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Cypriniformes, Cyprinidae) 후각기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Structure and Histological Characters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Microphysogobio yaluensis (Cypriniformes, Cyprinid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0 no.3, 2018년, pp.161 - 166  

김현태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용주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형수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박종영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의 후각기관과 서식처 및 생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 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22~24개의 후판들과 비선으로 구성되었다.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감각상피는 후감각신경,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산성과 중성을 갖는 황점액소의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각기관들의 특징들은 돌마자의 높은 후각능력과 의존성 그리고 서식처 환경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류학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lfactory organ of Korean endemic fish Microphysogobio yaluensis are described anatomically and histologically, focused on relationship to its habitat and ecology. The paired olfactory organs are located at the dorsal snout, and externally consist of two semicircular nostrils and single nasal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돌마자의 비감각상피를 구성하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점액세포 또한 다른 잉어목 어류의 후각기관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 알려진 바 있다 (Ghosh and Chakrabarti, 2016). 그러나 본 연구에서 경골어류의 일반적인 특성과 비교되는 돌마자 후각기관의 특이적인 2가지 조직학적 결과를 제시한다. 첫째, 돌마자의 비감각섬모세포는 후판가장자리의 비감각상피에서만 발달하며 2~3개의 세포가 밀접하여 그룹화를 이룬다.
  • , 2013), 돌마자와 같은 저서 표층성(bentho-pelagic) 또는 표층성(pelagic) 어류에 관한 후각기관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고유종 돌마자 후각기관의 구조와 조직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서식처 및 생태적 습성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종 보전 및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마자의 후각기관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의 후각기관과 서식처 및 생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 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22~24개의 후판들과 비선으로 구성되었다.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감각상피는 후감각신경,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산성과 중성을 갖는 황점액소의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돌마자의 분포지역은? yaluensis의 5종은 모두 국내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이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이 가운데 돌마자는 다른 종과 비교하여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및 대부분의 독립하천 수역에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또한 활동성이 비교적 느리고 유속이 완만한 자갈이나 모래바닥에 서식하면서, 부착조류 및 수서 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Park, 2002).
돌마자의 생태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 가운데 돌마자는 다른 종과 비교하여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및 대부분의 독립하천 수역에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또한 활동성이 비교적 느리고 유속이 완만한 자갈이나 모래바닥에 서식하면서, 부착조류 및 수서 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Park, 2002). 어류의 감각기관과 이를 포함한 외부 형태는 독특한 생태적 습성과 서식처 환경에 적응한 진화적 결과로 알려져 있는데 (Motta and Kotrschal, 1991), 특히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특성들은 서식처의 물리 및 화학적 요소들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Ghosh and Chakrabarti, 2009, 2011;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krabarti, P. and S.H. Choudhury. 2007. The fne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Cyprinus carpio (Linnaeu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Folia Morphol., 66: 10­-14. 

  2. Filipe, M.I. 1979. Mucins in the human gastrointestinal epithelium: a review. Invest Cell Pathol., 2: 195-­216. 

  3. Forstner, J. and G. Forstner. 1994. Gastrointestinal mucus. In: Johnson L, editor. Physi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vol. 2, 3rd ed., pp. 1255-1283. (New York: Raven Press) 

  4.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09. Cellular architecture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olfactory rosette of Wallago attu (Bleeker). Turk. J. Fish. Aquat. Sci., 9: 187-190. 

  5.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0. Histolog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rganization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surface olfactory epithelium of the freshwater minor carp, Puntius sophore (Hamilton). Proceed. Zool. Soc., 63: 115­-119. (Springer, Verlag). 

  6.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1. Distribution and organization of different cells lining the olfactory epithelium of the In­dian minor carp, Labeo bata (Hamilton, 1822): a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Pak. J. Biol. Sci., 14: 736-­741. 

  7.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3.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freshwater teleost, Labeo bata (Hamilton). Mesopot. J. Mar. Sci., 28: 163­-174. 

  8.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6. Histomorphological and micro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lfactory organ of freshwater carp, Cirrhinus reba (Hamilton). Arch. Polish Fish., 24: 201­-208. 

  9. Gurr, G.T. 1956. A practical manual of medical and biological staining techniques. Interscience, New York, pp. 1-99. 

  10. Hansen, A. and Z. Eckart. 1998.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 of the zebrafsh, Danio rerio: an ultrastructural study. Chem. senses, 23: 39-­48. 

