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한식뷔페레스토랑 고객을 중심으로
Effects of Service Quality including Food Therapy Element on Positive Emotion and Brand loyalty: Focusing on Daegu-Gyeongbuk Hansik Buffet Restaurant Custom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0, 2018년, pp.464 - 477  

이지연 (영남대학교 식품과학과 외식산업학전공) ,  변광인 (영남대학교 식품경제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긍정적 감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식뷔페레스토랑에 방문하는 고객들의 직업 비율에 의한 할당 표본추출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7월 1일부터 7월 25일까지(2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체 8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805부에서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786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음식품질, 접점서비스, 신체적테라피, 심리적테라피는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서비스환경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긍정적 감정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품질, 접점서비스, 신체적테라피, 심리적테라피는 충성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푸드테라피 요소가 레스토랑 관련 연구에서 충성도를 향상시키는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밝혔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effect of food therapy and service qualit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and brand loyalty. It examined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food therapy on positive emoti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 on brand loyalty, and then aimed to ex...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agozzi & Yi(1991), Fornell & Larcker(1981)가 제시하는 기준을 토대로 신뢰성 및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55][56].
  • 첫째,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한식뷔페레스토랑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셋째,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본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푸드테라피 요소를 서비스품질 요소에 포함하여 긍정적 감정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에 위치한 한식뷔페레스토랑에 근무하는 매니저급 5인과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통하여 한식뷔페레스토랑 고객층의 직업 비율을 질문하였다. 이때, 전문직, 생산/기술직, 사무/관리직, 공무원, 자영업, 주부, 학생의 직업유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과 푸드테라피 가 긍정적 감정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가설의 검정결과는[표 9]와 같다.
  • 본 연구는 한식뷔페레스토랑의 푸드테라피와 서비스 품질이 긍정적 감정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음식과 치유를 활용한 외식사업 실무 적용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도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고, 향후 연구들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뷔페레스토랑의 푸드테라피요소와 서비스품질 요소, 긍정적 감정의 변화에 따라 브랜드 충성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만약, 위생적이지 못한 음식점에 방문하였을 경우, 부정적 감정이 생기고, 재방문 하려는 의도는 매우 낮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반대의 측면에서 푸드테라피 요소 또는 서비스품질 등의 요인들이 해당 한식뷔페레스토랑에 대해 소비자들이 가지는 기분의 상태인 긍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식레스토랑과 관련된 선행연구들[20-28]을 통하여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항목들과 함께 푸드테라피 요소를 독립변수의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식뷔페레스토랑을 방문한 고객이 지각하는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의 수준이 긍정적 감정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아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고, 개념들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둘째, 한식뷔페레스토랑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셋째,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식분야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한식뷔페레스토랑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푸드테라피 요소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요소가 긍정적 감정과 어떠한 영향관계를 갖게 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푸드테라피 요소가 기존에 외식경영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 왔던 서비스품질 요소에 포함되어, 소비자들의 긍정적 감정에 어떠한 요소가 더 큰 영향을 갖는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2의 결과에서 주목해야할 영향력의 수준이다. 표준화경로계수를 통해 알 수 있겠지만, 0.
  • 가설 4.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할 것이다.
  • 가설 2. 한식뷔페레스토랑의 푸드테라피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한식뷔페레스토랑의 푸드테라피가 충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푸드테라피이란 무엇인가? 푸드테라피(Food therapy)는 음식(Food)과 치유(Therapy)의 합성어로 인체의 방어력과 면역력을 높여주는 자연 치유 요법이며 음식을 통하여 육체와 정신의 질병을 치료하는 음식요법이다[11]. 또한 푸드테라피는 음식이 지닌 여러 성질을 이용하여 심신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통칭하는 자연치유법으로 기존의 약선학, 민간요법, 식이요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포괄하고 있으며 섭취 가능한 모든 음식을 대상으로 건강에 유익한 것을 뜻한다[12].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장점은 무엇인가? 과거의 뷔페레스토랑은 양식 위주였으나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사람들의 외식기호가 선진화됨에 따라 다국적형태의 음식이 나타나게 되었다[3]. 한식뷔페레스토랑은 일반 뷔페레스토랑과 기본적인 특징이 같은데 시간 절약, 저렴한 가격, 다양한 요리 제공, 좋은 위생 상태, 빠른 좌석 회전율, 음식물 쓰레기 감소 등이 장점이다[4].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고객들은 수익률 증대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Dick & Basu(1994)는 여러 제품들 중 특정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하는 의사결정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표출되는 행위가 브랜드 충성도라고 하였다[43]. 충성도가 높은 고객은 많은 양을 빈번하게 구입하고 경쟁 기업의 가격 유인 전략에도 덜 민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도 지속적으로 재구매를 하며, 긍정적 구전을 통해 신규 고객을 창출함으로써 기업의 수익률 증대에 큰 역할을 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한국외식연감, 한국외식정보 편집부 저, 2006. 

  2. 이진형, 호텔뷔페의 메뉴품질에 관한 연구 : 경주 지역 특1 호텔뷔페를 대상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3-66, 2004. 

  3. 김현묵, "호텔 뷔페레스토랑의 메뉴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금구논총, 제1집, 2005. 

  4. 이현, 한식뷔페레스토랑 브랜드 로고디자인특성과 소비자반응, 브랜드자산 간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 이연주,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 호스피탈리티 경영전문대학원 르꼬르동블루 호스피탈리티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6. 이정우, 기업형 한식뷔페 가격공정성과 메뉴품질이 고객의 심리적 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17, 2016. 

