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요 중 프탈레이트 대사체 농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Urinary Phthalate Mtabolite Concentratio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5, 2018년, pp.433 - 443  

최지희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 ,  김정훈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 ,  최길용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규상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concentrations of urinary phthalate metabolit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eoul, South Korea. We collected urine samples from 156 children from a single school 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6년도 초등학교의 5-6학년(만 11-12세) 156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요 중 프탈레이트 대사체(MEHHP, MEOHP, MECPP, MnBP, MBzP) 농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요 중 MnBP 농도는 성별, 콩 가공식품 섭취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요 중 MBzP 농도는 랩 포장 배달식품의 주 1회 이상 섭취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 그러나 프탈레이트 노출과 가공식품 섭취 관련 연구는 일부 수행된 바 있었지만,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가공식품의 섭취빈도와 프탈레이트 농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프탈레이트 중 국내 규제 대상물질 5종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요 중 프탈레이트 대사체 농도를 파악하고 프탈레이트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공식품 관련 식습관 요인을 평가하여 환경보건 분야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는 가? 여러 화학물질들 중 환경호르몬이라 불리는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은 체내의 생체 리듬 유지와 발달 과정을 조절하는 생체 내 호르몬의 생산, 분비, 이동, 대사, 결합작용 및 배설을 방해하는 유해물질이며, 프탈레이트류(phthalates), 비스페놀 A (bisphenol A), 다이옥신류(dioxin), 알킬페놀류(alkyl phenol), 중금속 등이 있다.7) 그 중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에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화합물의 한 종류로, 열전도율과 기화성이 높아 환경 속에 쉽게 방출된다.
가공식품이란 무엇인가? 7%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 가공식품이란 식품 원료에 세척, 탈피, 절단 등 간단히 물리적 조작만을 거치거나 물리적,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처리를 하여 저장 기간을 연장한 제품 모두를말한다.3) 이러한 가공식품은 식품의 생산, 가공 및조리, 유통과정, 포장재 등에 의해 유해물질이 노출되어 체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만성적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프탈레이트류는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 일부 프탈레이트류는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protection agency, EPA)에서 사람에게 발암 가능한물질(Group B2)로 분류되고 있고, 동물실험에서 생식기계의 기능적·구조적 장애 및 태아의 테스토스테론 감소와 같은 변이원성 및 생식독성을 일으키는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인체에 있어서는 성 호르몬 수준 저하13), 학령기 아동의 지능 감소14), 복부 비만15,16),어린이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17) 등과의 연관성이제시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프탈레이트에 노출될 수 있는 경로가 많고, 상대적으로 높은 대사속도를 가지고 있어 프탈레이트 노출에 더취약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ong HJ, Choi SY. A study on intake and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 among adolescents. Korean J Culinary Res. 2013; 19(1): 230-243.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 Production of food and food additiv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3. Jin HB, Choe EO. Survey on the use of preprocess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001; 16(3): 250-259. 

  4. Shin S, Choi SK, Kim H, Lee KY, Shin S, Lee JW, et al. Developing a questionnaire to assess exposure to food-borne hazards. Korean J Nutr. 2011; 44(1): 61-73. 

  5. Song HJ, Chang Y, Choi JC, Park SJ, Han J. Analytical survey on the package source, component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foods in Korea. Korean J Packaging Sci. Technol. 2017; 23(3): 173-181. 

  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Management of food packaging plastics in selected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1; 231: 116-136. 

  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endocrine disruptors using biomarkers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3. 

  8. Kim KK. Contents character of phthalates in school supplies. Anal. Sci. Technol. 2012; 25(1): 69-75. 

  9. Wittassek M, Koch HM, Angerer J, Bruning T. Assessing exposure to phthalates-the human biomonitoring approach. Mol. Nutr. Food Res. 2011; 55(1): 7-31. 

  10. Hong SK, Nam HS, Jung KK, Kang IH, Kim TS, Cho SE,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online column switching HPLC-MS/MS method for 10 phthalate metabolites in human urine. J Environ Health Sci. 2010; 36(6): 510-517. 

  11. Wittassek M, Wiesmuller GA, Koch HM, Eckard R, Dobler L, Muller J, et al. Internal phthalate exposure over the last two decades-a retrospective human biomonitoring study.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07; 210(3-4): 319-333. 

  12. Foster PMD, Mylchreest E, Gaido KW, Sar M. Effects of phthalate esters on the developing reproductive tract of male rats. Hum Reprod Update. 2001; 7(3): 231-235. 

  13. Kwon B, Ji K. Estrogenic and androgenic potential of phthalates and their alternatives. J Environ Health Sci. 2016; 42(3): 169-188. 

  14. Cho SC, Bhang SY, Hong YC, Shin MS, Kim BN, Kim JW, et 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hthalate exposure and the intelligence of schoolage children. Environ Health Perspect. 2010; 118(7): 1027-1032. 

