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의 실태와 개선방안 -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서비스를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Online Service of Regional Central Libraries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3, 2018년, pp.383 - 406  

이은주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지역정보서비스의 용어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정보서비스의 현 실상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의 의미에 부합되게 제공되는지를 충분히 검토한 뒤, 의미에 적합한 지역정보서비스 제공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지역정보서비스 관련 용어의 추이를 살펴보면서 지역정보서비스가 도서관서비스에서 가지는 의미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2)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서비스의 제공 실태를 조사한 뒤, (3) 지역정보서비스가 서비스 의미에 부합하게 제공되기 위해 우리 학계와 도서관계가 고민해야 할 과제와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사례조사는 국내 12개 지역대표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se th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Regarding this matter, this study first extensively analysed terms related to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and clearly defined the meaning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Seco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정보서비스란 무엇인가?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서비스가 지역정보서비스(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이다. I&R서비스(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라고도 불리는 지역정보서비스는 지역주민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 즉, 주거, 직업, 그들의 권리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요구에 집중해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민주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Library Association 1980).
공공도서관은 무엇이며, 공공도서관의 어떤 측면들이 강조되어야 함을 의미하는가?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정보이용과 독서활동,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존재하는 기관이다. 즉,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이 삶을 영위해나가면서 겪게 되는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의 해결을 지원하는 기관으로서 존재해야 함을 뜻하는 것으로, 학술적, 전문적지식의 제공이라는 측면과 더불어 일상 속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라는측면 역시 강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서비스가 지역정보서비스(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이다.
지역정보서비스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용어에 대한 체계화 작업과 더불어 서비스 의미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 방식 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령, 지역정보서비스의 개념을 소개한 연구에서부터 제공되는서비스의 유형 및 제공되는 정보원의 유형, 사서의 인식과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 등과 같이다양한 테마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관심에 비해논의의 깊이와 폭은아직 제한적이며, 서비스 제공의 현황 파악에 그치고 있어 서비스의 외형적 실태를 파악하는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정보서비스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용어에 대한 체계화 작업과 더불어 서비스 의미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방식 등에 대해보다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Daeun and Mikyeong Cha. 2016. "A Study on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Elderly Peopl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213-233. 

  2. Kim, Bo-Il, Myoung-Su Kim and Chang-Ho Ahn. 2015. "A Study on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 Activation Solution of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109-137. 

  3. 김세훈. 2004. 지역 지식정보서비스 활성화 지원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Kim, Hye-Ryoung. 2010. An Analysis Study on th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 of Operation status in Public Libraries. M.A. thesis. Keimyung University. 

  5. Noh, Kyung Ran. 1994. "A Study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5(2): 61-94. 

  6. 박준식. 2011. 정보서비스론. 개정 3판.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7. Park, Cheul Soon. 2004. A Study of Public Librarian Awareness about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M.A.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8. 손연옥. 1993. 도서관의 정보의뢰봉사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 187-216. 

  9. 조명희, 박준식. 1995. 공공도서관의 정보 및 안내봉사 도입을 위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3: 183-209. 

  10. Cha, Mikyeong. 2001. "A Study on the Internet - based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2(1): 157-169. 

  11.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4. 지역 지식정보서비스 활성화 지원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3. Alliance of Information and Referral System Home page. [cited 2018. 6. 30]. 

  14. Croneberger, Robert Jr. and Carolyn Luck. 1975. "Defining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Library Journal, 1: 1984-1988. 

  15. Day, Rosalie. 2007. "Information connecting people with services: the information and referral role of community service organisations." Australas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20(3): 103-117. 

  16. Durrance, Joan C. 1984.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an innovation at the beginning of its second decade." Advances in Librarianship, 13: 99-128. 

  17. Gadagin, B. R. and V. T. Kamble. 2009. "Status-Quo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bellary district." SREL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6(1): 81-85. 

  18. Jaba, J and Dr. P. Panneerselvam. 2015.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 solution to Information Poverty. [cited 2018. 6. 30]. 

  19. Kahn, Alfred J. et al. 1966. Neighborhood information center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20. Karkee, Prabin and Krishnapada Majumder. 2013.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Public Libraries in the Hilly areas of Darjeeling district of west Bengal." e-Science World, 5(3-4): 89-97. 

  21. Koontz, Christie and B. Gubbin. 2010. IFLA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 장혜란 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Library Association. 1980. Community Information : What Libraries Can Do? London: The Library Association. 

  23. Mukhopadhyay, P.S. 2004.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Web and CDROM." Proceedings of the Xxi iaslic national conference, 171-186. 

  24. OCLC. 2003. The 2003 OCLC Environmental Scan: Pattern Recognition. Dublin, Ohio: OCLC 

  25. Pettigrew, Karen E. and Margaret Ann Wilkinson. 1996. "Control of Community Information: An Analysis of Roles." The Library Quarterly, 66(4): 373-407. 

  26. Poe, Jodi. 2006.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 a brief history." The Southeastern Librarian, 54(1): 35-41. 

  27. Public Library Association. 1997. Guidelines for Establishing Community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Chicago: Amefican Library Association. 

  28. Satpathy, S. K. 2006.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 (CIS) through public libraries: a realistic approach. [cited 2018. 6. 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