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담댐유역의 다지점 유량관측 자료 이용에 따른 SWAT 모형의 정확도 향상성 평가
Evaluation of Accuracy Improvement of SWAT Model for the Yongdam-Dam Watershed based on Multi-Point Hydrological Observation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3, 2018년, pp.104 - 118  

신형진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박민지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이지완 (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융합연구원) ,  강석만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채효석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융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과 다지점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정확도 향상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시험유역의 수위자료를 측정하고 있는 용담댐($930.4km^2$), 동향($165.5km^2$), 천천($290.9km^2$), 주천($57.8km^2$), 석정($80.5km^2$) 유역으로 70%이상이 산림유역이다.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강수자료는 기상관측소 2개(장수, 금산)관측소와 기상청, 국토부,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AWS 16개의 2003~2011년 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3~2011년의 용담시험유역의 신뢰할만한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5지점의 일 유출량을 이용하여 단일지점(용담댐)과 다지점(동향, 천천, 주천, 석정)의 유출량을 검 보정하여 비교하였다. 모의 결과 단일지점의 소유역(동향, 천천, 주천, 석정)의 $R^2$는 0.84, 다지점은 0.88, 단일지점의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 0.45, 다지점은 0.70으로 보다 향상된 모의 결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improvement of the model using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and multi - point hydrological observation data. The watershed is located in the Yongdam Dam($930.4km^2$), the Donghyang($165.5km^2$), the Chuncheon($290.9k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위해 18개 강우관측소의 강우량 자료와 5지점의 소유역의 유출량 관측값이 존재하는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단일지점과 다지점의 보정을 통한 준분포형 모형인 SWAT을 각각 구축하였다. 두 보정 방법의 결과 비교를 통해 준분포형 모형에서 다지점 보정 방법 적용 시 모형 효율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모형의 효과적인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평가하고, 모형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다지점 유출량 자료를 통한 SWAT 모형의 불확실성 감소 및 예측 능력을 향상시켜 모형의 정확도 향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수문,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수문모형의 검보정시 불확실성 및 결과의 오차를 줄이고자 단일지점 및 다지점 보정에 따른 유출특성 분석 및 모형의 적용성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 모형이란 무엇인가?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에서 개발된 일 단위 모의가 가능한 유역단위의 준분포형 모형이다(Arnold et al., 1996).
SWAT 모형은 어떤 지표들에 대해 각 수문반응단위(HRU) 별로 계산이 가능한가? , 1996).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장기 강우-유출 모형으로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유출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물수지 방정식에 근거를 두고 강수, 증발산, 지표유출, 기저유출, 지하수, 토양수분 등에 대한 모의를 각 수문반응단위(HRU) 별로 계산 할 수 있다(Arnold et al., 1998).
SWAT 모형에서 일별 유출량과 잠재증발산량은 각각 어떤 방법을 통해 산정하는가? , 1998). SWAT 모형에서 일별 유출량은 SCS(Soil Conservation Service) CN (Curve Number) 방법을 통하여 산정하며, 잠재증발산량은 Penman-Monteith 방법을 이용한다. SWAT 모형에서 사용되는 물수지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Neitsc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R., J.W. Lee, S.S. Jang and S.J. Kim. 2016. Large Scale SWAT Watershed Modeling Considering Multi-purpose Dams and Multi-function Weirs Operation -For Namha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4):21-35. 

  2. Ahn, S.R., G.A. Park, I.K. Jung, K.J. Lim and S.J. Kim. 2011. Assessing Hydrologic Response to Climate Change of a Stream Watershed Using SLURP Hydrological Model.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5(1):43-55. 

  3. Arnold, J.G. and P.M. Allen. 1996. Estimating hydrologic budgets for three Illinois watersheds. Journal of Hydrology 176(1):57-77. 

  4. Arnold, J.G., R Srinivasan, R.S. Muttiah and J.R Williams.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73-89. 

  5. Beven, K.J. 2000. Rainfall-Runoff Modeling : the Primer. John Wiley & Sons Press, New York. 

  6. Boscarello, Laura, Giovanni Ravazzani, Marco Mancini. 2013. Catchment Multisite Discharge Measurements for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19:158-167. 

  7. Choi, Y.S., C.K. Choi and K.T. Kim. 2012. Development of a Multi-Site Calibration Module of Distributed Model-The Case of GR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03-118. 

  8. Doherty, J. and J.M. Johnston. 2003. Methodologies for calibration and predictive analysis of a watershed model. J. Am. Water Resour. Assoc. 39(2):251-265. 

  9. Duan, Q., S. Sorooshian and V.K. Gupta.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 Res. 28:1015-1031. 

  10. Gupta, H.V., S. Sorooshian and P.O. Yapo. 1998. Toward improved calibration of hydrologic models: multiple and noncommensurable measures of inform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4:751-763. 

