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의 복리후생제도가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lfare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Worke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2, 2018년, pp.1 - 14  

박초열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병원경영학전공) ,  서영우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병원경영학전공) ,  임복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welfare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workers. Methods : A survey was performed with 556 female workers of 11 general hospital and 7 acute period hospital in Busan.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리후생제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남·여를 구분하지 않는 연구였다면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대표 직종인 간호직, 의료기술직, 행정직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여, 여성근로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복리후생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 기업의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인식과 역할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근로자들의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의료기관의 근로자 비율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근로자중 간호직, 의료기술직, 행정직을 대상으로 법정 복리후생제도와 법정 외 복리후생제도를 파악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의 복리후생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기업이나 호텔의 조직체계와는 다른 조직체계를 가지고 있는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복리후생제도가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의료기관 여성근로자의 복리후생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리후생제도의 활용을 통해 얻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는? 법정 복리후생은 4대 보험, 상병휴가, 육아휴직, 휴업보상 등이 있고, 법정 외 복리후생은 주거, 식사에 관한 비용, 보험료 지원금, 경조 등의 비용, 저축 장려금, 학비보조비용,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금, 보육비 지원금, 근로자 휴양에 관한 비용, 자기계발 비용(체력단련, 외국어 학습, 도서구입비)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1][2][3][4]. 복리후생제도의 활용을 통해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효과로 기업들은 복리후생에 투자하는 비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5], 복리후생이 잘 된 기업을 구직자나 재직자 모두 최고의 일터로 보고 있으며, 직장인 10명 중 7명 정도가 기회만 된다면 복리후생이 잘 되어 있는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을 원할 정도로 이제 복리후생은 기업명성과 기업이미지 형성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근대 산업사회는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쇠락하고, 평등과 개인주의가 대두되어 여성의 사회진출이 가속화되었다.
조직몰입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는? 조직몰입은 조직구성원이 자신을 고용하고 있는 조직에 헌신하는 정도, 혹은 조직을 위해 기꺼이 일하고 구성원으로 계속 남아있으려는 의지이며, 조직자체에 대한 개인들의 감정을 반영하는 태도이고, 조직구성원의 행동 양식으로서는 조직시민행동, 이직률, 결근율 및 다양한 작업행동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정의하였다[11]. 조직몰입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로는 생산성과 직무만족, 성과의 향상이 있으며, 이직과 결근율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기업이 제공하는 복리후생제도가 근로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근로자는 기업이 제공하는 복리후생제도에 만족하면서 어떠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지하게 되면, 기업에 대해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 이는 근로자의 근로 의욕을 향상시키게 되며, 직무수행 및 업무성과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복리후생비용이 증가하면 노동생산성도 높아진다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도 제시된 바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H. Van(2006), Gap Welfare Level Gap by Employment Type, Labor Review March 2006 issue, pp.28-38. 

  2. C.H. Suh, J.Y. Yang(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otel Enterprise's Flexible Benefit System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28(2);1-22. 

  3. J.H. Song, Y.H. Jang(2014), Employee Benefits of Non-regular Workers, Research on Welfare Administration, Vol.30;3-24. 

  4. Y.Y. Cho(2016), A Study on the Preference among Employee Benefits Programs-Based on AHP Analysis, The Graduate School of A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pp.18-19. 

  5. S.A. Kim, Y.I. Cho(2013), The Effect of Benefi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ential Effects of Obligational and Voluntary Benefits, Business Managment Research, Vol.6(2);1-13. 

  6. K.S. Bae(2010), Promotion of part-time work: Centering on regular part-time work, Labor review, Vol.11;17-32. 

  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 

  8. J.S. Lee, H.M. Co, H.J. Chung, H.J. Kim(2016), Working Conditions of the National Health Care Workers - Wages, Work Conditions and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Institute Research on Labor and Employment, Vol.33;169-197. 

  9. Y.K. Kang(2002), Employee Benefits and Productivity,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31(2);529-550. 

  10. G.S. Kim(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cal Service Quality by Internal Service Quality in Hospital, Dept. of Biomedic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Dong-Eui University, pp.8-10, 31-42, 59-60, 97-98. 

  11. J.P. Meyer, N.J. Allen(1991), Three-component Conceptuat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1);61-89. 

  12. E.O. Park, K.H. Chung, J.I. Shin(2010),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 Marketing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formance, Productivity Review, Vol.24(2);199-231. 

  13. M.O. Kang, I.O. Jeon(2017), The Effects of Welfare and Institutional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 Logistics Review, Vol.27(6);159-169. 

  14. K.O. Jung, E.S. Lim(2014),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Benefits Spending and Business Performance-Focused on KOSPI,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10);2029-2035. 

  15. S.Y. Kim(2010), Hotel Tourism Human Resource Management, Baeksan Publishing Company, pp.157. 

  16. S.G. Park, B.H. Kwon(2016),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Relation ship between Hotel Employee's Satisfaction of Fringe Benefit and Service Orienta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Vol.25(2);199-215. 

  17. E.A. Locke(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1297-1349. 

  18. I.S. Oh, K.H. Kim, T.C. Darnold, J.O. Hwang, T.Y. Yoo, Y.A. Park(2007),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with Korean Samples,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Vol.15(4);43-86. 

  19. J.P. Curry, D.S. Wakefield, C. W. Muller(1986), On the Causal Ordering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4);847-858. 

  20. D.B. Han(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Internal Reputation, Job Satisfaction Elemen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Department of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Uiduk University, pp.53-58, 115. 

  21. K.W. Kang, K.J. Kim(2015), A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by Occup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3);13-30. 

  22. S.S. Kim(2013),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 workers working in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 Focu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and need theory, The Graduate School of Honam University, pp.44-65. 

  23. K.S. Lee, W.H. Lee, M.J. Yun(2012),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Therapis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4);49-60. 

  24. S.H. Kim(2012), Affect Dental Medical Institution on Customer Orientation,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44-45. 

  25. J.S. Lee(2018), Effects of Nurse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1); 57-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