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DIS Fire Spot 정보와 5km 기상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접근불능지역의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re Weather Index Model in Inaccessible Areas using MOD14 Fire Product and 5km-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3, 2018년, pp.189 - 204  

원명수 (국립산립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장근창 (국립산립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윤석희 (국립산립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 및 비무장지대 등 접근불능지역에 대한 기상에 의한 산불발생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과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산불위험예보 체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을 위해 자료의 취득과 검증을 위한 현장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연구적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DIS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산불발화지점(fire spot)을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추정하였다. 추출된 산불발화지점을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생산된 과거 기상 재분석자료(5㎞ 해상도)를 활용하여 산불발화지점에 대한 기상특성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화지점에서 추출된 기상요소들은 산불발생과 기상요인들과의 통계적 상관성과 산불발생 유무(산불발생 1, 산불 미발생 0)를 추정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변화에 의한 산불기상위험지수(Fire Weather Index, FWI)를 개발하였다. FWI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66.6%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남 북한의 산불 방지를 위한 정책 입안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developed a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for inaccessible areas such as North Korea and Demilitarized Zone and we have developed a real-time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fire-related works.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research that it is impossi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과 접경지역 등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MODIS 위성자료와 기상청에서 생산되는 5㎞ 공간해상도의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을 개발하여 한반도의 실시간 산불위험예보 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북한 및 비무장지대 등 접근불능지역의 산불기상위험지수(FWI) 산출 모형 개발을 위해 MODIS 산불 자료를 활용하여 산불발생정보를 수집하였다. Terra MODIS로부터 산출된 산불정보(총 3,637개)로부터 산불 확산 등으로 인한 중복된 산불발생지점을 제거함으로써 5년간(2011∼2015년)의 산불발화지점(총 1,469개) 정보를 최종 추출하였다.
  • 따라서 산불발생위험예보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산불확산 등의 영향에 의해 발생 가능한 산불발생위치의 넓은 분포 경향을 제거한 실제 발화지점의 정보의 산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OD14 위성정보로부터 산출된 산불발생지점의 발화지점을 특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첫째, 특정 픽셀에서 시계열적으로 산불이 탐지되었을 때, 최초로 탐지된 시점의 산불지점을 발화지점과 발생시기로 간주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생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불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상요인으로 기온, 습도, 풍속 등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산불위험지수(Daily Weather Index, DWI)를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5년간 MOD14product에서 추출한 산불발화지점(fire spot)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유무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 산불발생 관련 기상요인들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이란 무엇인가? 국내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이러한 산불발생위험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실시간 변하는 기상요인과 임상, 지형 등과 같은 산불발생 특성들을 이용하여 산불발생 위험 정도를 예측하고 예보할 수 있는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www.forestfire.
본 연구에서는 MOD14 산출물의 어떤 자료를 이용하였는가? MOD14 산출물의 산불발생지역 자료는 총 10가지로 분류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이 탐지된 정보 중 중간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자료(nominal, high confidence)만을 이용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산불자료 생산의 품질을 검사하여 최종적으로 산불발생 추정지점들을 추출하였다(그림 1).
산불발생과 관련 있는 기상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생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불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상요인으로 기온, 습도, 풍속 등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산불위험지수(Daily Weather Index, DWI)를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5년간 MOD14product에서 추출한 산불발화지점(fire spot)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유무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 산불발생 관련 기상요인들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추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S.H., M.S. Won, D.H. Kim, Y.H. Kang, M.B. Lee and S.Y. Lee. 2005.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risk and hazard regions in Uiseong-gu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hpic Information Studies 8(2):117-124. 

  2. Cunningham, A.A. and D.L. Martell. 1972. A stochastic model for the occurrence of man-caused forest fire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282-287. 

  3. Choi, G., J. Kim and M.S. Won. 2006. Spatial Patterns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Haines Index related to the Wildland Fire Growth Potential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2):168-187. 

  4. Davis, K.P. and A.A. Brown. 1959. Fire in the Forests. In: Forest Fire Control and Use Second Edition. McGraw-Hill. pp.3 -259. 

  5. Giglio L., J. Descloitres, C.O. Justice and Y.J. Kaufman. 2003. An enhanced contextual fire detection algorithm for MODIS. Romote Sensing of Environment 87:273-282. 

  6. Hong, S.K. 1987. Meteorology and fire. Kyohak Research Press. pp.67-71. 

  7. Lee, S.Y., S.Y. Han, M.S. Won, S.H. An and M.B. Lee. 2004. Developing of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by using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al and Forest Meteorology 6(4):242-249. 

  8. Lee, S.Y., M.S. Won and S.Y. Han. 2005. Developing of forest fire occurrence danger index using fue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 condition of ignition point in Korea.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19(4):75-79. 

  9. Lee, S.J., M.S. Won, K.C. Jang, B.D. Lee, S.W. Byun, K.J. Kim and Y.W. Lee. 2016. Construction of GIS Database for wildfire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data.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6(3):129-137.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 Science, Korea Forest Service. Korean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www.forestfire.nifos.go.kr. 

  11. Kang, S.C., M.S. Won and S.H. Yoon. 2016. Large fire forecasting depending on the changing wind speed and effective humidity in korean red pine forests through 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hpic Information Studies 19(4):146-156. 

  12. Korea Centre for Atmospheric Environment Research. 2012. Study on detection of forest fires and air-pollution using satellites p.125.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8. Degraded forest survey of North Korea with SPOT imagery. p7. 

  14. Korea Forest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44.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Abnormal Climate Report 2014 p.169. 

  16. Sung, M.K., G.H. Lim, E.H. Choi, Y.Y. Lee, M.S. Won and K.S. Koo. 2010. Climate change over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forest fire occurrence. Atmosphere 20(1):27-35. 

  17. Won, M.S., K.S. Koo and M.B. Lee. 2006. An analysis of forest occurrence hazards by chan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en-day intervals for 30 years in spr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4):250-259. 

  18. Won, M.S., S.Y. Lee, M.B. Lee and S. Ohga. 2010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55(2):221-229. 

  19. Won, M.S., M. Danesh, K.S. Koo, M.B. Lee and M.Y. Shin. 2010b. Meteorological determinants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the fall,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2):163-171. 

  20. Won, M.S., S.H. Yoon, K.S. Koo and K.H. Kim. 2011.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s during the dry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hpic Information Studies 14(3):150-162. 

  21. Won, M.S., M.B. Lee, W.K. Lee and S.H. Yoon. 2012. Prediction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digital forecast data and daily weather index(DWI)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1):1-10. 

  22. Won, M.S., S.H. Yoon and K.C. Jang. 2016. Developing Korean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reflecting climate change in the spring of 2000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al and Forest Meteorology 18(4):199-207. 

  23. Yoon, S.H. and M.S. Won. 2016. Correlation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s by change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hpic Information Studies 19(2): 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