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취 시기와 발아 온도에 따른 진달래의 종자 및 발아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 and Germina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by Collection Dates and Germination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3, 2018년, pp.237 - 244  

최규성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식물양묘실) ,  송기선 (한국임업진흥원 임업지식서비스단) ,  구다은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종묘관리과) ,  이하나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성환인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김종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수종인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의 열매 및 종자의 특성을 조사하여 종자를 통한 대량번식 기술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진달래 열매는 강화군 고려산(435 m)에서 2013년 8월 26일, 9월 5일, 9월 12일, 10월 4일에 각각 채취하였다. 채취된 종자의 발아 온도 실험은 5, 10, 15, 20, 25, $30^{\circ}C$에서 실시하였다. 열매의 함수율은 2013년 9월 5일 채취 열매에서 54.5%로 가장 높았으며, 채취일자에 관계없이 열매의 종자개수는 91.3~116.3개였다. 종자의 길이는 10월 4일 채취 종자에서 $1947.4{\mu}m$, 폭은 9월 12일에서 $727.3{\mu}m$로 가장 컸다. 발아율은 종자의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25^{\circ}C$에서 높았으며, 9월 12일 채취한 종자에서 27.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채취시기와 관계없이 5, 10 및 $30^{\circ}C$에서는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T_{50}$과 평균발아일수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발아균일도는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속도$25^{\circ}C$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진달래 종자의 적정 채취시기는 9월 12일~10월 4일 경이며, 적정 발아 온도는 $25^{\circ}C$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ecure basic data of seedling mass propagation technique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which is the native tree species of Korea by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fruit and seed. The fruits were collected at Mt. Goryeo in Ganghwa-gun on different dat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자생수종인 진달래를 대상으로 채취시기에 따른 열매와 종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시기별로 채취된 종자를 이용해 온도별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진달래 종자의 적정 채취시기와 최적 발아온도를 구명하고, 발아율이 저조한 진달래 종자를 이용한 증식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달래의 형태학적 특징은? )는 우리나라 전 지역의 양지바른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일본, 중국에도 분포하며, 높이 2~3 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잎의 표면에 인편이 약간 있다.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월에 피며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자홍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겉에 잔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서 원통형이며 10월에 익는다(Lee, 1982). 국내 재배품종은 약 100여종이 있으며, 이 중에서 진달래는 원예 및 조경용 수종으로의 개발가치가 높아 우량형질을 활용하여 신품종을 많이 육종하고 있다(Shin, 2008).
진달래속 식물의 번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진달래속 식물의 번식은 종자를 이용한 실생번식과 삽목, 분주, 조직배양 등 무성번식에 의해서 가능하나 삽목에 의한 번식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진달래는 삽목이 잘 되지 않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Shin, 2008; Chu, 2013).
종자를 채취하고자 할 때 적정 시기 판단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종자의 원활한 발아를 위해서는 종자의 채취시기가 중요한데, 조기 채취된 종자는 배 또는 배유의 미성숙으로 종자 활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너무 늦은 시기에 채취된 종자는 종자 내 수분 감소 등의 원인으로 활력이 소실될 수도 있다. 종자 활력의 소실은 불가역적 생리 현상으로 일단 종자가 활력을 소실하면 되돌릴 수 없다. 이렇게 종자의 채취시기는 종자의 성숙 및 활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ily, L.H. and Baily, E.Z. 1978. Hortus third: 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st Ed.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U.S.A. pp. 949-965. 

  2. Ball, V. 1998. Ball Redbook. 16th Ed. Ball Publishing, Illinois, U.S.A. pp. 413-414. 

  3. Choi, B.H. et al. 2003. Seed Science. Hyangmoon-sa, Seoul. p. 379. 

  4. Choi, C.H. 2012. Effect of temperature and various pretreatments on germination of Hippophae rhamnoides seeds.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25(1): 132-141. 

  5. Choi, S.M., Shin, H.C. and Park, N.C. 2012.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Quercus glauca Thunb. by seed collection time and size of seeds. Proceedings of 2017 Summer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pp. 162-163. 

  6. Chu, S.S. 2013.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ique for seedlings of Rhododendron species by container nursery system. (Dissertation). Seoul.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7. Forest Research Institute (FRI). 1994. Forest tree seeds and nursery practice.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pp. 1-51. 

