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검정법에 의한 전남지역 논잡초 발생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분포
Occurrence Patterns of Paddy Weeds and Distribution of Resistant Weed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in Jeonnam by a Soil Assay Method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7 no.3, 2018년, pp.191 - 199  

정장용 (순천대학교) ,  윤영범 (순천대학교) ,  장세지 (순천대학교) ,  현규환 (순천대학교) ,  신동영 (순천대학교)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  권오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국용인 (순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잡초발생 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여부 검증 및 저항성 잡초 발생 논면적을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2017년 전남지역 358 필지에서 채취한 토양에 발생한 잡초의 경우 생활사별로 분류한 경우 일년생 96.1%와 다년생 3.9% 발생하였고, 형태적으로 분류한 경우 광엽잡초 59.0%, 사초과 28.3%, 화본과 12.7% 순으로 발생하였다. 비록 전남에서도 시 군별 논잡초 발생 초종수와 초종별 발생율에 차이가 있으나 미국외풀, 물달개비, 여뀌바늘,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논피, 물피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남지역에서는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미국외풀, 여뀌바늘, 물피, 논피 7초종이 발생하였다. 비록 전남 시 군별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잡초 초종수와 발생율은 다르나 이중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는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전남 23개 시 군에서 발생하였다. 전남지역의 ALS 저해제 저항성 발생율(51.5%)에 기초한 저항성 논잡초 발생 논면적는 91,543 ha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효율적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s of paddy weeds, their resistance level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and to estimate the areas of resistance in these paddy fields. We used soil collected from 358 paddy fields of Jeonnam province in 2017. Based on their life cycles, weed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잡초발생 양상과 acetolactate synthase(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여부를 검증하여 저항성 잡초 발생 논 면적을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에서 잡초의 문제점은? 농경지에서 잡초는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저하하고, 병해충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수확 시 농작업을 방해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의 풀 종류 및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전남지역 23개 시·군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제초제 저항성 논잡풀은 무엇인가? 그 밖의 지역에서는 4풀 종류 이하가 발생하였다. 특히 물달개비는 23개 시·군 모두에서 발생하여 가장 문제시되는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2012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중 물달개비의 발생비율이 39.1%로 가장 많이 발생했었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Lee et al., 2013).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 무엇이 중요한가? 농경지에서 잡초는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저하하고, 병해충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수확 시 농작업을 방해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의 풀 종류 및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논에 발생한 잡초는 1971년부터 10년 주기로 1981년, 1991년과 그리고 2000년과 2013년에 조사한 결과 좋은 점 잡풀 종류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H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un, J.C. and Shin, H.S. 1994. Efect of depth of tuber buria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uber sprouting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Kor. J. Weed Sci. 14(1):49-55. (In Korean) 

  2. Ha, H.Y., Hwang, K.S., Suh, S.J., Lee, I.Y., Oh, Y.J., et al. 2014.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eld in Korea. Kor. J. Weed Sci. 3(2):71-77. (In Korean) 

  3. Heap, I. 2017. The international survey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http//:www.weedscience.org (Accessed Jul. 10, 2017) 

  4. Im, I.B., Im, B.H., Park, J.H., Jang, J.H., Im, M.H., et al. 2015. Weeds on rice paddy feld of Jeonnam western region. Kor. J. Weed Sci. 4(4):295-307. (In Korean) 

  5. Itoh, K. and Wang, G.X. 1997. Occurrence of sulfonylurea resistant Lindernia micrantha D. Don. in Japan. J. Weed Sci., Tech. 42(Suppl.):16-17. (In Japanese) 

  6. Kim, S.C. 1983. Statu of paddy weed f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Kor. J. Weed Sci. 3(2):223- 245. (In Korean) 

  7. Kim, S.J., Kim, Y.H., Lee, W.H., Choi, C.D., Kim, C.Y., et al. 1997. Weed occurrence in lowland rice feld in Gyeongbuk province. Kor. J. Weed Sci. 17(3):262-268. (In Korean) 

  8. Kim, S.K. and Kim, H.Y. 2013.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sulfonylurea-resistant weeds in paddy felds of Gyeongbuk province. Kor. J. Weed Sci. 2(2):131-137. (In Korean) 

  9. Kuk, Y.I., Kwon O.D., Shin, D.Y., Kwon, B.S., Jeong, A.G., et al. 2003. Germination and growth of sulfonylurea herbicide-susceptible and -resistant Monochoria vaginalis, Lindernia dubia, and Rotala indica biotypes and rice yield loss by the resistant weeds. Kor. J. Weed Sci. 23(2):143-152. (In Korean) 

  10. Kwon, O.D., Koo, S.J., Kim, J.S., Lee, D.J., Lee, H.J., et al. 2000. Herbicide response and control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Monochoria vaginalis in paddy felds in Chonnam province, Korea. Kor. J. Weed Sci. 20(1):46-52. (In Korean) 

  11. Lee, I.Y., Kim, C.S., Lee, J.R., Park, T.S., Moon, B.C., et al. 2016.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paddy felds over the last 50 years in Korea. Kor. J. Weed Sci. 5(1):1-4. (In Korean) 

  12. Lee, I.Y., Park, J.S., Seo, Y.H., Kim, E.J., Lee, S.G., et al. 2012. Occurrence trend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elds in Korea. Kor. J. Weed Sci. 32(2):121-126. (In Korean) 

  13. Lee, I.Y., Won, T.J., Seo, Y.H., Kim, E.J., Yun, Y.T., et al. 2013. Occurrence trends of SU-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elds in Korea. Kor. J. Weed Sci. 2(3):318-321. (In Korean) 

  14.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eld in Korea. Kor. J. Weed Sci. 1(1):21-29. (In Korean) 

  15.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2.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ora in paddy rice feld. Kor.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16. Park, J.E., Lee, I.Y., Moon, B.C., Park, T.S., Lim, S.T., et al. 2001.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ora in paddy rice feld. Kor. J. Weed Sci. 21(4):327-334. (In Korean) 

  17.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eld in Korea. Kor.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18. Park, T.S., Lee, I.Y., Seong, K.Y., Cho, H.S., Kim, M.H., et al. 2013. Alternative herbicides to control herbicide resistant and troublesome weeds in paddy felds. Kor. J. Weed Sci. 2(3):248-253. (In Korean) 

  19. Park, T.S., Lee, I.Y., Seong, K.Y., Cho, H.S., Park, H.K., et al. 2011. Status and prospect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rice feld of Korea. Kor. J. Weed Sci. 31(2):119-133. (In Korean) 

  20. Park, T.S., Seong, K.Y., Cho, H.S., Seo, M.C., Kang, H.W., et al. 2014. Current status, mechanism and control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rice felds of Korea. CNU J. Agric. Sci. 41(2):85-99. (In Korean) 

  21. Statistics Korea. 2017. Statistics of agricultural area.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