  11. Gupta, H.V., S. Sorooshian and P.O. Yapo. 1999. Status of automatic calibration for hydrologic models: comparison with multilevel expert calibration. Journal Hydrologic Engineering 4:135-143. 

  12. Hong, W.Y., M. Park, J.Y. Park, G.A. Park and S.J. Kim. 2010. The 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ODIS NDVI and SWAT Predicted Soil Moisture during Forest NDVI Increasing and Decreasing Period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4(6):931-939. 

  13. Kim, J., K. Son, J. Noh, C.L. Jang and I.H. Ko. 2006. Multi-variable and Multi-site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SWAT for the Gap River Catch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10):867-880. 

  14. KIWE, 2013. 2013 year YongDam test basin Operation White Paper. Daejeon South KOREA. 

  15. Kwon, H.J., E.H. Hwang, G.S. Lee, B.H. Yu and D.K. Koh. 2008.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e-and Post-Processing System to Yongdamdam Watershed using PRMS Hydrologic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13-22. 

  16. Lamb, R. and A.L. Kay. 2004. Confidence intervals for a spatially generalized, continuous simulation flood frequency model for Great Britain. Water Resour. Res. 40:W07501. doi:10.1029/2003WR002428. 

  17. Lee, G.S., Y.R. Kim, L. Ye and E.R. Lee. 2009. The Analysis of Suspended Sediment Load of Donghyang and Cheoncheon Basin using GIS-based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82-98. 

  18. Lee, Y.G., S.H. Lee, S.R. Ahn, M.H. Choi, K.S. Lim and S.J. Kim. 2015.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and SEBAL Model -A Case of Yongdam 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90-104. 

  19. Li, X., E.W. Donald and E.J. Thomas. 2010. Watershed model calibration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nd multi-site averaging. Journal of Hydrology 380:277-288. 

  20. Mkhwanazi, M., J.L. Chavez and E.H. Rambikur. 2012. Comparison of Large aperture scintillometer and satellitebased energy balance models in sensible heat flux and crop evapotranspiration deter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Applications 12:21-30. 

  21. Nash, J.E. and J.V.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283-290. 

  22. Neitsch, S.L., J.G. Arnold, J.R. Kiniry, J.R. Williams, and K.W. King.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TWRI Report TR-191 College Station, TX: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23. Park, G.A., S.R. Anh, Y.J. Lee, H.J. Shin, M.J. Park and S.J. Kim. 2009.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inflow and outflow of two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52(5):1869-1883. 

  24. Park, G.A., J.Y. Park, H.K. Joh, J.W. Lee, S.R. Ahn and S.J. Kim. Evaluation of Mixed Forest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using Measured and SWAT Simulated Results in a Hillslope Watershed.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DOI 10.1007/s12205-014-0193-z (Published online: 30 November 2013a) 

  25. Park, M., J.Y. Park, H.J. Shin, M.S. Lee, G.A. Park, I.K. Jung and S.J. Kim. 2010. Proje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impacs on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for a forest dominant dam watershed by reflecting future vegetation canopy in a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Water Science & Technology-WST 61(8). 

  26. Park, M., H.J. Shin, J.Y. Park, G.A. Park and S.J. Kim. 2012. Comparison of Watershed Streamflow Using Projected MIROC3.2 HiRes GCM Data and Observed Weather Data for 2000-2009 under SWAT Simulation. Transactions of the ASABE 55(3):1003-1010. 

  27. Park, M., R.H., N.W. Kim, K.J. Lim and S.J. Kim.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Vegetation Canopy Change Impacts on Hydrological Behavior of Chungju D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DOI 10.1007/s12205-013-0176-5 (Published online: 30 November 2013b). 

  28. Park, J.Y., G.A. Park and S.J. Kim. 2013c.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Quality of Chungju Lake, South Korea, Using WASP Coupled with SWA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6):1225-1238. 

  29. Park, J.Y., H. Jung, C.H. Jang and S.J. Kim. 2014.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al Components of Yongdam Dam Watershed Using RCP Emission Scenarios and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3):19-29. 

  30. Shin, H.J., M.J. Park and S.J. Kim. 2012. Evaluation of Forest Watershed Hydro-Ecology using Measured Data and RHESSys Model-For the Seolmacheon Catch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2):1293-1307. 

  31. Van Liew, M.W., J.G. Arnold, and D.D. Bosch. 2005. Problems and potential of autocalibrating a hydrologic model. Transactions of ASAE 48:1025-1040. 

  32. Vandewiele, G.L. and A. Elias. 1995. Monthly water balance of ungauged catchments obtained by geographical regionalization. J. Hydrol. 170:277-291. 

  33. Zhang, X., P. Beeson, R. Link, D. Manowitz, R.C. Izaurralde, A. Sadeghi, A.M. Thomson, R. Sahajpal, R. Srinivasan and J.G. Arnold, 2013. Efficient multi-objective calibration of a computationally intensive hydrologic model with parallel computing software in Python.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46:208-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