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제방의 유지관리 효율성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of River Levee Safety Map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and Disaster Responsive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20 - 29  

김진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문인종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윤광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 및 홍수사상이 변화함에 따라 하천제방 붕괴 및 범람으로 인한 수재해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각종 수재해 시나리오에 대응 가능한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천제방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하여 하천제방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별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하천제방 안전도맵은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세굴, 제체재료 등의 안전도 지표를 GIS맵 상에 지도형태로 표출함으로써 육안으로 신속하게 위험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피해발생 이후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현 국내 제방관리 수준에서 벗어나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하천제방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 제안된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을 포함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에 세굴, 제체재료 등을 추가 및 보완한 후속논문으로서, 1)문헌 및 자료 조사를 통한 세굴 및 제체재료 3등급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시범평가를 통해 2)남강지역 좌안 5개소의 홍수위지속시간에 따른 활동 및 파이핑 특성, 3)남강지역 좌/우안 9개소의 세굴 및 제체재료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는 향후 하천관리자 행동요령, 보수 보강공법 선정, 소요 예산 산정 등을 연계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현실적이고, 활용성 높은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the changing climate and recent flood events, flood damage caused by river levee collapse and overflow is on the rise in Korea, making it necessary to enhance river levee maintenance technologies to deal with various flood damage scenarios. This paper proposes the evaluation system of a r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세굴에 의한 제방 붕괴 위험은 물의 흐름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하천 유속은 세굴을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굴 안전도 지표를 하천 유속을 통해 등급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 제안된 활동 및 파이핑, 육안점검 등의 안전도 지표 이외에 세굴 및 제체재료 등의 안전도 지표를 추가한 보완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굴 및 제체재료 안전도 지표에 대하여1)문헌 및 자료 조사, 2)안전도지표의 정량화된 평가 등급 기준 제시, 3)좌/우안 9개소에 대한 시범평가 등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시범평가의 경우 Kim&Moon(2017)에서 수행하지 못했던 좌안 5개소에 대한 활동 및 파이핑 평가를 추가 수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Fig. 1 및 Table 1에서 보듯이 Kim&Moon(2017)에서 제시한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외에 제체재료, 세굴 등의 안전도 지표를 추가하여 총 5가지의 안전도 지표를 포함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제방 안전도맵이란? 하천제방 안전도맵은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 하천제방 안전도 지표를 GIS맵 상에 지도형태로 표출하여하천제방의 안전도를 쉽게 판단하고, 관련 안전도 지표에 문제가 있을 시 보수・보강법 및 소요예산을 결정하는 등 국가 및 지방하천 관리기관 또는 하천관리자의 하천 유지관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개념이다. 따라서 하천제방 안전도 지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 및 기준이 명확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IPCC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근거로 우리나라를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가? IPCC(2007)[1]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CP8.5)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기후 및 홍수사상은 아열대 기후구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의 하천유역은 하천제방 붕괴 및 범람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 기후 및 홍수사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 고도화 및 재해 대응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 고도화 및 재해 대응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IPCC(2007)[1]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CP8.5)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기후 및 홍수사상은 아열대 기후구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의 하천유역은 하천제방 붕괴 및 범람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 기후 및 홍수사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 고도화 및 재해 대응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PCC 4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pp.1-10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eneva, Switzerland, 2007. 

  2. J. M. Kim, and I. J. Moon, "Evaluation System of River Levee Safety Map for Improving River Levee Maintenance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2, pp.768-777, 2016. DOI : http://doi.org/10.5762/KAIS.2017.18.12.768 

  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Disaster Risk Management Support System based on Multiple Scenarios: 3nd Extra Report", pp.313-314,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orea, 2016. 

  4.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River Design Criteria",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09. 

  5. Civil Engineering Laboratory of Hokkaido Development Bureau, "Defective Soil Countermeasure Manual in Hokkaido", Japan, 1985. 

  6. U.S. Army Corps of Engineers, "Foundation and Earth Structures", NAVFAC Manual, 1986. 

  7.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River Construction Design Practice Tips",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16. 

  8. JICE(Jap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ynamic Design of Revetments, Sankaido, 2007. 

  9. M. Th. Van Genuchten,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44, No.5, pp.892-898, 1980. 

  10. R. F. Carsel, and R. S. Parrish, "Developing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Water Resource Research, Vol.24, No.5, pp.755-769, 1988. 

  11. Ministry of Construction, "Design Guidlines for River Levees", Ministry of Construction, Japan, 2000. 

  12. L. Seo, and K. S. Yoon, "Estimation of Design Flood-Hydrograph for Unsteady Seepage Analysis Through River Lev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2, No.6, pp.275-286, 2012. DOI : http://dx.doi.org/10.9798/KOSHAM.2012.12.6.275 

  1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Disaster Risk Management Support System based on Multiple Scenarios: 2nd Extra Report", pp.217-26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orea, 2015. 

  14. K. K. Kwon, "An Improved Design Method of Levee Culvert Using 3D Seepage Analysis", Ph D. Dissertation, Kyunghee Univ., Korea, 2007. 

  15. S. Y. Kim and K. S. Yoon, "Study on Applicability of River Revetment Design for Consideration of Velocity Variation due to Meandering and Scour Effe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2, pp.17-25, 2016.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