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트 무늬의 크기와 간격에 따른 침구류 직물 선호도에 대한 연구
Preference of Bedding Fabric according to Size and Spacing of Dot Pattern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0 no.5, 2018년, pp.592 - 599  

사아나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연구개발본부) ,  이선영 (충남대 바이오응용화학연구소) ,  김정화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이정순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 needs, image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bedding fabric according to size and spacing of dot pattern. 18 kinds of dot pattern fabrics were designed with different diameters(6, 8, 10cm) and distances(4, 7, 10cm) in regular arrangement of diamo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비자가 지각하는 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은 디자인 및 제품 컨셉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어 침구제품의 포지션 및 대상 소비자를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구류 소재에 대한 소비자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크기와 간격이 다른 도트 무늬가 적용된 침구류 직물의 이미지와 선호도 조사를 통해 소비자 감성에 부합하는 침구류 상품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특히 다양한 패턴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침구류 직물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은 소비자의 구매요구에 부합하는 침구류 제품의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침구류에 적용되는 패턴 중 도트 패턴을 선택하여 크기와 간격만을 변화시켜 흰색직물에 적용하였으므로 색채요소가 주는 영향을 배제하였다. 그러나 무늬에는 형태뿐만 아니라 색채라는 디자인요소가 모두 포함되어있으므로 도트 패턴의 크기와 간격과 함께 색채요소가 고려된 연구가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침구류 소재에 대한 소비자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크기와 간격이 다른 도트 무늬가 적용된 침구류 직물의 이미지와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침구류 소재의 주관적 평가를 객관화 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물리적 특성 치로는 도트 무늬의 지름(Diameter), 도트 무늬 간 간격(Distance), 비율(도트무늬 지름과 간격의 비율(Ratio, distance/diameter), 도트 무늬와 바탕의 표면반사율의 차(ΔR, Pattern-Base), 도트 무늬와 바탕의 휘도의 차(ΔL, Pattern-Base) 등이 포함되었으며 주관적 평가치와 함께 비교·분석되었다.
  • 2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해 선호직물과 비선호직물에 영향을 주는 감성요인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홈퍼니싱 시장현황은 어떠한가?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기는 시점이 ‘삶의 질’에 중점을 둔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 세계적인 현상으로, 일본의 경우 소득 3만 달러 시대에 들어선 1992년부터 10여 년간 인테리어 산업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Kim, 2017a). 통계청에서 추산한 홈퍼니싱 시장은 2015년 12조 5000억 원에 이르며, 관련 업계에서는 2023년에는 18조 원까지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Kim, 2016a). 경제성장 이외에도 인테리어 시장규모의 증가는 급변하는 기후와 미세먼지, 대기오염 등 환경 문제에 대한 현대인의 불안을 집이라는 안식처에서 얻고자 주거환경을 쾌적하고 평온하게 꾸미려는 소비자의 욕구도 함께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Park & Jeong, 2012).
기하학패턴 중 도트 무늬가 오랫동안,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하학패턴 중 도트 무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 사용되어오고 있는 무늬로 유행과 계절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도의 디자인에 이용되고 있다(Choi & Ryoo, 2007a). 이는 도트 무늬가 사각형의 예리하고 긴장된 운동감과는 대조적으로 느긋하고 순조로운 운동감을 가지고 있고, 모든 장식적인 무늬 중에서 가장 눈에 띄며, 젊고 귀엽고 유쾌하게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Goh & Kim, 1999). 최근 일본의 조각가 겸 설치미술가인 쿠사마 야요이도 도트 무늬를 테마로다양한 작품을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Kwon,2018).
인테리어 시장규모의 증가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통계청에서 추산한 홈퍼니싱 시장은 2015년 12조 5000억 원에 이르며, 관련 업계에서는 2023년에는 18조 원까지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Kim, 2016a). 경제성장 이외에도 인테리어 시장규모의 증가는 급변하는 기후와 미세먼지, 대기오염 등 환경 문제에 대한 현대인의 불안을 집이라는 안식처에서 얻고자 주거환경을 쾌적하고 평온하게 꾸미려는 소비자의 욕구도 함께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Park & Jeo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S. G., & Jeong, S. J. (2008). A study on the necktie image followed by coloration, size and area-ratio of dot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4(4), 500-509. 

