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관련 요인이 사망위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Related Factors on Mortality Risk among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343 - 350  

이시은 (송곡대학교 간호학과) ,  이에리쟈 (서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상태가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참여자 8,532명의 자료와 2011년 사망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콕스 회귀 분석 결과, 남성(Hazard Ratio [HR], 2.03; 95% Confidence Interval [CI], 1.74~2.37), 당뇨 (HR, 1.35; 95% CI, 1.12~1.64), 저체중 (HR, 2.68; 95% CI, 2.16~3.31), 연하곤란 (HR, 1.23; 95% CI, 1.02~1.47), 씹기 능력 (HR, 1.33; 95% CI, 1.11~1.59), 영양불량 (HR, 1.47; 95% CI, 1.23~1.75)이 사망위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사망위험을 줄이기 위해 체계적인 영양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utrition related factors on mortality risk among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in Korea. We analyzed data from 8,532 older adults who took part in the 2008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 and 2011 death mortality data. According to Co...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설계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와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사망자 자료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로,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관련 요인이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한 종단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체질량지수, 연하곤란, 씹기 능력 및 영양상태가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노인의 사망률 및 사망위험을 줄이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사망위험요인 중 가장 위험한 요인은 저체중이었으며, 남성 노인, 영양상태가 불량한 노인, 당뇨 질환자, 씹기 능력이 저하된 노인, 연하곤란이 있는 노인 순으로 사망위험이 높았다.
  • 본 연구는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관련 요인이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영양관련 요인이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남성, 당뇨, 체질량지수, 연하곤란, 씹기 능력과 영양상태가 노인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성별, 고혈압, 당뇨 진단 여부를 분석하였다. 성별은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고혈압과 당뇨는 의사에게 진단받았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 둘째. 생존자와 사망자 간의 사망률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재가 노인의 대표성이 확보된 노인실태조사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체질량지수, 연하곤란, 씹기 능력 및 영양상태가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재가 노인의 대표성이 확보된 노인실태조사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체질량지수, 연하곤란, 씹기 능력 및 영양상태가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첫째, 생존자와 사망자 간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씹기 능력과 영양상태의 관계는? 노인의 영양상태는 연하곤란이나 씹기 능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노인은 노화로 인해 구강 및 인두 주위의 근력이 저하되고 치아가 소실됨에 따라 연하곤란이나 저작기능 감소를 경험할 수 있다[9]. 2014년도 노인실 태조사에서도 국내 노인의 51.
노인의 영양섭취 부족이 위험한 이유는? 이러한 노인의 영양불량은 노인의 기능 장애나 질병 이환율을 증가시키고[5], 허약에 중요한 위험요인이 되며 [6], 노인의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5,7].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열량과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노인은 전체 사망위험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관련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8], 영양상태가 노인의 사망을 초래하는 심각한 원인임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사망위험요인 중 가장 위험한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체질량지수, 연하곤란, 씹기 능력 및 영양상태가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노인의 사망률 및 사망위험을 줄이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사망위험요인 중 가장 위험한 요인은 저체중이었으며, 남성 노인, 영양상태가 불량한 노인, 당뇨 질환자, 씹기 능력이 저하된 노인, 연하곤란이 있는 노인 순으로 사망위험이 높았다. 따라서 노인의 사망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저체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14 a national survey on the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 S. H. Kim & S. M. Choi. (2012). Nutritional status among elderly Korean women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1), 16-24. 

  4. H. S. Hyun & I. S. Lee. (2014).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for malnutrition in low-income urb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4(6), 708-716. DOI : 10.4040/jkan.2014.44.6.708 

  5. G. Daradkeh, M. M. Essa, S. S. Al-Adawi, R. P. Koshy, A. Al-Asmi & M. I. Waly. (2014).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akist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7(10), 1098-1105. DOI : 10.3923/pjbs.2014.1098.1105 

  6. M. Bonnefoy, G. Berrut, B. Lesourd, M. Ferry, T. Gilbert, O. Guerin et al. (2015). Frailty and nutrition: Searching for evidenc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9(3), 250-257. DOI : 10.1007/s12603-014-0568-3 

  7. R. Wirthet al. (2018). The impact of dysphagia on mortality of nursing home residents: Results from the nutrition day projec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4. DOI : 10.1016/j.jamda.2018.03.016 

  8. H. R. Kim. (2016). Quality of diet and nutritional intake and mortality risk among South Korean adults based on 12-year follow-up dat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 airs, 21(4), 354-365. DOI : 10.5720/kjcn.2016.21.4.354 

  9. N. Okamoto et al. (2012). Relationship between swallowing problems and tooth loss in community-dwelling independent elderly adults: The Fujiwara-Kyo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0(5), 849-853. 

  10.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8 actual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1. A. Laudisio et al. (2016). Self-reported masticatory dysfunction and mortality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adults: A 9-year follow-up.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4(12), 2503-2510. DOI : 10.1111/jgs.14331 

  12. H. R. Kim. (2013).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diet quality and risk of mort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s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3(3), 5-30. 

  13. D. L. Sackett, S. E. Straus, W. S. Richardson, W. Rosenberg & R. B. Haynes. (2000).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 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4. P. D. Allison. (2010). Survival analysis. In: Hancock GR, Mueller RO, editors. The reviewer's guide to quantitativ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1 st ed. New York: Routledge.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Lancet, 363(9403), 157-163. DOI : 10.1016/s0140-6736(03)15268-3 

  16.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1991). Report of nutrition screening 1: Toward a common view. Washington, DC: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17. K. S. Sun. (2000). Nutrition and checklist of the elderly. Web Health Research, 3(5), 36-37. 

  18. J. H. Yeom. (2014). A comparison study of determinants for mortality between rural and urban older adults.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24(2), 161-195. 

  19. S. Hong, S. W. Yi, J. W. Sull, J. S. Hong, S. H. Jee & H. Ohrr. (2015). Body mass index and mortality among Korean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Kangwha cohort study. PLoS One, 10(2), e0117731. DOI : 10.1371/journal.pone.0117731 

  20. J. E. Winter, R. J. MacInnis, N. Wattanapenpaiboon & C. A. Nowson. (2014). BMI and all-cause mortality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99(4), 875-890. DOI : 10.3945/ajcn.113.068122 

  21. J. W. Beom & T. R. Han. (2013). Treatment of dysphagia in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1), 7-15. DOI : 10.5124/jkma.2013.56.1.7 

  22. T. Tanaka et al. (2017). Oral frailty as a risk factor for physical frailty and mortal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s of Gerontolog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1-7. DOI : 10.1093/gerona/glx225 

  23. J. E. Park, H. J. An, S. U. Jung, Y. N. Lee, C. I. Kim & Y. A. Jang. (2013).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6(3), 285-295. 

  24.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7). 2017 food market status for the elderly in Japan. Naju: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5. B. Shakersain, G. Santoni, G. Faxen-Irving, D. Rizzuto, L. Fratiglioni & W. Xu. (2016). Nutritional status and survival among old adults: An 11-year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0(3), 320-325. DOI : 10.1038/ejcn.2015.109 

  26. S. E. Lee & G. R. S. Hong. (2017). Geriatric syndrome and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3-year follow-up stud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1), 98-107. DOI : 10.7475/kjan.2017.29.1.98 

  27. H. G. Jeong, J. J. Lee, S. B. Lee, J. H. Park, Y. S. Huh & J. W. Han. (2013). Role of severity and gender in the association between late life depression and all-cause mortali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5(4), 677-6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