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 홍도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분류와 임분 구조
Phytosociological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and Stand Structure in the Forest Vegetation of Hongdo Island, Jeollanam-do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3, 2018년, pp.245 - 257  

김호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이철호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남 홍도를 대상으로 하여 산림식생구조를 밝힐 목적으로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41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수행하였고,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식생단위별 상대중요치와 종다양도를 산출하였다. 산림식생유형분류 결과 최상위수준에서 구실잣밤나무군락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참식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참식나무군락은 천선과나무군(식생단위 1), 큰천남성군(식생단위 2)으로 세분되었고, 소사나무군락은 쇠물푸레나무군(식생단위 3)과 소사나무전형군(식생단위 4)으로 세분되어, 총 4개의 식생단위가 분류되었고, 1개의 군락군, 2개의 군락, 4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식생단위별 평균상대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단위 1, 2, 4는 구실잣밤나무의 평균상대중요치가 가장 높았고 식생단위 3은 소사나무가 가장 높았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단위 3이 가장 높은 종다양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도 일대는 4개의 식생단위와 7개의 종군단위를 바탕으로 한 군집생태학적 접근의 관리방안이 필요하며, 또한 상록활엽수림으로 진행되어가는 천이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Hongdo Island, Jeonnam provinc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by total of forty one quadrate plots using Z-M phytosociological method from June to August in 2017, and analyzed by vegetation classification, mean importance 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생단위에 기초를 둔 산림분류는 산림관련분야 종사자들이 산림대상지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안정성 유지를 위해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객관적인 단위를 제공한다는 점이 중요하다(Kim and Cho, 2017). 따라서 홍도의 산림식생을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기초로 산림분류를 실시하여 산림식생의 실태와 식생구조를 밝혀 생태학적 산림식생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도의 지리적, 기후적인 특성은? 연구대상지인 홍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하며, 이는 서 · 남해상의 지리적 · 지형적 특성과 난·온대성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인해 독특한 자연환경을 갖고 있으며(Kim et al., 2016a), 대륙계인 북부형 식물과 아열대 지방의 남부형 식물이 생육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난 · 온대성인 난대형 식물과 상록활엽수림대를 형성하고 있어(Oh and Cho, 1995) 환경부에서는 서 · 남해안과 해상지역에 흩어져 있는 도서를 1981년 12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산림청에서는 2008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하지만 홍도는 과거 1960년대 대규모 산불이 일어났었으며, 1980년대까지 주민들에 의해 연료 및 약재 채취와 염소방목 등으로 인하여 산림식생이 교란을 받아왔고 현재에는 서·남해 도서 지역의 대표적 관광자원으로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게 되면서(Lee et al.
홍도에서 산림식생의 교란이 생긴 이유는 무엇인가? , 2016a), 대륙계인 북부형 식물과 아열대 지방의 남부형 식물이 생육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난 · 온대성인 난대형 식물과 상록활엽수림대를 형성하고 있어(Oh and Cho, 1995) 환경부에서는 서 · 남해안과 해상지역에 흩어져 있는 도서를 1981년 12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산림청에서는 2008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하지만 홍도는 과거 1960년대 대규모 산불이 일어났었으며, 1980년대까지 주민들에 의해 연료 및 약재 채취와 염소방목 등으로 인하여 산림식생이 교란을 받아왔고 현재에는 서·남해 도서 지역의 대표적 관광자원으로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게 되면서(Lee et al., 2013) 지속적으로 산림식생이 교란을 받아오고 있는 실정이다.
홍도 산림식생의 종다양성 경향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종풍부도는 평균 25.6±7.9종, 종균재도는 평균 0.582±0.086, 종다양도는 평균 1.862±0.349, 종우점도는 0.200±0.071로 나타났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orbour, M.G., Buck, J.H. and Pitts, W.D. 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mpany. Menlo Park, California, USA, pp. 604. 

  2. Braun-Blanquet, J. 1964. Pflanw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USA, pp. 865. (in German) 

  3.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p. 288. 

