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지역 수력발전댐 개발가능지점에 대한 연간가능발생전력량 분석 및 개발 우선순위 평가
Priority assessment and estimation of annual power generation for potential development site of hydroelectric dam in Nor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0, 2018년, pp.929 - 939  

권민성 (서경대학교 도시안전연구센터)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초록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33개 지점의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은 현재 북한 수력발전량의 약 28%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별 공업지구 규모를 추정하고, 장래 인구 변동을 전망하여 도별 댐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저수량과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기초로 도내 댐개발 우선선위를 선정하였다. 도별 우선순위는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황해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지역의 수력발전댐 개발사업의 진출을 위한 초기 검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North Korea, hydropower which occupies about 63% of power generation is a major electric power source, and North Korea has many advantages in the geographical for developing hydroelectric power. In this study, Information on the basin and dam capacity for 33 potential development site of hydroel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댐 건설 가능지점에 대한 위치적 정확도 향상과 더불어 연간가능발생 전력량 산정에 사용되는 사용수량을 MWSWAT 모형을 이용한 장기유출 모의를 통해 적용하였다. 또한 전력수요가 많은 지역을 추정하여 도별 개발우선순위를 선정하였으며, 연간발전가능전력량과 저수량을 토대로 도내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북한 수력발전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결국 도별 인구 인동에 대한 전망은 북한의 경제가 발전하고 인구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 수도권과 산업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인구 이동이 많아질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경제발전과 이동의 자유가 보장된 상태에서 도별 인구의 변화는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진행된 시기의 인구이동을 가장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로 가정하였다.
  • 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산업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으로, 약 20년 후의 북한의 인구 증가 전망은 평양을 포함한 평안남도 지역에서 약 2배, 공업시설이 많은 지역, 즉 공업용수 사용량이 많은 지역 중 함경북도, 함경남도, 황해북도는 약 30%의 증가, 평안북도는 약 10%의 증가를 가정하였고, 이외의 지역은 20%가 감소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전체 발전량 중 수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MWSWAT은 어떻게 산정하는가? 장기유출분석을 위해 MWSWAT (MapWindow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33개 댐 유역에 대해 1988년부터 2017년 까지 30년간의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MWSWAT은 SWAT 모형과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ool인 MapWindow를 연계하여 유역생성 및 유역특성계산, 하천망도 생성과 Curve Number, 집중시간 등의 매개변수를 DEM,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통해 산정한다.
아시아지역 국가별 인구이동 특성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Kim (2015b)은 북한의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평양인근에서 평양으로의 인구 이동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전반적인 인구이동은 매우 적다고 평가하였고, 이는 북한의 사회적 특성상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것을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한국, 일본, 필리핀, 중국 등 아시아 국가의 인구 이동을 분석하여, 한국, 일본, 필리핀은 ‘수도권 집중형’으로 정의하고, 중국은 ‘정치적 통제하의 경제적 이동형’으로 정의하였으며, 북한은 이 두 가지 유형이 혼합된 제3의 유형이라고 분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iaki, S. (1994). Practice of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GTS, Gumi, p. 418. 

  2. Choi, J. (2015) Demographic structural change in North Korean and it's implications. Bank of Korea, Seoul, p. 26 

  3. Eo, G., Lee, C. H., Sim, O. B., and Ahn, J. (2018). "An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in North Ko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4, pp. 355-369. 

  4. Jeong, H.-G., Kim, S. J., and Ha, R.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storage behavior of chungju and the regulation dams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2, pp. 1235-1247. 

  5. KEPCO (2017). Statistics of electric power in Korea.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Naju, p. 179. 

  6. Kim D. S. (2010). Analysis of North Korean population census. Statistics Korea, Daejeon, p. 355. 

  7. Kim G. S. (2015a). North Korea energ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Daejeon, p. 10. 

  8. Kim S. G. (2015b). "Analysis of demographic trends in North Korea: Focused on data analysis." KDI North Korea Economic Review, Vol. 3, pp. 39-68. 

  9. KINU (2001). Industrial location in North Korea and inter-Korean cooperation.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Seoul, p. 128. 

  10. KRIHS (2013). Major development project for the integrated Korea peninsul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Sejong, p. 258. 

  11. K-water (1994). Status and sevelopment trend of water resources in North Korea. K-water, Daejeon, p. 370. 

  12. K-water (1998). Study on the water Resources of North Korea. K-water, Daejeon, p. 171. 

  13. K-water (2003). Study on the future prospect of water industry in North Korea and the participation strategy. K-water, Daejeon, p. 326. 

  14. K-water (2005). Study on the advancement of hydropower generation project in North Korea. K-water, Daejeon, p. 370 

  15. K-water (2006). Design criteria for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facility. K-water, Daejeon, p. 592. 

  16. Lee, S. (2011). Analysis and problems of the 2008 North Korean population census.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oul, p. 101. 

  17. MLTM (2011). Dam design criteri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Gwacheon, p. 231. 

  18. NKST (1990). Compendium of geography of Chosun: Hydrology geography,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Pyeongyang, p. 505. 

  19. Park, J., Jang, Y., and Seo, D. (2017). "Water quality prediction of inflow of the Yongdam dam basin and its reservoir using SWAT and CE-QUAL-W2 models in series to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0, pp. 703-714. 

  20. Park, M., and Ahn, J. (201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tential hydro-electric power in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8, No. 1, pp. 41-49. 

  21. Yoon J. (2016). "Status of North Korean electric power industry and case of Germany integration." KDI North Korea Economic Review, Vol. 5, pp. 17-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