  15. Teitelbaum SL, Mervish N, Moshier EL, Vangeepuram N, Galvez MP, Calafat AM, et al. Associations between phthalate metabolite urinary concentrations and body size measures in New York City children. Environ Res. 2012; 112: 186-193. 

  16. Deierlein AL, Wolff MS, Pajak A, Pinney SM, Windham GC, Galvez MP, et al.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phthalate exposures during childhood and body size measurements in young girls. Epidemiology. 2016; 27(4): 492-499. 

  17. Kim BN, Cho SC, Kim Y, Shin MS, Yoo HJ, Kim JW, et al. Phthalates exposure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school-age children. Biol Psychiatry. 2009; 66(10): 958-963. 

  18. Kho YL, Jeong JY, Choi KH, Kim PG. Determination of phthalate metabolites in Korean children's urin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triple quadrupole tandem mass spectrometry. J Environ Health Sci. 2008; 34(4): 271-278.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Exposure and human risk assessment of phthalat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20. Guo Y, Wu Q, Kannan K. Phthalate metabolites in urine from China, and implications for human exposures. Environ Int. 2011; 37(5): 893-898. 

  21. Wu W, Zhou F, Wang Y, Ning Y, Yang JY, Zhou YK. Phthalate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children aged 6-12 years. Environ Pollut. 2017; 220(B): 990-996. 

  22. Lessmann F, Schutze A, Weiss T, Bruning T, Koch HM. Determination of metabolites of di(2-ethylhexyl) terephthalate (DEHTP) in human urine by HPLC-MS/MS with on-line clean-up. J. Chromatogr. B. 2016; 1011: 196-203. 

  23. Ha M, Kwon HJ, Leem JH, Kim HC, Lee KJ, Park I, et al.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urvey o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HS-C): survey design and pilot study results on selected exposure biomarkers.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14; 217(2-3): 260-270.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Annual report on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the first stage (2009-2011) 3rd yea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25. Larsson K, Bjorklund KL, Palm B, Wennberg M, Kaj L, Lindh CH, et al. Exposure determinants of phthalates, parabens, bisphenol A and triclosan in Swedish mothers and their children. Environ Int. 2014; 73: 323-333. 

  26. Langer S, Beko G, Weschler CJ, Brive LM, Toftum J, Callesen M, et al. Phthalate metabolites in urine samples from Danish children and correlations with phthalates in dust samples from their homes and daycare centers.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14; 217(1): 78-87. 

  27. Liao C, Liu W, Zhang J, Shi W, Wang X, Cai J, et al. Association of urinary phthalate metabolites with residential characteristics, lifestyles, and dietary habits among young children in Shanghai, China. Sci. Total Environ. 2018; 616-617: 1288-1297. 

  28. Lewis RC, Meeker JD, Peterson KE, Lee JM, Pace GG, Cantoral A, et al. Predictors of urinary bisphenol A and phthalate metabolite concentrations in Mexican children. Chemosphere. 2013; 93(10): 2390-2398. 

  29. Polanska K, Ligocka D, Sobala W, Hanke W. Phthalate exposure and child development: the Polish mother and child cohort study. Early Hum. Dev. 2014; 90(9): 477-485. 

  30. Hartmann C, Uhl M, Weiss S, Scharf S, Konig J. Austrian reference values for phthalate metabolite exposure in children/adolescents and adults.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18; 221(6): 985-989. 

  31. Hartmann C, Uhl M, Weiss S, Koch HM, Scharf S, Konig J. Human biomonitoring of phthalate exposure in Austrian children and adults and cumulative risk assessment.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15; 218(5): 489-499. 

  32. Huang PC, Tsai CH, Liang WY, Li SS, Pan WH, Chiang HC.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urinary levels of eleven phthalate metabolites in general Taiwanese polulation after a DEHP episode. PloS one. 2015; 10(7): e0133782. 

  33. Chen CC, Wang YH, Wang SL, Huang PC, Chuang SC, Chen MH, et al. Exposure sources and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to urinary phthalate metabolites among children in Taiwan.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17; 220(5): 869-879. 

  34.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di-n-butyl phthalat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2001. 

  35. Guo Y, Zhang Z, Liu L, Li Y, Ren N, Kannan K. Occurrence and profiles of phthalates in foodstuffs from China and their implications for human exposure. J Agric. Food Chem. 2012; 60(27): 6913-6919. 

  3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Survey on the residual amounts of phthalates in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37. Lee SH, Jung KJ, Lee YK, Lim JG. Study about characteristic of PVC food packaging. Korean J Packaging Sci. Technol. 2008; 14(2): 53-56. 

  38. Correia-Sa L, Kasper-Sonnenberg M, Palmke C, Schutze A, Norberto S, Calhau C, et al. Obesity or diet? Levels and determinants of phthalate body burden-a case study on Portuguese children. Int J Hyg and Environ Health. 2018; 221(3): 519-530. 

  39. Jeon DH, Lee YJ. Regulations of food packaging in Korea, Europe and USA. J Korea Society. Packaging Sci. Technol. 2007; 13(2): 75-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