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 지역 고해상도 기후지도 작성을 위한 공간화 기법 연구
Applicability of VariousInterpolation Approaches for High Resolution Spatial Mapping of Climate Data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5, 2018년, pp.447 - 474  

조아영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 ,  류지은 (고려대학교 환경GIS) ,  정혜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최유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리통계학적 공간화 기법을 적용한 격자기후자료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지예보모델(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격자기후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남한 지역의 고해상도 격자기후지도 작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017년의 595개 기후관측자료 중, 80%의 지점자료를 이용하여 순간 온도와 1시간 누적강수량에 대한 격자기후자료를 생성하였고 나머지 117개의 지점자료를 검증에 이용하였다. ArcGIS10.3.1과 Python3.6.4을 이용하여 관측자료 및 DEM을 IDW, 공동크리깅, 크리깅에 적용한 후, 공간보간 결과를 3개 군집으로 나누어 검증하였으며 LDAPS 격자기후자료를 바탕으로 유역 별 패턴 비교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순간 온도의 공간화에는 고도를 부변수로 추가한 공동크리깅이, 1시간 누적강수량 공간화에는 IDW가 가장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new dataset of spatially interpolated climate data of South Korea by performing various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comparison with the LDAPS grid data of KMA. Among 595 observation data in 2017, 80 % of the total points and remaining 117 poin...

주제어

표/그림 (1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격자형 기후자료의 역할은? 기후변화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 증가와 컴퓨터 기술 발달 및 고해상도 지리정보 구축이 가속화 되면서 환경생태, 농업기상, 지리학, 대기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해상도 격자형 기후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Fick & Hijmans 2017). 격자형 기후자료는 기후모델, 통계분석, 생태계, 서식지 연구 및 기후 공간화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며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적응정책수립 등 (Jang et al. 2015) 기후변화 관련 정책 결정에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고해상도 격자기후자료 생성에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방법의 특징은? 2003). 위성영상은 과거보다 상세한 정보 수집과 이용이 가능해졌으나 시간 단위로 급속하게 변하는 기후현상 분석이 어렵고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고도의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한다(Daly 2006; Ninyerola et al. 2007).
격자형 기후자료의 필요성은? 기후변화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 증가와 컴퓨터 기술 발달 및 고해상도 지리정보 구축이 가속화 되면서 환경생태, 농업기상, 지리학, 대기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해상도 격자형 기후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Fick & Hijmans 2017). 격자형 기후자료는 기후모델, 통계분석, 생태계, 서식지 연구 및 기후 공간화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며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적응정책수립 등 (Jang et al. 2015) 기후변화 관련 정책 결정에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n C, Ewa D, Carl K, Bill A, Ian F, Veronika N, Jason L, Alex S, Arie S, Bob D, Dean W, Don M. 2003. High-performance remote access to climate simulation data: a challenge problem for data grid technologies. Parallel Computing. 29: 1335-1356. 

  2. Baek GH, Lee MG, Kang BJ. 2011. Development of Spatial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KMA-RCM by Using GI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 136-149. [Korean Literature] 

  3. Baek SG, Jang DH. 2011. Evaluation for Applicability of Cokriging for High Resolution Spatial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Climate Research. 6(3): 242-253. [Korean Literature] 

  4. Bruno AW, Joslin LM. 2005. The concepts of bias, precision and accuracy, and their use in testing the performance of species richness estimators, with a literature review of estimator performance. Ecography. 28: 815-829. 

  5. Chun SH, Kim CB, Kim WR, Park SG, Chae SK. 2015. Analysis of Stream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s in Korea : Focus on the Biological Aspect,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2): 108-117. 

  6. Creutin JD, Delrieu G, Lebel T. 1988. Rain measurement by raingage-radar combination: a geostatistical approach. Journal of Atmospheric and Pceanic Technologies. 5: 102-115. 

  7. Daly C, Helmer EH, Maya Q. 2003. Mapping the Climate of Puerto Rico, Vieques and Culebr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1359-1381. 

  8. Daly C. 2006.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spatial climate data sets. Int. J. Climatol. 26: 707-721. 

  9. Girish P, David WS. 1983. Cluster Analysis in Marketing Research: Review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2): 134-148. 

  10. Hong KO, Suh MS, Rah DK, Chang DH, Kim CS, Kim MK. 2007.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Temperature Using GIS and PRISM. Atmosphere. 17(3): 255-268. [Korean Literature] 

  11. Hwang SH, Ham DH. 2013. Evaluation of Spatial Downscaling Methods for Enhancement of Spatial Precipitation Estimation. Journal of KOSHAN. 13(4): 149-163. [Korean Literature] 

  12. Jang DH, Wi NS, Park NW. 2015. High-resolution Spatial Mapping and Evaluation of Temperature and Rainfall in South Korea using a Simple Kriging with Local Mean. Climate Research. 10(2): 165-182. [Korean Literature] 

  13. Jeong JJ, Choi YG. 2011. Study on Interpolation Methods to Generate GIS-based Climate Maps. Climate Research. 6(2): 159-170. [Korean Literature] 

  14. Jin MJ, Park SY. 2015. Temperature Change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1): 23-36. [Korean Literature] 

  15. Kim JP, Lee WS, Cho HG, Kim GS. 2014.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Daily Precipitation Using a Modified PRISM Mode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4): 1139-1150. [Korean Literature] 

  16. KMA. 2017. 11-1360395-000252-01 

  17. KMA. 2017. 11-1360000-000002-06 

  18. Kim YS, Shim KM, Jung MP, Choi IT. 2014. Accuracy Comparison of Air Temperature Estimation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emperature Lapse Rate Effect.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5(4): 323-329. [Korean Literature] 

  19. Miquel N, Xavier P, Joan MR. 2007. Objective air temperature mapping for the Iberian Peninsula using spatial interpolation and GIS. Int. J. Climatol. 27: 1231-1242. 

  20. Park JC, Kim MK. 2009, A Study on the Use of a Terrain Aspect Variable in Producing the Precipitation Distribution Map applying Cokriging: A Case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3): 59-66. [Korean Literature] 

  21. Park JC, Kim MK.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147-163. [Korean Literature] 

  22. Park NW, Jang DH.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6): 1002-1015. [Korean Literature] 

  23. Park NW, Jang DH. 2011. Use of Space-time Autocorrelation Information in Time-series Temperature Mapp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7(4): 432-442. [Korean Literature] 

  24. Park SJ. 2014.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Landfor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stainabilit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5): 656-674. [Korean Literature] 

  25. Stephen EF, Robert JH. 2017. WorldClim2: new 1-km spatial resolution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 J. Climatol. 37: 4032-43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