드론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헬리콥터와 동일하다. 헬리콥터에서 시작되어 현재의 멀티콥터 개념의 드론은 헬리콥터 중에서 치누크 헬기의 텐덤회전 날개식의 원리와 동일하며, 단지 로터의 개수가 추가된 형태이다. 프로펠러가 대각선방향으로 마주보는 2쌍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프로펠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돌아가는 힘이 동체에 작용해서 하늘로 떠오르게 된다. 즉, 2개씩 마주보는 프로펠러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 인접한 것들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견제하고 상쇄하여 빙빙 돌지 않고 뜨게 되는 것이다. 각각의 프로펠러는 출력을 달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방향을 바꿔가면서 비행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드론에 작용하는 힘은 무엇이 있나? 드론에 작용하는 힘은 외부의 영향에 인한 항력의 원인으로 외력이 작용하고,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당기는 중력, 기체가 기울어짐으로써 해당 방향으로 추진력을 주는 힘인 추력, 공기와 기체의 마찰로 인해 추력을 방해하는 항력, 모터와 프로펠러의 작용으로 공중에 떠있게 하는 양력이 있다[2].
드론의 기술중 핵심기술은 부품 및 기체 제어기술과 항법 제어를 위한 센스 융학기술, 가상현실 등을 구현하는 첨단기술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각각의 접목분야에 대해 설명하라. 드론의 기술중 핵심기술은 부품 및 기체 제어기술과 항법 제어를 위한 센스 융학기술, 가상현실 등을 구현하는 첨단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부품 및 기체 제어기술은 기체를 제작하는 재료분야와 배터리, 모터 등을 들 수 있고, 센스융합 기술에는 영상처리와 각종 센스기술이며, 가상현실과 자율주행 등의 첨단기술의 접목분야로 들 수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민송, 유한요소 해석과 실험에 기반한 쿼트로터형 드론의 진동특성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2016. 

  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iwrxu7579&logNo220907267461 

  3. 신현주, "경찰의 드론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 pp1742-1743, 2016. 

  4. 박지연, "CES 2017 특집-드론", AVING기사(2017년 1월 12일). 

  5. 강일용, "인공지능, OLED, 드론...눈길을 사로잡은 5가지 트렌드", 동아일기사(2017년 1월 6일). 

  6. 한국게임 해외진출전략 수립을 위한 시장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pp. 17, 2016. 

  7. 최영철 외, "드론의 현재와 기술 개발 동향 및 전망", 대한전기학회(전기의 세계), 64(12) pp20-25, 2015. 

  8. 조민상 외, "무인항공기 발전에 따른 국가중요시설 보호 방안", 한국융합보안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3-9, 2015. 

  9. 진정회 외, "무인기/드론으 이해와 동향",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33권 2호 pp80-85, 2016. 

  10. 유성현 외, "드론의 기술과 발전 동향 소개", 대한전기학회(전기의 세계), 66(2) pp19-23, 2017. 

  11. 공배완, "Drone의 민간 시큐리티 활용성 제고", 한국융합보안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25-32, 2016. 

  12. 이규환, "국내외 드론 탐지 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pp19-21, 2016. 

  13. http://kr.whowired.com/news/srticleView.html?idxon413640 

  14.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on7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