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강수지수와 강수 부족량을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Drought assessment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precipitation deficit: focused on Han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0, 2018년, pp.875 - 886  

권민성 (서경대학교 도시안전연구센터) ,  성장현 (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사상을 정의하고, 가뭄심도와 부족 강수량을 대상으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족강수량은 표준강수지수의 가뭄기준인 -1에 해당하는 강수량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가뭄지수의 심도와 지속기간 이용한 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두 변량은 선형적인 관계가 매우 높아 각 변량에 대한 단변량 빈도해석과 비교하여 정보의 확장성은 크지 않다. 2015년 가뭄의 경우, 서울, 양평, 충주지점의 '가뭄심도-부족 강수량'량의 재현기간은 모두 300년 이상의 극심한 가뭄을 나타내고 있지만, '가뭄심도-지속기간'에서는 재현기간을 약 10년, 50년, 50년으로 평가하여 큰 차이를 나타냈다. 우기를 포함한 가뭄은 강수량 부족이 심각할지라도 가뭄심도는 가뭄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할 수 있어 실제 가뭄의 심각성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가뭄심도-부족 강수량' 빈도해석 결과는 강수량의 절대적인 부족량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어,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drought severity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drought magnitude and precipitation deficit. A drought event was defined b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precipitation deficit was estimated using reference precipitation corresponding to the SPI -1. In pre...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뭄심도와 가뭄기간에 대한 이변량 빈도 해석 결과와 가뭄심도와 부족강수량에 대한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가뭄을 평가하였다. Table 3은 9개 지점 에서 산정한 가뭄 사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사상의 특성은 어떤 인자를 사용해 표현할 수 있는가? 가뭄사상의 특성은 Fig. 1과 같이 가뭄지수의 크기로 나타낼 수있는 가뭄의 강도(intensity)와 가뭄이 지속되는 기간을 나타 내는 지속기간(duration), 가뭄 지속기간 동안의 강도의 합으로 표현된 심도(magnitude)로 나타낼 수 있다. 주로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활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정량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Yeon et al.
가뭄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뭄은 시작 및 종료 시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가 어렵고, 피해 발생까지 과정이 느리기 때문에 가뭄을 정량화할 수 있는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가뭄사상을 정의하고 있다. 가뭄지 수는 활용되는 목적에 따라 강수량, 증발산량, 토양수분, 저수량, 유출량 등 다양한 인자가 활용되고 다양한 가뭄지수가 개발되었다.
가뭄지수의 심도와 지속기간 이용한 빈도해석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연구에서 가뭄지수의 심도와 지속기간 이용한 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두 변량은 선형적인 관계가 매우 높아 각 변량에 대한 단변량 빈도해석과 비교하여 정보의 확장성은 크지 않다. 2015년 가뭄의 경우, 서울, 양평, 충주지점의 '가뭄심도-부족 강수량'량의 재현기간은 모두 300년 이상의 극심한 가뭄을 나타내고 있지만, '가뭄심도-지속기간'에서는 재현기간을 약 10년, 50년, 50년으로 평가하여 큰 차이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en, L., Singh, V. P., Guo, S., Mishra, A. K., and Guo, J. (2013).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8, No. 7, pp. 797-808. 

  2. Kao, S. C., and Govindaraju, R. S. (2010). "A copula-based joint deficit index for droughts." Journal of Hydrology, Vol. 380, No. 1-2, pp. 121-134. 

  3. Kim, B. S., Chang, I. G., Sung, J. H., and Han, H. J. (2016). "Projection in future drought hazard of South Korea based on RCP climate change scenario 8.5 using SPEI." Advances in Meteorology, 2016. DOI: 10.1155/2016/4148710 

  4. Kim, J. Y., Kim, J. G., Cho, Y. H., and Kwon, H. H. (2017). "A development of Bayesian Copula model for a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1, pp. 745-758. 

  5. Kwak, J. W., Kim, D. G., Lee, J. S., and Kim, H. S. (2012).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3B, pp. 161-168. 

  6. Kyoung, M., Lee, Y., Kim, H., and Kim, B. (2009).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effect on temperature and drought in Seoul: Based on the AR4 SRES A2 scenari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2B, pp. 181-191. 

  7.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pp. 179-183. 

  8. Mirabbasi, R., Fakheri-Fard, A., and Dinpashoh, Y. (2012).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copula method."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108, No. 1-2, pp. 191-206. 

  9. Nelssen, R. B. (2006). An introduction to Copula. Springer, New York, pp. 109-115. 

  10. Park, B.-S., Lee, J.-H., Kim, C.-J., and Jang, H.-W. (2013). "Projection of future drought of Korea based on probabilistic approach using multi-model and multi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5, pp. 1871-1885. 

  11. Park, M., Lee, O., Park, Y., and Kim, S. (2015). "Future drought projection in Korea under AR5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6, pp. 423-433. 

  12. Ryu, J. S., Ahn, J., and Kim, S. (2012). "An application of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using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0, pp. 1043-1050. 

  13. Sheffield, J., Wood, E. F., and Roderick, M. L. (2012). "Little change in global drought over the past 60 years." Nature, Vol. 491, No. 7424, pp. 435-438. 

  14. Shiau, J. T., Feng, S., and Nadarajah, S. (2007).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s for the Yellow River, China, using copulas." Hydrological Processe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21, No. 16, pp. 2157-2163. 

  15. Stokes, B., Wike, R., and Carle, J. (2015). Global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broad support for limiting emissions, Pew Research Center, accessed 28 July 2018, . 

  16. Wilhite, D. (2006). Drough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concepts, progress and future challenges. Genev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006: 24. 

  17. WMO (2009). Experts agree on a universal drought index to cope with climate risk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Press Release No. 872, accessed 17 July 2018, . 

  18. Wong, G., Lambert, M. F., and Metcalfe, A. V. (2008). "Trivariate copulas for characterisation of droughts." Anziam Journal, Vol. 49, pp. 306-323. 

  19. Yeon, J. M., Byun, S. H., Lee, J. K., and Kim, T. W. (2007). "Evaluation of droughts in Seoul using Two-dimens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4, pp. 335-343. 

  20. Yoo, J. Y., Shin, J. Y., Kim, D., and Kim, T.-W. (2013). "Drought risk analysis using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and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4, pp. 425-437. 

  21. Zhang, L., and Singh, V. P. (2006). "Bivariate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copula method."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1, No. 2, pp. 150-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