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보건문제 발생에 대응·대비를 위한 역학조사관제도 개선방안
Improvement of Epidemiology Intelligence Service Officer Program for Preparedness and Response against Future Health Issues Included Communicable and Non-communicable Diseases in Korea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3, 2018년, pp.294 - 300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pidemiology intelligence service (EIS) officer with more specialized competence to cope with and prepare for health threats, including pandemic of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s a high priority policy issue in Korea. First of all, we need to estab...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은 중동호흡기증후군 등 신종 감염병과 역학조사가 필요한 새로운 보건문제에 대응·대비하여 역학조사관제도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역학조사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과정 및 프로그램 개선 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칭 '역학조사관 연수원' 별도 운영방안이 가장 합리적인 운영방안으로 제안되는 이유는? 역학조사관 전문교육 인력양성을 위하여 교육기관의 설치기준과 목적의 속성인 전문성, 체계성, 지속성, 우수성 등이 인정되는 가칭 ‘역학조사관 연수원’ 별도 운영방안이 가장 합리적인 운영방 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현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위탁교육방 식은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역학조사관제도의 취지는? 역학조사관제도는 1999년 신종, 재출현 전염병 대비 정책연구인 “전염병 전문가 양성 및 전염병 관리요원의 개발 연구사업”의 한 부분으로 공중보건의사 19명을 선발하여 2주간의 기본교육 후 국립보건원과 광역시·도에 배치하고 1년 동안 감염병 유행 역학조사에 역학전문가로 근무토록 하였다. 따라서 이 제도는 신종 및 재출 현 감염병 등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대응·대비를 위한 역학 조사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인력 확보가 쉬웠던 공중보건 의사를 활용한 시범적인 사업이었다.
역학조사관제도란? 역학조사관제도는 1999년 신종, 재출현 전염병 대비 정책연구인 “전염병 전문가 양성 및 전염병 관리요원의 개발 연구사업”의 한 부분으로 공중보건의사 19명을 선발하여 2주간의 기본교육 후 국립보건원과 광역시·도에 배치하고 1년 동안 감염병 유행 역학조사에 역학전문가로 근무토록 하였다. 따라서 이 제도는 신종 및 재출 현 감염병 등에 대한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대응·대비를 위한 역학 조사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인력 확보가 쉬웠던 공중보건 의사를 활용한 시범적인 사업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luenza at the human-animal interface: summary and assessment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cited 2017 Oct 2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infu-enza/human_animal_interface/Influenza_Summary_IRA_HA_inter-face_09_27_2017.pdf?ua1. 

  2. Kile JC, Ren R, Liu L, Greene CM, Roguski K, Iuliano AD, et al. Update: increase in human infections with novel Asian lineage avian infuenza A (H7N9) viruses during the fifth epidemic: China, October 1, 2016-August 7, 2017.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7;66(35):928-932. DOI: https://doi.org/10.15585/mmwr.mm6635a2. 

  3. DuPont HL.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imals, and future epidemics. Tex Med 2017;113(2):31-36.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communicable diseases.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5. Lee MS, Kim EY, Lee SW. Experience of 16 years and its associated challenges in the f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in Korea. Epidemiol Health 2017;39:e2017058. DOI: https://doi.org/10.4178/epih.e2017058. 

  6. Tak S. Introduction to applied epidemiologists in US governmental public health agencies.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nyang Universty; 2015. 

  7. Council of State and Territorial Epidemiologists. 2004 National assessment of epidemiologic capacit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Atlanta (GA): Council of State and Territorial Epidemiologists; 2004. 

  8. Kim BK. Increase the number of epidemiologists and strengthen authority: will they prevent a second MERS? Yonhapnews [Internet]. 2015 Jul 26 [cited 2017 Oct 28].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26/0200000000AKR20150626073000017.HTML?fromsearch. 

  9. Tacker SB, Dannenberg AL, Hamilton DH. Epidemic intelligence service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50 years of training and service in applied epidemiology. Am J Epidemiol 2001;154(11): 985-992. DOI: https://doi.org/10.1093/aje/154.11.985. 

  10. Han HW, Go WY, Lee HJ, Kim SS, Kim DG, Bang JH, et al. Development of textbook for the FEPT practice. Rep Natl Inst Health 2002;39:27-41. 

  11. Lee MS. Final report for Korea fi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2014. Daejeon: Konyang University; 2015. 

  12. Park NR, Jeong IS, Lee JG, Kim YT, Chun JH, Kim KS, et al. Evaluation of f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satisfaction and the changes of educational need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4;37(1):80-87. 

  13. Dongkuk University.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urse and training manual for field epidemiologist training program during 2011-2015.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14. Lee MS, Lee K, Park JH, Hong JY, Jang MY, Jeon BH, et al.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of a Korea f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mong communicable disease response staf in Korea. Epidemiol Health 2017;39:e2017032. DOI: https://doi.org/10.4178/epih.e2017032. 

  15. Lopez A, Caceres VM. Central America Fi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CA FETP): A pathway to sustainable public health capacity development. Hum Resour Health 2008;6:27. DOI: https://doi.org/10.1186/1478- 4491-6-27. 

  16. Boulton ML, Lemmings J, Beck AJ. Assessment of epidemiology capacity in state health departments, 2001-2006.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9; 15(4):328-336. DOI: https://doi.org/10.1097/PHH.0b013e3181a01eb3. 

  17. Schneider D, Evering-Watley M, Walke H, Bloland PB. Training the global public health workforce through applie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s: CDC's experience, 1951-2011. Public Health Rev 2011;33(1):190- 203. DOI: https://doi.org/10.1007/bf03391627. 

  18. Nguku P, Oyemakinde A, Sabitu K, Olayinka A, Ajayi I, Fawole O, et al. Training and service in public health, Nigeria Field Epidemiology and Laboratory Training, 2008-2014. Pan Afr Med J 2014;18 Suppl 1:2. DOI: https://doi.org/10.11694/pamj.supp.2014.18.1.4930. 

  19. Becker KM, Ohuabunwo C, Ndjakani Y, Nguku P, Nsubuga P, Mukanga D, et al. Field Epidemiology and Laboratory Training Programs in West Africa as a model for sustainable partnerships in animal and human health. J Am Vet Med Assoc 2012;241(5):572-579. DOI: https://doi.org/10.2460/ javma.241.5.572. 

  20. Dooyema CA, Neri A, Lo YC, Durant J, Dargan PI, Swarthout T, et al. Out-break of fatal childhood lead poisoning related to artisanal gold mining in northwestern Nigeria, 2010. Environ Health Perspect 2012;120(4):601-607. DOI: https://doi.org/10.1289/ehp.1103965. 

  21. Abubakar AA, Sambo MN, Idris SH, Sabitu K, Nguku P. Assessment of integrated disease surveillance and response strategy implementation in selected local government areas of Kaduna state. Ann Niger Med 2013; 7(1):14-19. DOI: https://doi.org/10.4103/0331-3131.1199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