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여성 단발의 헤어디자인 조형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479 - 484  

박장순 (송원대학교 뷰티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제 강점기 여성들 one length hair style의 변천사 및 형태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선행논문과 저서를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등 헤어디자인의 구성 요소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one length hair style 커트가 가능해지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1910년-192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커트 길이의 단차가 전혀 없는 out line을 지닌 형태, 자연 그대로의 모발 질감, 자연 모발 색상을 보였다. 193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약간의 커트 길이의 단차를 보이면서 다이아몬드 형태, 자연스런 질감의 narrow wave, 과산화수소나 oxygenated water을 이용한 약간의 탈색이 이뤄졌다. 194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형태, 질감, 색상 면에서 화려한 미(美)를 추구하려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one length hair style에 관한 심층적이고 세분화 된 후속 연구가 가능해지며,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 자료 및 뉴 모드의 트렌드 개발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하리라 사료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changes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one length hair style of women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hair design such as shape, texture, and color based on the precedent and the book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s a part of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溫故知新), through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that was popular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cornerstone for the fundamental development of hair beauty education and a new mode trend developmen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tudy the bob hair style from 1910 to 1945 based on the principle of hair design. The subjects of the materials to be used for the research are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newspapers, magazines, novels and photographs and the preceding articles and publications that deal with this subjec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H. Jin, Y. B. Kim & J. S. Park. (2017).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convenience Due to Female Cancer Wearing Alopecia Wig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8), 417-422. 

  2. H. J. Kwon & J. S. Park. (2016). The influences of Nutritional Convergent supplement on damaged nails treated by cosmetic procedur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3), 437-443. 

  3. S. H. Yim. (2012). A Study on Attitudes toward Man's Appearance Management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Master of thesis, Sook-myung Women' University. 

  4. J. H. Kim. (2013). A study examines satisfaction according to scalp & hair care center usage conditions and product purchase attributes. Master of thesis, Sung-Shin University. 

  5. Y. J. Lim. (2003). A Study on Change of Social Recognition about Short-Hair(斷髮) from Perspectives of the Modern Women's History :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30s. Master of thesis, Dong-A University. 

  6. Y. S. Lee. (2014). A Socio-Cultural Analysis of Women's Hair Styles in Chosun Dynasty and their Modern Application. Doctoral of thesis, Seo-kyeong University. 

  7. J. S. Park & H. J. Kwon. (2017). Perception about Make up Influence on Man's Make up and Their Succ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231-237. 

  8. J. Y. Lee. (2009). Urban image plan of Seoul city based on color. Master of thesis, Chung-Ang University. 

  9. Y. S. Lee & J. Y. Lee. (2008). Modern Up-Style Mode Based on the Ancient Greek and Roman Hair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2), 429. 

  10. J. H. Yoo. (2013). The Entry of Women in Jobs and Their Social Conflicts in 1920s and 1930s. Master of thesis, Myong-Ji University. 

  11. S. J. Kwon. (1928). The first person to have a short hair. Seoul : Ganggongon Publishing Co. 

  12. K. M. Park. (2003).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woman image of the cosmetic a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aster of thesis, Chon-Nam University. 

  13. J. K. Lee. (2013). An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Portrayed in Korean Modern Novels-Focused on Women's Hair Style and Make up. Master of thesis, Dong-Duk Women' University. 

  14. S. K. Han. (2007).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20s-centering on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The Review of Korean History, 87, 147-185. 

  15. M. J. Maeng. (2003). A Study on Women's Cosmetic Culture in 1930s through Women's Magazin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19(3), 5-30. 

  16. S. J. Jung. (2014). A Study on the Pattern of Hairstyle Observed in Modern Korean Novels and Its Functions inside the Novels. Master of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17. Y. J. Kim. (1936). Camellia. Seoul : Jo-Kwang. 

  18. S. S. Yoon. (1937). Korean women in fashion. Seoul : Wom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