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도지역 동천(洞天)의 위치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Geographic Locations of Dongcheons(洞天) in Gyeongsang-Do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3, 2018년, pp.16 - 25  

강기래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이해주 (국립수목원) ,  배준규 (국립수목원) ,  김희채 (국립수목원) ,  김창준 (국립수목원) ,  이현채 (국립수목원) ,  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김차권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천은 주변 경관에 대한 애착과 장소성을 통한 동질감과 우월의식, 정주 공간의 미화화 등의 목적으로 유학자들이 '동천'이라는 용어를 주로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동천'이라는 언어가 포함된 암각문 또는 현판 등에 새긴 음각문은 경상도 지역에 11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경상북도 지역에는 확인된 '동천' 암각문이 79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영주시가 20개소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봉화군이 16개소, 안동시가 11개소, 영양군과 울진군이 7개소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 중 나무현판 형태로 된 것이 2개소이며, 마을회에서 마을의 표지석으로 세운 것이 6개소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된 14개소는 멸실, 또는 미상의 상태이다. 또한 봉화군에서는 16개소 중 9개소가 초서체로 암각 되어 있었다. 경상남도 지역에는 26개소의 동천 암각문이 분포하고 있었다. 함양군과 산청군, 하동군에서 각 3개소의 암각문이 있었고, 마을의 표지석 형태로 제작된 곳이 7개소가 있었으며, "지봉유설"과 "택지리"에서 등장한 '화개동천'과 '금산동천'은 둘 다 최치원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현재까지 암각문을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전통 경관관련 연구나 금석문에 대한 연구, 지역의 문화 답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itially from the Taoist scriptures, 'Dongcheon' is a term that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lace in the real world for the enlightened ones who received relief and peace by restoring the human nature taught in the Confucian school. The long for an ideal world apart from the reality embodied a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천’ 자체에 대한 경관론적 연구나 이론적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동천’에 대한 암각문이나 현판 등에 새긴 음각문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현재 남아 있거나, 멸실, 또는 기록상으로만 전해져 오는 ‘동천’에 대한 확인 작업을 위해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에 분포하는 ‘동천’에 대한 바위 암각문의 전래 또는 문헌상 기록을 정리하고, 그 현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경상도 지역의 ‘동천’ 암각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의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현장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천의 의미는?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전래 종교의 근본적인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래 종교는 유(儒)·불(佛)·선(仙) 3교라고 할수 있다. 이러한 세 종교의 근본 목적은 인간의 본래 심성을 찾아 깨달음을 얻고, 평안을 누리는 데 있다. 유가(儒家)에서는 ‘도(道)’의 체득을 통한 대동사회(大同社會)를 꿈꾸었고[1], 불교에서는 본인의 수행에 따른 깨달음(覺)의 성취와 평안을, 도가자류(道家者流)에서도 도의 체득을 근본목적으로 삼고 있다.
유학자들은 동천이라는 용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하였는가?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천은 주변 경관에 대한 애착과 장소성을 통한 동질감과 우월의식, 정주 공간의 미화화 등의 목적으로 유학자들이 '동천'이라는 용어를 주로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S. Y.(2004).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Daedong(大同) Ideal Society Theory in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Choson Dynasty History Association. 30(9); 5-59. 

  2. Cha, Y. W.(1978). Hanskukdogyosasangyeongu.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Seoul. 

  3. www.http://encykorea.aks.ac.kr 

  4. Dojukkyeong(道迹經) 

  5. Kim, K. S.(2018). DongTian's Reappearance: Meaning of Soul Mountain in Utopianism. Journal of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37(-); 1-19. 

  6. Lee, H. S.(2013). A study on Gugoksi and Placeness of the Writers in Noron par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Journal of International Language, 59(-): 109-134. 

  7. Shin, H. Ganyijip(簡易集) Vol 3. 

  8. Lee, J. K. Wolsajip(月沙集) Vol 40. 

  9. Jang, Y. Kyegoksunsaengjip(谿谷先生集) 

  10. Kang, K. R., Lee, H. J., Kim, H. C., Lee, H. C. and Kim, D. P(2018). Study on the Geographic Locations of Gugoks and Dongcheons in D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Journal of Korea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3); 67-75. 

  11. www.baike.baidu.com/item. 

  12. Jang, K. B. Unkupchilchum(雲?七籤) 

  13. Lee, H. J.(2008)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ngcheon in the Traditional Space of Landscape Architecture. Master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14. Ulsan Daegok Museum(2010). An ideal world discovered in nature, the Gugok Culture. 

  15.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2014) Dongaksan Ilwon Gugok Haksuljosa. 

  16. www.http://encykorea.aks.ac.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