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활동 인구의 구강검진수검 여부 및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and whether Oral Examination for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0, 2018년, pp.175 - 182  

김민영 (삼육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김지현 (전북과학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25~54세 연령의 104,811명의 경제활동 인구를 대상으로 구강검진수검 여부와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여 구강검진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리적 특성, 구강건강관리행태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령 및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석제거를 경험한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매우 좋은 경우, 필요치과진료 수진자에서 구강검진 수검률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구강검진 수검률이 낮게 확인되었다. 경제활동 인구의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지역, 소득수준, 직업, 치석제거 경험 여부, 필요치과진료 미수진 여부 등이 구강검진 수검 여부에 있어 유의한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다. 구강검진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구강검진사업에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whether or not to take oral examinations for 104,811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ed 25 to 54 years using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oral examination r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강검진은 구강상병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를 통해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키고 구강건강 관리능력을 증진시키는 목적이 있다[1]. 2000년부터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건강검진 사업을 법정급여로 실시하고 있고, 2008년에는 모든 국민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건강검진 사업을 법적으로 명시화 하였다[2].
  •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동 인구 15∼64세 중에서 소득, 교육, 직업 등 사회경제적 수준 지표를 결정하기 어려운 24세 이하와 경제활동참가율이 40% 전후에 불과한 55∼63세 연령을 제외한 만 25∼54세 성인을 대상[17][18]으로 경제활동 인구의 구강검진수검여부와 연관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구강검진 수검률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검진의 목적은 무엇인가? 구강검진은 구강상병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를 통해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키고 구강건강 관리능력을 증진시키는 목적이 있다[1]. 2000년부터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건강검진 사업을 법정급여로 실시하고 있고, 2008년에는 모든 국민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건강검진 사업을 법적으로 명시화 하였다[2].
국민건강보험법에서 2008년 어떤 사업을 법적을 명시화 하였는가? 구강검진은 구강상병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를 통해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키고 구강건강 관리능력을 증진시키는 목적이 있다[1]. 2000년부터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건강검진 사업을 법정급여로 실시하고 있고, 2008년에는 모든 국민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건강검진 사업을 법적으로 명시화 하였다[2]. 보건복지부에서는 건강검진의 효과와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매년 다양한 건강증진정책을 수립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도입된 생애전환기 검진 및 영유아 건강검진 외에도 일반 건강검진으로 구분하여 시행되고 있다.
성인과 아동의 구강검진 수검률이 낮은 이유는? 1%)도 비슷한 양상으로 영유아 의과검진 수검률이 70% 정도이고, 영유아 구강검진 수검률은 35% 정도로 나타났다. 치과의 방문은 예방적 처치로 방문하는 경우는 적고, 거의 대부분 구강건강상태에 문제가 발생하여 치료를 받을 때 치과에 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3], 어릴때부터 구강검진을 중요시하지 않는 의식이 성인까지 적용된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겠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영수, 정세환, 이규식, "구강병 예방진료 일부항목의 건강보험급여를 위한 재정추계 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4호, pp.539-552, 2003. 

  2. 보건복지부, 2011 건강검진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3. K. F. Roberts-Thomson and J. F. Stewart, "Access to Dental Care by Young South Australian Adults," J. of Aust Dent, Vol.48, No.3, pp.169-174, 2003. 

  4. 보건복지부, 2015 건강검진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5. 박홍련, "근로자의 구강건강실태와 구강건강관리행동에 관한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제6권, 제3호, pp.177-186, 2006. 

  6. 정세환, 국가 구강검진체계 개선방안 제시 및 교육지침 개발, 보건복지부, 2009. 

  7. 국민구강건강싵태조사, 보건복지부, 2010. 

  8. 송석하, 광주광역시 동구민 중.노년층의 구강관리습관과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윤현서, 채유정,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검진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호, 제8권, pp.265-272, 2017. 

  10. 윤미숙, 권현정,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802-2811, 2013. 

  11. 김동휘, 서영준, "우리나라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2014)자료를 바탕으로," 치위생과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23-332, 2017. 

  12. 이정화, 조미숙, "일부지역 산업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조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2호, pp.15-23, 2012. 

  13. 김한숙,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이용자의 특성 비교를 통한 건강검진 정책 효율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4. S. Macintyre, A. Ellaway, and S. Cummins,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5, No.1, pp.125-139, 2002. 

  15. J. T. Kullgren and C. G. McLaughlin, "Beyond Affordability: The Impact of Nonfinancial Barriers on Access for Uninsured Adults in Three Diverse Communities," J. of Community Health, Vol.35, No.3, pp.240-248, 2010. 

  16. 제1차[2017-2012]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보건복지부, 2017. 

  17. 이민경, 진혜정, "우리나라 성인의 미충족 치과진료 현황 및 관련요인: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5권, 제5호, pp.787-795, 2015. 

  18.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17-327, 2012. 

  19. 이은숙, 김경민, 김혜진, "병원 내 치과검진 수혜자의 구강건강인식 및 습관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21-131, 2016. 

  20. 여지영, 정형선, "구강검진 및 필요치과진료 수진의 결정요인: 경제적 접근성과 지리적 접근성간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8권, 제4호, pp.109-126, 2012. 

  21. S. Schwartz, "The Fallacy of The Ecological Fallacy: The Potential Misuse of a Concept and The Consequences," J. of American Public Health, Vol.84, No.5, pp.819-824, 1994. 

  22. G. Firebaugh, "A Rule for Inferring Individual Level Relationships from Aggregate Dat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3, No.4, pp.557-572, 1978. 

  23. 심형순, 김송숙, 김지현, "우리나라 성인의 치과 의료이용 미수진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5권, 제5호, pp.823-829, 2015. 

  24. 신보미, 배수명, 유상희, "우리나라 성인의 직업수준에 따른 구강건강불평등 현황," 치위생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25-234, 2016. 

  25. 전경자, 나백주, "농촌지역 공공보건기관의 보건사업 기능개편 방안," 한국농촌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pp.145-152, 2007. 

  26. 박수경, 김춘배, 정원균, "우리나라 지역주민의 보건소 구강보건서비스이용률 분석: 2011-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이용,"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지, 제38권, 제3호, pp.154-16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