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아미백에 대한 지식과 만족도 현황
Knowledge and Satisfaction Status of Tooth Bleach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0, 2018년, pp.403 - 414  

정유란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이주열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아미백에 대한 지식과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017년 6월1일부터 2주 동안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치과의원에 방문한 환자 32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아미백 지식수준에 따른 치아미백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치아미백지식수준이 상(8-10)인 경우 만족도가 3.86으로 가장 높았으며 하(0-3)인 경우 만족도가 3.00으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아미백 만족도는 성별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나타났으며, 여자의 만족도가 3.74로 남자의 만족도 3.11 보다 높았다. 미백경험방법과 미백동기에 따른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전문가 미백(4.41)이 OCT미백(2.64)보다 높았다. 또한 병원의 권유로 미백을 한 경우 4.13점으로 매체광고를 통해 미백을 경험한 경우(3.00) 보다 높았다. 따라서 치아미백의 만족도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뿐만 아니라 치아미백에 관한 지식수준, 치아미백 방법과 치아미백 동기에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요인을 활용하여 치아미백의 경험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satisfaction of tooth bleaching. From June 1st, 2017, 328 pat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in Ulsan Metropolitan City for two weeks were asked to do a self - filling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oth bleaching satisf...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요구도에 부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치아미백을 위하여 치아미백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치과의원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아미백에 대한 지식과 치아미백 경험자의 경험방법과 경험 동기 그리고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치아미백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치아미백을 요구하는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진단 및 치료 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2017년 6월 1일 부터 6월 15일까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10곳의 치과 방문자 32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사항, 치아미백에 대한 지식, 치아 미백 경험 및 만족도 등을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치아의 심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만 그 중 치아미백은 다른 치료에 비해 치아를 삭제하지 않아 보존적이고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관심과 요구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요구도에 부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치아미백을 위하여 치아미백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미백관련 OCT 제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인터넷이나 홈쇼핑, 마트 등에서 치아미백 제품인 OCT(over the counter)을 손쉽게 구매하여 가정에서 치아미백을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9]. OCT 제품의 경우 전문가 의약외품이 아닌 일반 의약외품으로 분류되어 모든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OCT 제품이 최근 많이 개발되어 치아미백의 경험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미백치약, 가정 치아 미백제의 경험이 높고, 치과에서 하는 치아미백술은 낮은 경험률을 보이고 있다[10].
생활치 미백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보고된 치아 미백의 부작용으로는 실활치 미백의 경우 미백제의 농도에 따른 치경부 외흡수가 발생 할 수 있다[11]. 또한 생활치 미백 후에는 지각과민증과 치수손상, 미백제의 화학반응으로 인한 법랑질 표면의 마모 저항성 감소[12], 잔존 수복물의 접착강도 감소와 변연미세누출 증가[13], 법랑질의 다공성 변화로 인한 변색 재발과 외인성 변색 촉진, 미백제의 과잉 사용으로 인한 구강점막의 화상[14] 등이 알려져 있다.
치아 변색의 선천적, 후천적 원인은 무엇인가? 치아 미백은 치아변색 시 사용하는 방법이며, 치아 변색의 원인은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으로 나뉜다. 선천적인 원인은 산모의 테트라싸이클린과 같은 항생제[4]나 불소의 과다섭취로 인한 불소증[5]에 의해서 발생된다.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치수출혈과 외상 그리고 음식물과 담배, 커피, 콜라 등 기호성 식품에 의한 착색[6]과 같이 일상생활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변색이 될 수도 있다. 치아미백은 이러한 변색이 발생한 치아를 삭제 하지 않고 변색요인과 치아미백제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변색을 제거하여 치아색을 회복시켜주는 술식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Gallagher, B. Maggio, J. Bowman, L. Borden, S. Mason, and H. Felix, "Clinical study to compare two in-office (chairside) whitening systems," J Clin Dent, Vol.13, pp.219-224, 2002. 

  2. 홍지호, 치아관리만 잘해도 인상이 바뀐다, 팜파스, pp.210-211, 2007. 

  3. Y. Li, "Tooth bleaching using peroxide containing agents : current status of safety issues," Compend Contain Educ Dent, Vol.19, No.8, pp.776-786, p.788, p.790, 1998. 

  4. F. N. Hattb, M. A. Qudeimat, and H. S. al-Rimawi, "Dental disclolration: an onerview," J Esthet Dent, Vol.1, No.6, pp.291-310, 1999. 

  5. A. C. Shearer, "External Bleaching of teeth," Dent Update, Vol.18, No.7, pp.289-291, 1991. 

  6. M. S. Wasilewski, M. K. Takahashi, G. A. Kirsten, and E. M. de Souza, "Effect of cigarette smoke and whiskey on the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s," Am J Dent, Vol.23, No.1, pp.4-8, 2010. 

  7. 이경희, 박초희, 김수경, "치아미백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권, 제4호, pp.605-613, 2013. 

  8. R. E. Goldstein and D. A. Garber, Complete dental bleaching, Quintessence book, pp.20-76, 1995. 

  9. 이혜진, 전은숙, "치아미백에 관한 부산시민의 인식 및 지식도 조사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6권, 제1호, pp.79-91, 2006. 

  10. 안분숙, 대학생의 치아미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S. Friedman, I. Rotstein, H. Libfeld, A. Stabholz, and I. Heling, "Incidence of external root resorption and esthetic results in 58 bleached pulpless teeth," Endod & Dent Traumatol, Vol.4, pp.23-26, 1998. 

  12. H. Shannon, P. Spencer, K. Gross, and D. Tira, "Characterization of enamel exposed to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s," Quintessence International, Vol.24, pp.39-44, 1993. 

  13. H. Ulukapi, Y. Benderli, and I. Ulukapi, "Effect of pre and postoperative bleaching on marginal leakage of amalgam and composite restorations," Quintessence International, Vol.34, pp.505-508, 2003. 

  14. M. Goldberg, A. Claisse-Crinquette, K. Bourd-Boittin, and D. Le Denmat, "Tooth Bleaching Treatment," Ass. Dent. Francaise, Paris, pp.10-46, 2005. 

  15. 정수용, 미백을 원하는 사람들의 평균적인 치아 색상과 그 색상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미백시 선호하는 색상에 대한 조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6. 신희영, 치아미백 선호도와 만족도 조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 T. W. Gage, L. W. Frazier, and J. M. Wright, "Oral soft tissue response to topically applied peroxide tooth whitener," J Dent Res, Vol.71, p.585, 1992. 

  18. S. Benjamin, "Use of dental lasers on hard tissue," Pract Proced Aeshet Dent, Vol.14, No.5, pp.422-424, 2002. 

  19. 신희영, 치아미백 선호도와 만족도 조사: 하루 한 번 전문가 미백시술을 받은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 V. B. Haywood, "History,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urrent whiten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the nightguard vital whitening technique," Quintessence Int, Vol.23, No.7, pp.471-488, 1992. 

  21. 윤호영, 구효진, 김교한, 송근배, "고농도 Hydrogen Peroxide의 단독도포와 저농도 Hydrogen Peroxide에 plasma arc 조사 시 미백효과 비교," 대한치과기재학회지, 제37권, 제1호, pp.21-28, 2010. 

  22. 함연숙, 20-30대 직장 여성의 치아미백 실태와 선호도 연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3. 함혜정, 치아미백이 치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4. 권소란, 치아미백 아트라스, 대한나래 출판사,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