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설 지표의 경향성 파악
Trends of Tongue Features in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9 no.4, 2018년, pp.637 - 644  

김지혜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고석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박재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근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tongue features of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F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healthy controls. Methods: This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ith FD and controls recruited at a single center. After screening, the subjects were allo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와 건강대조군을 모집하여 설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설 영상을 획득한 후 두 군 간의 설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한 임상지표를 발굴하였다. 또한 상관성 분석을 통해 질환의 분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하는 바이다.
  • 또한 상관성 분석을 통해 질환의 분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하는 바이다.
  •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와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설 지표를 비교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어 기능성 소화불량과 설 지표 간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설 영상을 기반으로 설진을 보다 정밀하고,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한의 임상에서의 설 영상 촬영 장치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본 임상연구는 임상연구정보서비스에 등록되어 임상시험 등록번호를 부여 받았다(KCT0002450). 임상연구 중에는 피험자 보호, 보고된 임상연구 관련 자료가 근거문서와 대조하여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지 여부 및 임상연구가 승인된 계획서, 임상연구 관리기준 및 시행규칙의 규정에 따라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 또한 전체 영역에서의 설태 비율과 설첨, 설중, 설근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서의 설태 비율을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군 간의 설 지표의 차이와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소화불량와 관련하여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를 야기를 하기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한의학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은 內傷病 또는 痞滿, 噯氣, 呑酸, 嘈雜, 懊惱 등의 飮食傷, 內傷轉變證 범주에서 다루어지며, 食滯, 食傷이라고 하여 음식요인을 중요시 하였다7,8. 또한 ≪脾胃論≫에서“夫胃爲淸純沖和之氣 人之所賴以爲 主者也 若謀慮神勞 動作形苦 嗜慾無道 思想不遂 飮食失宜 皆能致傷 旣傷之後 須用調補”라고 언급한 것과 ≪調經論≫에서 “志有餘卽 腹脹飱泄"라고 언급한 바와 같이 음식요인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와 우울 등과 같은 감정적 변화도 위장관 운동기능에 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대의학적 관점에서도 기능성 소화불량은 생리적 요인 이외에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9.
기능성 소화불량이란? 기능성 소화불량은 인과관계가 명확한 기질적 질환이 없이 상복부에 다양한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한방임상의 다빈도 상병 중 하나이다1. 기능성 소화불량 자체가 직접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나, 식사 전후 불편감, 복부팽만감, 복통, 트림, 가스 충만감 등의 여러 가지 증상들로 인해 환자 개인에게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꾸준한 관리와 적절한 치료가 요구되는 질환 중 하나이다2,3.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은 무엇으로 간주되고 있는가?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에 대해서 확실하게 규명된 바는 없지만, 이에 대한 원인으로 위장관 운동이나 위산 분비 및 내장의 과도한 감수성과 적응조절의 장애, 헬리코박터균 감염, 위 점막의 염증 및 유전자적 요인 등으로 간주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JH, Kim HY, Rho SH, Yoon DH, Kim KH, Lee JY, et al. Dyspepsia in Korean Population: Who Needs Endoscopy?.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2001;22(1):1-7. 

  2. Talley NJ, Silverstein MD, Agreus L, Nyren O, Sonnenberg A, Holtmann G. AGA technical review: evaluation of dyspepsia. Gastroenterology 1998;114(3):582-95. 

  3. Park MI.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yspepsi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6(2):298-303. 

  4. Bharucha A, Camilleri M, Low P, Zinsmeister A. Autonomic dysfunction in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Gut 1993;34(3):397-401. 

  5. Tougas 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functional bowel disorders. Gut 2000;47(4):78-80. 

  6. Simonian HP, Panganamamula K, Chen JZ, Fisher RS, Parkman HP. Multichannel electrogastrography (EGG) in symptomatic patients: a single center study. Am J Gastroenterol 2004;99(3):478-85. 

  7. Lee BK, Kim TH, Park YB. Diagnostic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nd edition. Gyeonggi-do: Seongbosa: 2009. 

  8. Heo J. Donguibogam. Seoul: Namsandang; 1980, p. 262-70, 428-43, 460-67, 274-77. 

  9. Wilhelmsen I. Somatization, sensitization, and functional dyspepsia. Scand J Psychol 2002; 43(2):177-80. 

  10. Wu Z, Li M, Zhang Y, Chen M.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ongue fur and the expressions of apoptosis-related genes of the tongue epithelial cells in patients with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cadem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7;27(2):148-52. 

  11. Fei ZF, Gu YD. Mirror of Health: Tongue Diagnosis in Chinese Medicine,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7. 

  12. Jung CJ, Kim KH, Jang JS, Jeon Y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direct illumination for tongue image acquisi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4; 51(11):2619-26. 

  13. Jung CJ, Kim KH, Jeon YJ, Kim J. Improving color and shape repeatability of tongue images for diagnosis by using feedback gridlines.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4;6(3):328-36. 

  14. Jung CJ, Nam JH, Jeon YJ, Kim KH. Color distribution differences in the tongue in sleep disorder.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323645. 

  15. Im Y. Atlas of Chinese Tongue Diagnosis 2nd edition. Seoul: Jeongdam; 2003, p. 1-35. 

  16. Son J, Kim J. Diagnostic values of tongue coating thickness and sterno-costal angle in functional dyspepsia. J Int Korean Med 2014; 35(2):157-74. 

  17. Kim JH, Jeong CJ, Kim KH. Trends in tongue color and heart rate variability on chronic dyspepsia patients. J Int Korean Med 2015; 36(3):348-60. 

  18. Kim JB, Kim JH, Son CG, Kang WC, Cho JH. Development of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10; 24(6):109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