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샴푸 코아세르베이트 정량 분석법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Amount of Coacervate in a Shampoo Formula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3, 2018년, pp.267 - 275  

송상훈 (LG생활건강기술연구원) ,  박봉정 (LG생활건강기술연구원) ,  손성길 (LG생활건강기술연구원) ,  최수규 (LG생활건강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투과도 평가법, 유리관 정치법원심분리 평가법을 통해 샴푸의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을 정량화하는 시도를 하였으며, 각 방법의 수행 조건을 달리하여 값의 정확성을 높이고 편차를 적게 하는 가장 최적의 조건을 구해서 평가법의 표준화를 확립하였다. 코아세르베이트가 많이 생성되는 샘플과 적게 생성되는 샘플을 선정하여 서로 비교하여 검증한 결과, 다양한 조건에서의 투과도 값 및 원심분리 값에 대한 재현성과 유의차를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심분리법은 빠르고 적은 편차로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법임을 결론내릴 수 있었으며, 건조잔량분과 수분을 포함한 코아세르베이트의 폴리머간 생성 패턴 차이가 없음도 발견하여 액상 상태로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평가할 수 있는 편리한 평가법임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fy amount of coacervate generated in a formulation of shampoo with three methods using optical transmission, suspension in a glass tube, and centrifugation. For the correct data acquisition, each method has been optimized to estimate the amount of coacervate with minim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까지 코아세르베이트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조건을 찾아내어 합리적인 평가법을 발견하려는 노력에 비해 다양한 평가법을 도입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해서 정량 연구한 논문은 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정량적인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 평가법을 도입하여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이 많고 적은 처방으로 객관적인 비교를 통해서 가장 실용성 있는 평가법을 발견하고자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A) Pellet indicating coacervate are shown in suspension for 3 days, but the border line at the interface between liquid and coacervate is unclear. (B) Coacervate was not generated even in centrifugation twice.
  • 실험의 특성상 침전물이 불안정한 고형 상태인 다른 유리관 정치법에는 적용하지 못하고 원심분리법에서만 시험해 보았다. 하지만 두 평가 방법은 침전물을 보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결론을 일반화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샴푸의 일반적인 기능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의 샴푸의 일반적인 기능은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두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는 세발용 기능을 갖는다. 또한, 빗질의 용이성, 모발에 부드러움, 매끄러움 또는 윤기 부여,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또는 모발 보호 등의 컨디셔닝 기능으로도 사용된다.
코아세르베이트의 역할은 무엇인가?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컨디셔닝 기능을 주는 양이온 폴리머 및 컨디셔닝 오일과 함께 샴푸에 첨가하면, 상의 층 분리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코아세르베이트라고 한다[4-9]. 코아세르베이트는 샴푸 과정에서 헹굼에서 해당 컨디셔닝 성분의 수송력을 향상시켜 흡착력을 높인다[10-16]. 즉, 샴푸의 컨디셔닝 기능을 좌우하는 것은 코아세르베이트의 폴리머 및 오일의 전달력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17,18].
샴푸 배합 전체에 적용시킬 수 있는 평가법으로 원심 분리법이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향후, 수분함량에 관해서 셀룰로오스 폴리머 외 구아검 같은 다른 종류 폴리머로도 평가하여서 샴푸 배합 전체에 적용시킬 수 있는 평가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다양한 평가법 간에 생성량의 편차가 발생해서 실제 코아세르베이트 양과 어느 결과값이 근접한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원심분리법은 수분 제거를 통한 구성 성분 조건이 변한 후에도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원심분리법을 활용할 경우 상대 정량 비교가 가능함을 알 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 Desmond Goddard, T. S. Phillips, and R. B. Hannan, Water soluble polymer-surfactant interaction part I, J. Soc. Cosmet. Chem., 26(9), 461 (1975). 

  2. J. A. Faucher, E. D. Goddard, and R. B. Hannan, Sorption and desorption of a cationic polymer by human hair : effect of salt solutions, Textile Res. J., 47(9), 616 (1977). 

