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토침식량 산정을 위한 지역별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유도
Derivation of regional annual mean rainfall erosivity for predicting topsoil erosion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9, 2018년, pp.783 - 793  

이준학 (육군사관학교 토목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지역별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값을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2012년 환경부는 표토의 침식 현황조사에 관한 고시를 공포하면서 전국 규모의 토양침식량을 추정하기 위한 모델로서 범용토양유실공식 모델을 채택한 바 있다. 이 고시에는 범용토양유실공식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158개 지점에 대한 지역별 강우침식인자가 포함되어 있으나, 이 값은 1997년 이전에 만들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단위의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 통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961~2015년 기간의 54개 지점에 대한 연평균 강우침식인자를 재산정하였으며 새로운 등강우침식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에서 활용이 용이하도록 국내 167개 시 군별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값은 표토침식량을 예측하기 위한 업데이트된 강우침식인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esent updated regional annual mean rainfall erosivity data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published the notice about investigation and survey procedure for the amount of topsoil erosion and adopted 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다수의 연구자가 각자의 연구방법으로 강우침식인자 값을 나름대로 제시하였지만, 기존 강우침식인자 값과 연구자별로 산정된 지점별 값의 편차가 커서 실무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R)USLE 강우운동에너지식을 이용하여 국내 50개 이상 지점의 연평균 강우침식인자를 제시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비교 연구를 통해 2015년 까지의 강우사상이 포함된 새로운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값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 1997). 본 연구는 대규모 개발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나 사전환경성검토, 사전재해영향평가, 댐의 비유사량 산정, 장기간에 걸친 연평균 토양유실량 추정 등에 적용되어 온 범용 토양유실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또는 개정 범용토양유실공식(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모델에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한국의 지역별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값을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 (2011)은 기존 강우침식인자 값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동일 자료, 동일 지점, 동일 기간에 대해서도 연구자의 분석방법에 따라 강우침식인자 값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제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최근까지 국내외 학계에 발표된 한국의 강우침식인자 관련 연구결과를 수집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토사유출량 및 표토의 침식량 산정을 위한 지역별 강우침식인자 값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침식인자는 무엇인가? 강우침식인자(rainfall erosivity)는 20년 이상의 연평균 토양침식량을 추정하기 위한 범용토양유실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및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의 매개변수 중에 하나로서 강우가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식성지표(erosive index)를 나타낸다(Wischmeier and Smith, 1978; Renard et al., 1997).
USLE는 무엇인가? , 1997). 본 연구는 대규모 개발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나 사전환경성검토, 사전재해영향평가, 댐의 비유사량 산정, 장기간에 걸친 연평균 토양유실량 추정 등에 적용되어 온 범용 토양유실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또는 개정 범용토양유실공식(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모델에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한국의 지역별 연평균 강우침식인자 값을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USLE 또는 RUSLE의 경험적 추정 식은 무엇인가? A = RKLCSP       (1) 여기서, A는 연평균 토양침식량, R는 강우침식인자, K는 토양침식성 인자, L은 경사길이인자, C는 경사도 인자, P는 식생피복인자, P는 보전관리인자를 의미한다. 강우침식인자(rainfall erosivity)는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침식의 정도 를 숫자로 나타낸 값으로 호우사상별 강우에너지와 30분 최대 강우강도의 곱(단위: MJmm/ha/hr/yr)으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u, Q., Gantzer, C. J., Jung, P., and Lee, B. (2000). "Rainfall Erosivity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econd Quarter Vol. 55, No. 2, pp. 115-120. 

  2. Jung, C., Jang, W., and Kim, S. (2016). "Spatial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and estimation of rain erosivity factor R in revised USLE using 1 minute rainfall data and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9, No. 4, pp. 130-145. 

  3. Jung, K., Kim, W., Hur, S., Ha, S., Jung, P., and Jung, Y. (2004). "USLE/RUSLE facto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37, No. 4, pp. 199-206. 

  4. Jung, P., Ko, M., Im, J., Um, K., and Choi, D. (1983).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ng soil los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16, No. 2, pp. 112-118. 

  5. Jung, Y., Kwon, Y., Im, H., Ha, S., and Yang, J. (1999). "R and K factors for an application of RUSLE on the slope soils in Kwangwon-do,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32, No. 1, pp. 31-38. 

  6. Kang, M., Park, S., Im, S., and Kim, H. (2003). "Computing the half-month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for RUS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5, No. 3, pp. 29-40. 

  7. Lee, J. (2012). Estimation of annual rainfall erosivity and development of iso-erodent map for the Korea peninsula. Doctor in Philosophy Thesis, Yonsei University, pp. 58-60. 

  8. Lee, J., and Heo, J. (2011). "Evaluation of estimation methods for rainfall erosivity based on annual precipitation in Korea." Journal of Hydrology, Vol. 409, No. 1-2, pp. 30-48. 

  9. Lee, J., and Heo, J. (2014). "Classification of storm events for estimating rainfall erosivity." Proceeding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4 Convention Conference, 2014.10, pp. 1019-1020. 

  10. Lee, J., and Won, J.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of monthly rainfall erosivity in Korea with derivation of rainfall energy eq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3, pp. 177-184. 

  11. Lee, J., Oh, K., and Heo, J. (2011). "Estimation of rainfall-runoff erosivity using modifie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8, pp. 619-628. 

  12. Lee, J., Shin, J., and Heo, J. (2011). "Evalua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Korea using different kinetic energy equation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44, No. 3, pp. 337-343.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Notification concerning investigation on condition of topsoil erosion.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s and Transport (1992).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specific sediment yield in watershed for dam design. 

  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6). Guideline of practical technologies for damage assessments and countermeasure for geohazards. 

  16.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998). Study on the sediment yield estimation due to land development. 

  17.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09). Improvement of estimation method on parameters of soil erosion model. 

  18. Park, C., Son, Y., Hyun, B., Song, K., Chun, H., Moon, Y., and Yun, S. (2011). "The redetermination of USLE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on of soil loss at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44, No. 6, pp. 977-982. 

  19. Park, J., Woo, H., Pyun, C., and Kim, K. (2000). "A study of distribu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USLE/RUSLE for estimation of soil los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3, No. 5, pp. 603-610. 

  20. Renard, K.G., Foster, G. R., Weesies, G. A., McCool, D. K., and Yode, D. C. (1997).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USDA Agriculture Handbook, No. 703. 

  21. Risal, A., Bhattarai, R., Kim, D., Park, Y., Yang, J., and Lim, K. (2016). "Application of Web ERosivity Module (WERM) for estimation of annual and monthly R factor in Korea." Catena, Vol. 147, pp. 225-237. 

  22. Shin, J., Koh, M., and Im, J. (1983). "An approximation of the rainfall factor (R) in predicting soil los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16, No. 2, pp. 106-111. 

  23. Shin, Y. (2010). Estimation of rainfall erodibility factor R in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using 1 minute rainfall data. Master degree thesis, Jeonbuk University, pp. 28-31. 

  24. Wischmeier, W. H., and Smith, D. 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Agriculture Handbook, No. 537, Washington, D.C.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