  11. Hansen, A., H.P. Zippel, P.W. Sorensen and J. Caprio. 1999. Ultra­structur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in intact, axotomized, and bulbectomized goldfish, Carassius auratus. Microsc. Res. Tech., 45: 325­-338. 

  12. Hansen, A. and B.S. Zielinski. 2005. Diversity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bony fshes: development, lamellar arrangement, sensory neuron cell types and transduction components. J. Neurocytol., 34: 183­-208. 

  13. Hara, T.J. 1986. Role of olfaction in fsh behaviour. In: Pitcher, T.J. (ed.), The behaviour of teleost fishes, Springer, US, pp. 152-­176. 

  14. Hirsch, J.D. and F.L Margolis. 1981. Isolation, separation, and analysis of cells from olfactory epithelium. In Biochemistry of Taste and Olfaction, pp. 311-332. (Academic Press, New York) 

  15. Huang, S.P., Y. Zhao, I.S. Chen and K.T. Shao. 2017. A New Spe­cies of Microphysogobio (Cypriniformes: Cyprinidae) from Guangxi Province, Southern China. Zoological Studies, 56: 8. 

  16. Jeong, G.N. and U.B. Jo. 2007. Mucosubstance histochemistry of the epidermis in yellowtail, striped beakperch, brown spot­ted grouper, sea chub, and multicolorfn rainbowfsh. Integr. Biosci., 11: 183­-189. 

  17. Kim, H.T., Y.J. Lee and J.Y Park. 2016. An anatomical and histo­chemical study of the olfactory organ in rice-fsh Oryzias sinensis (Pisces: Adrianichthyidae) in South Korea. Korean. J. Ichthyol., 28: 223-­228. 

  18. Kim, H.T., Y.J. Lee and J.Y. Park. 2018. Functional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el goby, Odontamblyopus lacepedii (Pisces: Gobiidae). Appl. Microsc., 48: 11-­16. 

  19.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Korea. pp. 388­-389. (in Korean). 

  20. Kuciel, M., K. Zuwala and U. Satapoomin. 2013 Comparative morphology (SEM) of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 in the Oxudercinae subfamily (Gobiidae, Perciformes). Zool. Anz, 252: 424-­430. 

  21. Kumari, K. 2008.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rosette of a teleostean fsh: Catla catla (Ham.). Our Nature, 6: 30-­37. 

  22. Masson, P. 1929. Some histological methods. Trichrome stainings and their preliminary technique. J. Tech. Methods, 12: 75-90. 

  23. Motta, P.J. and K.M. Kotrschal. 1991. Correlativ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evolutionary approaches in ecomorpholo­gy. Nether. J. Zool., 42: 400­-415.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47pp. (in Korean) 

  25. Park, J.Y., I.S. Kim and S.Y. Kim. 2003. Structure and histochemis­try of the skin of a torrent catfsh, Liobagrus mediadiposalis. Environ. Biol. Fish., 66: 3­-8. 

  26. Sharma, R. and U. Schumacher. 1995. Morphometric analysis of intestinal mucins under different dietary conditions and gut fora in rats. Digest. Dis. Sci., 40: 2532-2539. 

  27. Shephard, K.L. 1994. Functions for fish mucus. Rev. Fish. Biol. Fisheries, 4: 401-­429. 

  28. Waryani, B., Y. Zhao, C. Zhang, R. Dai and A.R. Abbasi. 2013. Anatomical studie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two cave fishes Sinocyclocheilus jii and S. furcodorsalis (Cyprin­iformes: Cyprinidae) from China. Pakistan J. Zool., 45: 1091­-1101. 

  29. Yamamoto, M. 1982.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s in teleosts. In: Hara, T.J. (ed.), Chemore­ception in fshes, pp. 39-59. (Elsevier, Amsterdam) 

  30. Zeiske, E., J. Kux and R. Melinkat. 1976 Development of the ol­factory organ of oviparous and viviparous cyprinodonts (Teleostei). Zeitschrift fur Zoologische Systematik und Evolutionsforschung, 14: 34­-40. 

  31. Zeiske E., B. Theisen and H. Breucher. 1992 Structure, develop­ment, and evolutionary aspects of the peripheral olfactory system. In: Hara TJ (ed.). Fish chemoreception, pp. 13­-39. (Springer, Netherland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