  3. Y. K. Kamath, C. J. Dansizer, and H. D. Weigmann, Surface wettability of human hair. III. Role of surfactants in the surface deposition of cationic polymers, J. Appl. Polymer Sci., 30(3), 1 (1985). 

  4. H. G. Bungenberg de Jong, Colloid Science, ed. H. R. Kruyt, Elsevier publishing co. Inc, Amsterdam, 335 (1949). 

  5. J. Caelles, F. Comelles, J. S. Leal, J. L. Parra, and S. Anguera, Anionic and cationic compounds in mixed systems, Cosmet. & Toil., 106, April (1991). 

  6. E. D. Goddard, P. S. Leung, and K. P. A. Padmanabhan, Novel gelling structures based on polymer/surfactant systems, J. Soc. Cosmet. Chem., 42(1), 19 (1991). 

  7. R. L. Schmitt, B. Brook, E. D. Goddard, and A. Edison, Investigation into the adsorption of cationic polymers, Cosmet. Toil., 109, 1 (1994). 

  8. P. Hoessel, R. Dieing, R. Noernberg, A. Pfau, and R. Sander, Conditioning polymers in today's shampoo formulations - efficacy, mechanism and test method, International J. Cosmet. Sci., 22, 1 (2000). 

  9. M. Gamez-Garcia, Controlling the deposition of insoluble actives to hair from shampoo systems, Personal Care, May (2002). 

  10. S. Chiron, Performance and sensorial benefits of cationic guar in hair care applications, Cosmet. Toil., 119, February (2004). 

  11. Y. Hiwatari, K. Yoshida, T. Akutsu, M. Yabu, and S. I. Polyelectrolyte, Micelle coacervation - effect of coacervate on the properties of shampoo, J. Soc. Cosmet. Chem. Japan., 26(6), 316 (2004). 

  12. E. Terada, Y. Samoshina, T. Nylander, and B. Lindman, Adsorption of cationic cellulose derivatives/anionic surfactant complexes onto solid surface. I. Silica surfaces, Langmuir, 20(5), 1753 (2004). 

  13. E. Terada, Y. Samoshina, T. Nylander, and B. Lindman, Adsorption of cationic cellulose derivatives/anionic surfactant complexes onto solid surface. II. Hydrophobized silica surfaces, Langmuir, 20(16), 6692 (2004). 

  14. F. E. Antunes, E. F. Marques, R. Gomes, K. Thuresson, B. Lindman, and M. G. Miguel, Network formation of cationic vesicles and oppositely charged polyelectrolytes. Effect of polymer charge density and hydrophobic modification, Langmuir, 20(11), 4647 (2004). 

  15. S. Zhou, C. Xu, J. Wang, P. Golas, and J. Batteas, Phase behavior of cationic hydroxyethyl cellulose-sodium dodecyl sulfate mixtures: effect of molecular weight and ethylene oxide side chain length of polymers, Langmuir, 20(20), 8482 (2004). 

  16. C. Goh, New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s for hair care, Asia Pac. Personal Care, September (2005). 

  17. R. Y. Lochhead and L. R. Huisinga, A brief review of polymer/surfactant interaction, Cosmet. Toiletries, 119(2), February (2005). 

  18. R. Y. Lochhead and L. R. Huisinga, Advances in polymers for hair conditioning shampoos, Cosmet. Toil., 120(5), May (2005). 

  19. C. Lepilleur, J. Mullay, C. Kyer, P. McCalister, and T. Clifford, Use of statistical modeling to predict the effect of formulation composition on coacervation, silicone deposition, and conditioning sensory performance of cationic cassia polymers, J. Cosmet. Sci., 62, 161 (2011). 

  20. M. W. Liberatore, N. B. Wyatt, and M. Henry, Shear-induced phase separation in polyelectrolyte/mixed micelle coacervates, Langmuir, 25(23), 13376 (2009). 

  21. L. A. Wilgus, K. Davis, L. Labeaud, L. Gandolfi, and R. Y. Lochhead, A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polymer/surfactant coacervate between solution and foamin archetypal shampoo systems, J. Cosmet. Sci., 62,17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