  7. 오재혁,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점포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 박정윤, 한식뷔페레스토랑의 식공간연출이 고객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1회용 테이블매트 연출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9. 이준형, 한식뷔페의 물리적 환경에 의한 고객감정 반응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0. 최영옥, "웰빙문화와 칼라테라피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p.228, 2006. 

  11. 장석종, 자연치유를 증진하는 체질과 푸드테라피, 도서출판 신정, 2009. 

  12. 김주영, 음식테라피 프로그램의 학교생활 적응 및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차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0, 2013. 

  13. 김경미, 푸드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심리적 건강,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4. 박윤주, "서비스 대기시간 배려가 지각된 대기시간, 서비스 과정품질 및 결과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서비스경영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97-215, 2011. 

  15. 권혁종, 기업의 내부고객에 대한 세분화 전략과 제품정책의 결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16. C. Gronroos,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18, No.4, pp.36-44, 1984. 

  17. A. Parasuraman, V. Zeithaml, and L. Berry, "A conceptual model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keting, Vol.49, No.3, pp.41-50, 1985. 

  18. J. J. Cronin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3, pp.55-68, 1992. 

  19. J. J. Brady, M. K. Cronin, and G. T. M. Hult, "Assessing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Journal of Retailing, Vol.76, No.2, pp.193-218, 2000. 

  20. 김명희, 김준원, 정문채, "소비자의 서비스품질지각수준이 외식업체와의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 소재 한식당을 중심으로," 호텔리조트 연구, 제8권, 제2호, pp.7-21, 2009. 

  21. 이보순, Kano 모델에 기반한 외식업 서비스 품질 요소별 충족도가 고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 한옥마을 한식당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35-36, 2009. 

  22. 장경숙, 박기용, 김미경, "한식체인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 연구, 제5권, 제1호, pp.161-183, 2009. 

  23. 김기진, 한상일, 양정미, "외식업 유형에 따른 관계품질, 충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한식당, 패스트푸드, 피자레스토랑,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6권, 제4호, pp.21-45, 2011. 

  24. 이준혁, 박헌진, "한식당 선택요인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성 비교연구: 국내 한식 체인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 연구, 제20권, 제2호, pp.191-207, 2011. 

  25. 박경식, 고급한식당의 서비스품질과 외식동기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8-51, 2012. 

  26. 김양훈, Kano모델을 이용한 한식당 서비스품질 속성 분류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60, 2012. 

  27. 정상영, 관여도에 따른 한식당 선택 속성,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8-52, 2012. 

  28. 이지연, 수정 IPA를 이용한 한식당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9. 이윤주, 호텔 고객이 지각하는 푸드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메뉴선택속성,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0. 유동규, 프랜차이즈 배달음식 서비스품질이 고객감정반응 및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1. 어문영, 항공서비스 소비관련 감정과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2. M. P. Gardner, "Mood States and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3, pp.281-300, 1985. 

  33. 유주연, 브랜드개성에 따른 긍정적 감정이 자아 인식의 향상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4. Michael A. Cohn and Barbara L. Fredrickson, Positive Emotions, In Lopez, Shane J. & C. R. Snyder (ed.),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13-24, 2011. 

  35. Barbara L. Fredrickson,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3, pp.218-226, 2001. 

  36. Barbara L. Fredrickson and Marcial F. Losada, "Positive Affect and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Vol.60, No.7, pp.678-686, 2005. 

  37. Barbara L. Fredrickson, Michael A. Cohn, Kimberly A. Coffey, Jolynn Peck, and Sandra M. Finkel,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5, No.5, pp.1045-1062, 2008. 

  38. C. R. Snyder, Shane J. Lopez, and Jennifer Teramoto Pedrotti,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tific and Practical Explorations of Human Strengths, Thousand Oaks, CA:Sage, 2011. 

  39. A. Y. Lee and B. Sternthal, "The Effects of Positive Mood on Memor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6, No.2, pp.115-127, 1999. 

  40. 전태유, 박노현, "물류 컨벤션 행사의 측정요인이 긍정적 감정, 관계품질, 구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류학회지, 제21권, 제3호, pp.88-111, 2011. 

  41. 김균래, 프로야구 구단의 SNS특성과 구단태도, 구단이미지, 모기업이미지, 긍정적 감정 및 모기업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2. R. L. Oliver,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3, pp.33-44, 1999. 

  43. A. Dick, and K. Basu,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2, No.2, pp.99-113, 1994. 

  44.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NY: The Free Press, 1991. 

  45. C. Fornell, "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The Swedish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1, pp.6-21, 1992. 

  46. 정은정, 항공사 기내식 서비스 품질이 고객감정 반응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7. 류주연, "브랜드경험과 긍정적 감정이 소비자-브랜드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495-503, 2015. 

  48. 김정욱, 약선음식점 선택속성과 건강 추구성향이 힐링 만족과 로하스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9. 장병주, "외식기업 이용고객의 디톡스 라이프, 푸드 테라피, 생활만족,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9권, 제3호, pp.363-383, 2017. 

  50. 장석종, "푸드테라피의 다차원적 건강과 행복감 증진 기능평가,"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109-114, 2017. 

  51. S. H. Tsaur, H. F. Luoh, and S. S. Syue,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customers in full-service restaurant: Does aesthetic labor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51, pp.115-126, 2015. 

  52. 김기진, 변광인, "외식업체 직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2권, 제4호, pp.93-110, 2013. 

  53. 변광인, 오지현,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지각된 문화마케팅전략이 브랜드 태도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39권, 제1호, pp.167-190, 2014. 

  54. 장석종, "푸드테라피가 다차원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1호, pp.222-231, 2018. 

  55. R. P. Bagozzi and Y. Yi,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6, No.3, pp.421-458, 1991. 

  56.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Vol.18, No.1, pp.39-50,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