  2. Choi, H. W., & Ryoo, S. H. (2007a). The influence of the interval of polka dots on the image of clothes - Focused on one-piece dress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9(3), 278-285. doi:10.5850/JKSCT.2007.31.5.742 

  3. Choi, H. W., & Ryoo, S. H. (2007b). Influence of the size of polka dots on the image of clothes - Focused on one-piece dres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5), 742-752. doi:10.5850/JKSCT.2007.31.5.742 

  4. Goh, E., & Kim, D. (1999). 디자인을 위한 색채계획 [Color plan for design]. Seoul: Mijinsa. 

  5. Hwang, E. H., & Kang J. S. (2011). A study on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2), 81-86. 

  6. Ju, J. A., & Kim, H. C. (2013). Images of hanji-bedclothes according to bedclothes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174-185. doi:10.5850/JKSCT.2013.37.2.174 

  7. Kim, B. (2016b, October 14). 불면의 현대인을 위한 '슬리포노믹스'가 뜬다 ['Sleeponomics' comes up for a modern man of insomnia]. Sedaily. Retrieved June 29, 2018, from http://www.sedaily.com/NewsView/1L2OXAG9N8 

  8. Kim, E. (2017a, April 17). 옷보다 침대보… 패션 허세 버린 20-30대 '리빙족' 덕에, 13조 홈 리빙 시장 열렸다 [The bedclothes than clothes ... Thanks to the 20s and 30s 'living consumer', the 13 trillion home living market was held]. ChosunBiz. Retrieved June 29, 2018,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4/2017041402231.html 

  9. Kim, J. (2016a, April 5). Home Interior.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June 29, 2018,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no248909&year2016 

  10. Kim, K. H. (2017b). Factor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sleep duration: Analyzing the 5th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Journal of Youth Welfare, 19(1), 57-84. doi:10.19034/KAYW.2017.19.1.03 

  11. Kim, S. M., & Jeong, S. J. (2008a). A study of the changes in dress wearers' images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the size and area ratio of polka dots relative to col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6), 54-68. 

  12. Kim, S. M., & Jeong, S. J. (2008b). The effect of dot pattern size and the variation of coloration on dress wearers' image formation - Focused on coloration of value contrast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863-877. 

  13. Kim, S. M., & Jeong, S. J. (2008c). The visual image evaluation for the dot pattern size and the variation of coloration in the achromatic colo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4), 143-130. 

  14. Kim, Y. K., & Lee, K. H. (2000).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clothing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6), 861-872. 

  15. Kwen, E. S., Lee, M. H., & Kang, S. H. (1997). A study on bedclothes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e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5, 181-193. 

  16. Kwon, M. (2018, June 16). 쿠사마 야요이, 누구? 일본의 조각가 겸 설치미술가…아방가르드 작품으로 유명 [Kusama Yayoi, who? Japanese sculptor and installation artist…Famous for avant-garde works]. Topstarnews. Retrieved October 28, 2007, from 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29591#08e1 

  17. Kwon, Y. A. (2008). Product development of children's knitwear - Study on the sensibility of preferred characters for children's underwear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4), 628-637. 

  18. Lee, Y. (2018a, June 18). 소득 3만 달러 시대 접어든 한국, 인테리어에 눈을 떴다 [South Korea with an income of $ 30,000, wakes up in the interior]. Economychosun. Retrieved June 29, 2018, from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034&img_ho 

  19. Lee, I. J., & Kim, S. A. (2016). A study on effects of tag cues of bedding products upon perceived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24(1), 145-172. 

  20. Lee, M. S. (2018b). A study on actual use,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s of bedding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60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0(1), 1-16. doi:10.30751/kfcda.2018.20.1.1 

  21. Moon, S. L., & Lee, K. H. (1994). A study on the visual interpretation of the clothing image as clothing form and dot space vari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1), 3-14. 

  22. Park, H. S., & Jeong, M. J. (2012). A study on the internal bedding brand using eco-friendly textile material - Focused on "Evezary", "Parkhonggeun Homefasion", "Sesaliving", and "Womanroa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8(4), 211-222. 

  23. Park, S. O., & Park, H. L. (2011). A study on the naturalism in design of domestic bedding brand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7(2), 172-180. 

  24. Park, K. H. (2001). A study on the use of bedcloth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0), 29-37. 

  25. Robuko, N., & Lee, Y. J. (2003). Visual evaluation of polka-dot patterns for Korean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9(1), 47-57. 

  26. Seo, M. N., Son, D. B., & Koo, Y. S. (201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design on bedding classified by 20s-40s wome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5), 553-563. doi:10.5805/SFTI.2016.18.5.553 

  27. Yoo, H. E., & Kim, M. (2014). A basic study for bedding pattern design guid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32, 269-281. doi:10.17246/jkdk.2014..32.0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