  8. Han, S.H, Kim, C.S, Jang, S.S, Lee, H.J. and Tak, W.S. 2004. Changes in the seed character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three tree species at different storage tim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3): 183-189. 

  9. Hartmann, H.T., Kester, D.E., Davies, F.T. and Geneve, R.L. 1997. Plant propag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U.S.A. pp. 1-728. 

  10. Hwang, S.K., Hwang, H.J. and Kim, K.S. 1998. Effect of cutting dates and rooting promoters on rooting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6(1): 33-36. 

  11. Jeon, K.S., Song, K.S., Kim, C.H., Yoon, JH. and Kim, J.J. 2013.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germination environments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seeds.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2(3): 262-269. 

  12. Khan, M.L., Bhuyan, P., Shankar, U. and Todaria, N.P. 1999.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fitness in Mesua ferrea L. in relation to fruit size and seed number per fruit. Acta Oecologia 20: 599-606. 

  13. Kim, C.G., Seo, J.H., Cho, H.S. and Lee, J.M. 2003. Germination of hairy-vetch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5(1): 356-356. 

  14. Kim, N.Y., Lee, K.C., Han, S.S. and Park, W.G. 2010.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from P-V curves.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23(4): 374-378. 

  15. Kim, N.Y., Lee, K.C., Han, S.S., Lee, H.B. and Park, W.G. 2012.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 of Rhododendron micranthum by the natural habitat.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1(2): 147-152. 

  16. Kim, N.Y., Bae, K.H., Kim, .YS., Lee, H.B. and Park, W.G. 2013. Habitat environment and cutting, seed propagation of rare plant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Journal of Forest Science 29(2): 165-172. 

  17. Kulkarni, M.G., Street, R.A. and Staden, J.V. 2007.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equirements for propagation of Dioscorea dregeana(Kunth) Dur. and Schinz: A tuberous medicinal plant.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73: 131-137. 

  18. Lee, C.B. 1982.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1-601. 

  19. Lee, C.H. and Nam, G.U. 2009.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in Heteropappus arenarius Kitam. native to Korea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22(2): 116-122. 

  20. Lee, K.J, Song, K.S, Chung, Y.S., Yoon, T.S., Hong, S.K., Kim, J.H., Lee, S.W. and Kim, J.J. 2010. Physiological respons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 indicum with shading treatment in autumn seaso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3): 403-408. 

  21. Leishman, M.R., Wright, I.J., Moles, A.T. and Westoby, M. 2000. The evolution ecology of seed size. pp. 31-57. In: Fenner, M. (Ed.). Seeds, The Ecology of Regeneration in Plant Communities. CABI Publishing. Oxon, UK. 

  22. Lim, C.S., Oh, J.Y., Seck, Y.C. and Kim, D.H. 2010. Effects of harvest time and GA3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rate of Pennisetum alopecuroides for. erythrochaetum.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4(6): 1-7. 

  23. Navarro, L. and Guitian, J. 2003.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of two threatened endemic species of the northwest Iberian peninsula. Biological Conservation 109: 313-320. 

  24. Park, I.S., Kang, S.Y., Kim, D.S., Song, H.S. 2005.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hododendron species by gamma rays irradiation. Flower Research Journal 13(2): 116-120. 

  25. Ranal, M.A. and Santana, D.G. 2006. How and why to measure the germination process? Brazilian Journal of Botany 29: 1-11. 

  26. Shin, K.H. 2008. Studies on propaga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in contain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27. Song, K.S., Jeon, K.S., Yoon, J.H., Kim, C.H. and Kim, J.J. 2013. Effects of temperatures on seed germination of Parasenecio firm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Symposium. pp. 39-40. 

  28. Song, K.S., Yoon, J.H., Jeon, K.S., Kim, .CH., Park, Y.B. and Kim, J.J. 2016.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early growth of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H. Ohashi by harvesting dat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1): 21-26. 

  29. Tak, W.S., Choi, C.H. and Kim, T.S. 2006. Change i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seed collection tim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3): 316-322. 

  30. Yim, J.Y. 2016. Characteristics of fruits and seed ofRhododendron schlippenbachii on Mt. Acha. (Dissertation).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