  4. Cho, M.G., Chung, J.M. Jung, H.R., Kang, M.Y. and Moon, H.S.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6(5):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B.K. 2013. Syntaxonmy and Syngeography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Daegu. Keimyu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7. Dierssen, K. 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mie Verlag. Berlin, Germany, pp. 241. (in German) 

  8. Ellenberg, H. 1956.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Ulmer. Stuttgart, Germany, pp. 136. (in German) 

  9. Hill, M.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N.Y.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USA, pp. 50. 

  10. Hong, S.C., Byen, S.H. and Kim, S.S.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 and Shrub in korea. Gyemyengsa. korea, pp. 310. (in Korean) 

  11. Kim, H.J., Shin, J.K., Lee, C.H. and Yun, C.W. 2017.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2): 202-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H.S., Cho, Y.J., Myeong, H.H. and Oh, J.G. 2016a. A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Daehuksan Island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island 28(2): 203-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Y. and Cho, H.J. 2017.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ogwang-ri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in Uljin-gu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2): 188-2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C.S. 1986.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Hongdo Island.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Biota. Mokpo National College 3: 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C.S. 1987.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Hongdo Island.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Hongdo Nature Reserve. Sinan-gun, Korea, pp. 88-175. (in Korean) 

  16. Kim, J.S., Jeon, C.H., Jung, S.C., Kim, C.S. Won, H.G., Cho, J.H. and Cho, H.J. 2016b A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 structure of the forest vegetation between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 in the South Sea,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4): 771-7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J.W. 1996.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the temperate oak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high-rank taxa. Journal of Plant Biology 39(2): 149-153. (in Korean) 

  18. Kim, J.W. 2004. The Forest Vegetation. World Science. Seoul, Korea, pp. 308. (in Korean) 

  19. Kim, J.W. and Lee, Y. 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Korea, pp. 240. (in Korean) 

  20. Korea Forest Service (KFS). 2014a.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in Korean) 

  21. Korea Forest Servic (KFS). 2014b.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KFS). 2017.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Designated Status. http://www.forest.go.kr. (in Korean) 

  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7. http://www.kma.go.kr. (in Korean) 

  24. Kwag, K.H., Kim, E.I., Kim, C.Y. and An, K.W. 2016. The stand management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 Focused on Mt. Cheongwan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Journal of Korean island 28(4): 173-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J.H. 2014.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the Hongdo Natural Preserve - Species and Vegetation Composition of Natural Heritage No.170-. (Ph.D.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J.H. and Choi, B.H. 2010.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4): 267-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J.H., Do, M.S. and Song, H.K. 2013. Vegetation structure of Hongdo Island. Kore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5): 592-6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Lee, J.H., Kwon, H.J. Hwang, Y, Kim, M.Y., Lee, C.H. and Song, H.K. 2010a. Vegetation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Gageodo, Korea.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6): 75-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Lee, J.H., So, S.K., Suh, G.U., Kim, M.Y. and Song, H.K. 2010b.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Kore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1): 5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ee, J.Y., Myeong, H.H., Lee, S.M., Kim, H.S. and Oh, J.G. 2015. A study on the current distribution of vegetation of Gageodo,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island 27(1): 195-2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999. (in Korean) 

  32. Lee, T.B. and Kim, T.W. 1968.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Hanlasan and Hongdo Natural Conservatory Area : Natural Monument No. 182 and 170.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Seoul, Korea, pp. 308-359. (in Korean) 

  33. Lee, W.C.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Jersey, USA, pp. 547. 

  35. Oh, K.K. and Cho, W. 1994. Plant community structru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8(1): 27-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Oh, K.K. and Choi, S.H. 1993.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al se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regio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16(4): 459-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Oh, K.K. and Kim, Y.S. 1996.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ure region(1)- vegetational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1): 87-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Illinois, USA, pp. 144. 

  39. Shin, H.S. and Yun, C.W. 2014.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Mt. Ohseo in Chungnam province. Jou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3): 35-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Shin, J.H. and Kim, C.M. 1996.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 (I). 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188-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Son, H.J., Kim, Y.S., Ahn, C.H. and Park, W.G. 2016.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5(1): 19-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Wal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r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USA, pp. 274. 

  43.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44. Yim, K.B. and Kim, C.S. 1974. Pinus densiflora S. et Z. Population in Hong-do Island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24: 53-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Yun, C.W. 2016.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Seoul, Korea, pp. 70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