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강근(Alpinia galangal Swartz) 정유와 양강근 유래 주요물질인 Methylcinnamate의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에 대한 살충 및 기피 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methylcinnamate and essential oils from Alpinia galangal against nymphs and adults of Metcalfa pruinos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3, 2018년, pp.291 - 295  

박부용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이상구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정인홍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박세근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이상범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작물 문제 해충인 미국선녀벌레에 대하여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여 추출된 양강근 정유성분 및 양강근 주요성분인 Methylcinnamate를 가지고 제형화한 유제를 이용하여 미국선녀 벌레에 대한 살충 활성 및 기피 활성 검정을 통해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양강근의 수증기증류추출정유와 Methylcinnamate 제형화 유제의 살충 및 기피 활성 실험 결과, 살충 활성 자체는 매우 높다고 볼 순 없으나 기피 효과와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특히 Methylcinnamate유제 100배가 살충 및 기피 효과의 결합으로 인한 방제 효율이 높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차후 양강근 유래 Methylcinnamate는 미국선녀 벌레에 대한 방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소재로서 적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calfa pruinosa is a pest causing widespread problems to many crops in Korea. This pest infects fruit crops especially, persimmon and grapes. We tested the possibility of M. pruinosa management using essential oils of Alpina galangal and methylcinnamate which were extracted from A. galangal by 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강근 추출물과 그 주성분인 Methylcinnamate를 이용한 제형화 제제를 미국선녀벌레에 적용하여 살충 및 기피 효과를 살펴보아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양강근 추출물의 살충 활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선녀벌레가 성충이 되는 과정은? 국내의 경우 62과 145종이 기주식물로 조사되어 미국보다 기주식물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3]. 미국선녀벌레는 연1 세대 발생하며, 성충 암컷이 가을에 기주식물에 산란을 하고 기주식물에서 월동한 알이 이듬해 5월 중하순 경에 알에서 부화하여 5회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4]. 약충과 성충은 기주식 물의 줄기를 흡즙하고 감로를 배설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미국선녀벌레의 원산지는? 이중 미국선녀벌레는 2009 년 국내에 처음 발생이 되었으며 경남 김해의 단감 과원에서 작물에 대한 피해도 같이 보고되었다[2]. 이는 분류학적으로 노린재목(Hemiptera) 선녀벌레과(Flat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50개과 102종에 이르는 식물이 기주로 알려져 있어 광범위한 기주범위를 나타낸다.
미국선녀벌레의 국내 피해 사례는? 국제교역의 증가 및 기후변화가 지속됨에 따라 농업생태계의 해충 밀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 꽃매미(Lycorma delicatula) 등 새로운 외래돌발 해충이 국내에 침입하였고 발생 및 피해 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1]. 이중 미국선녀벌레는 2009 년 국내에 처음 발생이 되었으며 경남 김해의 단감 과원에서 작물에 대한 피해도 같이 보고되었다[2]. 이는 분류학적으로 노린재목(Hemiptera) 선녀벌레과(Flat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DA (2016) Pests Report. Internal Resources, Jeonju 

  2. Lee H, Wilson SW (2010) First report of the Nearctic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Say) in the Republic of Korea (Hemiptera: Fulgoroidea). Entomological News 121: 506-513 

  3. Kim DE, Kil J (2014) Occurrence and host plant of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in Korea. J Environ Biol 23(8): 1385-1394 

  4. Wikipedia Internet access (at http://en.m.wikipedia.org,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acalfa pruinosa (Say) (Insecta: Hemiptera: Flatidae) Behavior and ecological impart 

  5. Strauss G (2010) Pest risk anlysis of Metcalfa pruinosa in Austria. J Pest Sci 83(4): 381-390 

  6. Ahn KS, Lee KS, Lee KH, Song MK, Lim SC, Kim GH (2011) Susceptibility of North American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Korean J Pestic Sci 15(3): 329-334 

  7. Kim JR, Ji CW, Seo BY, Park CG, Lee KS, Lee SG (2013) Toxicity of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Spray Formulations against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Korean J Pestic Sci 17(4): 419-427 

  8. Park B, Lee SB, Lee SG, Park SK, Jeong IH, Jun IS (2016)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Pest control research in Rural Development Institutions and its implications. Korean J Organic Agric 24(4): 609-625 

  9. Schmutter H (1980) Natural pesticides from the neem tree. Proc 1st Int Neem Conference. pp. 33-259 

  10. Wink M (1993)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hytochemicals from an agricultural perspective. pp. 171-213. In Phytochemistry and Agruculture. vol. 34. Clarendon, Oxford, UK 

  11. Lindquist BK, Adams AJ, Hall FR, Adams IHH (1990) Laboratory and greenhouse valuations of Margosan-O against bifenthrin-resistant and susceptible greenhouse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um (Homoptera: Aleyrodie). U.S. Dept. Agric., Neem Workshop, USDA-ARS 86, Beltsville, MD. pp. 91-99 

  12. Isman MB (2000) Plant essential oils for pest and disease management Crop Prot 19: 603-608 

  13. Wikipedia Internet access (at http://en.m.wikipedia.org) Differentiation and uses 

  14. Bainard LD, Isman MB (2006) Phytotoxicity of clove oil and tys primary constituent eugenol and role of leaf epiculticular wax in the susceptibility to these essential oils. Weed Sci 54(5): 833-837 

  15. Kim YK, Lee JJ, Choi MY (2008) I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Korean J Appl Entomol 47(1): 65-74 

  16. Nam TH, Jeon HJ, Kim K, Kim HM, Kim YC, Lee SE (2018) Ecotoxicities of emulsifiable concentrate and granules of cinnamon (Cinnamomum zeylanicum) essential oil against Cyprinus carpio and Danio rerio. J Appl Biol Chem 61(2): 151-155 

  17. Jeon YJ, Choi BR, Lee HS (2016) Insecticidal toxicitie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seven against Ricania sp. Nymphs and adults. J Appl Biol Chem 59(3): 243-245 

  18. Lee HW, Lee SG, Lee HS (2016) Active component isolated from Eugenia caryophyllata leaves and its structural analogues show insecticidal properties against Pochazia shantungensis. J Appl Biol Chem 59(1): 1-6 

  19. Lee SK, Jeon SW, Jeong IH, Park SK, Lee SB, Lee HS, Park B (2018) Insecticidal activity of Valeriana fauriei oils extracted by three different mothods against Ricania shantungensis. J Appl Biol Chem 61(1) 47-50 

  20. Saxena RC (1989) Insecticides from neem. In: Insecticides of Plant Origin. ACS Symp. Ser. No. 387. Am Chem Sco Washington, D. C. pp. 110-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