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폭력 및 차별경험과 자살생각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Violence, Discrimin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Person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347 - 353  

김석환 (서영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  이현주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지현 (고려대학교 보건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폭력경험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2014 장애인실태조사를 이용하였으며, 6,332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자살생각은 최근 1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적이 있는지 여부로 정의되었다. 참조군은 자살생각 없음이며,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을 가진 장애인은 18.5%(n=1,171)였다.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언어폭력과 정신적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서 자살생각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성희롱, 성추행, 성폭력을 경험한 시기가 청소년기인 경우에서 자살생각 위험이 16.7배(CI=4.22-66.18), 가해자가 모르는 사람인 경우 5.85배(CI=2.34-14.6), 대처방법이 무시하거나 참는 경우 4.08배((CI=2.05-8.12)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결혼 시 차별경험을 받은 경우 1.60배(CI=1.24-2.08), 장애로 인한 차별을 항상 느끼는 경우 2.73배(CI=4.22-66.18)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차별경험과 폭력경험으로 인한 자살생각은 자살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신적 안녕을 위해 가족 및 사회의 관심과 배려 및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프로그램이 함께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experienc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data used the 2014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and 6,332 peopl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u...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장애인이 일반적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서 경험하는 폭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인 폭력과 학대, 차별경험이 장애인에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장애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실증적 조사와 통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폭력 경험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2014년에 실시된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의 폭력 및 차별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은 폭력과 차별경험으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이 비장애인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폭력경험 및 차별경험에 따른 자살생각여부에 대한 분포를 나타냈다. 자살 생각과 폭력 및 차별경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교란변수로 인한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연령, 수입, 결혼상태, 장애중증도,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증상여부를 공변수로 보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 자살률은 2010년 인구 10만명당 31.2명에서 2015년 43.2명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OECD 국가 중 1위이다[1]. 이와 함께, 장애인의 자살 증가 및 자살 생각도 높아지고 있어 최근 1년간 자살 생각을 해봤다는 장애인은 장애인건강관리사업에 의하면, 비장애인에 비해 약 1.
장애인의 자살과 관련 있는 경험들은? 장애인의 차별경험은 장애인 자살을 설명하는 주요변수[4]이고 폭력경험은 자살생각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5]. 장애인이 경험하는 차별로는 사회적 차별이 47.
자살률 증가와 함께 장애인의 상황은 어떠한가? 2명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OECD 국가 중 1위이다[1]. 이와 함께, 장애인의 자살 증가 및 자살 생각도 높아지고 있어 최근 1년간 자살 생각을 해봤다는 장애인은 장애인건강관리사업에 의하면, 비장애인에 비해 약 1.9배로 높게 나타났다[2] 장애인은 장애로 인한 신체적 활동, 학교생활 및 사회생활에서의 차별적 상황에 노출되거나 사회안전망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비장애인 보다 자살 생각에 더욱 취약적이다. 장애인의 자살 생각 및 자살충동의 위험요인들은 양육과정에서의 학대 및 폭력경험,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공동체에서의 소외경험 등으로 나타났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6). OECD Health statistics 2016. OECD. 

  2. S. H. Ho. H. J. Kim. Y. S. Kim. K. K. Kim. J. M. Park & I. S. Song. 2016 Health management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3. D. McConnell. L. Hahn. A. Savage. C. Dube & E. Park. (2016). Suicidal ideation among adults with disability in Western Canada: a brief report.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52(5), 519-526. DOI : 10.1007/s10597-015-9911-3 

  4. Y. S. Lee & H. S. Kim. (2016).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and Experienced Discriminatio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3, 5-34. 

  5. J. I. Kim. Y. J. Boo & J. S. Lee. (2015).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who have been Bullied. Journal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8(2), 89-98. DOI : https://doi.org/10.15434/kssh.2015.28.2.89 

  6.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2016). 2016 Statistical Yearbook, Seoul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2005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2011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14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0. M. J. Giannini. B. Bergmark. S. Kreshover. E. Elias. C. Plummer & E. O'Keefe. (2010). Understanding suicide and disability through three major disabling conditions: Intellectual disability, spinal cord injury, and multiple sclerosis.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3(2), 74-78. DOI : 10.1016/j.dhjo.2009.09.001 

  11. I. J. Lee. (2011). Moderating Effects of Life Problems,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4), 34-62. DOI : 10.15709/hswr.2011.31.4.34 

  12. Y. S. Hong. (2005). A Study on Mental-health Level in Women with Disabilities : Centering on the Individuals with Orthopedic Impairments in Gyeongbuk Area. Daegu University. 

  13. Nati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14). Social responsibility of suicide and solution discussion meeting. 

  14. C. R. Gang & Y. T. Cho. The Effect of Social Discrimination on Suicide Ideation. (2012).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y Society, 35(3), 1-27. 

  15. S. Y. Seo. H. S. Kim & Y. T. Kim. (2013).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2), 245-254. DOI : 10.12799/jkachn.2013.24.2.245 

  16. S. I. Lee. (2012).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Democratic Society and Policy Studies, (30), 104-139. 

  17. S. H. Yoo. (2008).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suicide: Spiritual social risk factors of suicide, Seoul : Hakjisa. 

  18. S. H. Kim. Y. C. Byun. S. M. Park. (2004). Measures to eliminate discrimination for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 [internet],[cited 2018 Jun 20], Available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00403. 

  20. S. H. Go. (1992). Conceptual provision of child abuse and certain child abuse.awareness trend of children. Seoul University. 

  21. S. D. Lo. A Study on the Traumatic Experience by Verbal Violence and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7(1), 135-161. 

  22. [internet],[cited 2018 Jun 20], Available From: http://www.eosmhc.or.kr/new/html/sub03_2_2.html?page3&id2476&typeread&dbhealthinfo&amode&column&keyword&sort. 

  23. S. J. Yun. (2010). Repressive approach in relation to violence of words and suicide accident, arbitration effect of active fantasy and optimism, Korea University. 

  24. M. S. Seok. J. Y. Song & Y. S. Par. (2017). A Longitudinal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ituational Change of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Daily Living and Employ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n-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7(1), 278-306. 

  25. J. Y. Kim. M. G. Yi & J. M. Park. (2013).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5), 109-123. 

  26. C. Lim. H. Bae. (2011). Risk factors for violence victimiz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1), 19-46. 

  27. E. P. Cramer. S. F. Gilson & E. Depoy. (2004).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xperiences of abus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7(4), 183-199. DOI : 10.1300/J137v07n03_11 

  28. S. H Kim. (2008). Domestic Violance agaist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Task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9. Nationwide Violence Consultation Center Council. (2013). Women disabled Persons violent exile subjective campaign While opening events: 2013 Consultation Statistics and Analysis Results. 

  30. H. K. Gwon & J. H. Jang. (2003). Perception of Sexual abuse behaviors and Self-detrimental sexual behavior on Adolescents victim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logy, 8(1), 35-47. 

  31. Save the Children. (2011). Sexual violence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