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용 목재의 열 유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Hazard Assessment of Building Wood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5, 2018년, pp.6 - 14  

우태영 (미래설계엔지니어링(주)) ,  진의 (강원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  정영진 (강원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축용 목재의 화재위험성에대하여 열방출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열방출 성질은 cone calorimeter (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4종의 목재를 사용하였다. 외부 열유속 $25kW/m^2$에서 연소시킨 후 측정된 착화시간은 35 s부터 55 s까지였다. 나왕(lauan)과 적송의 착화 시간은 각각 54 s, 55 s로 가장 지연된 값으로 얻어졌다. 최대열방출율$156.87{\sim}235.1kW/m^2$ 였고 화재초기의 위험성은 가문비나무가 가장 높았다. 삼나무의 평균유효연소열은 19.1 MJ/kg였고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FP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2468s{\cdot}m^2/kW$) < 적송($0.2339s{\cdot}m^2/kW$) < 가문비나무($0.2308s{\cdot}m^2/kW$) < 삼나무($0.2231s{\cdot}m^2/kW$) 순으로 높았고 화재성장지수(FG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5088kW/m^2{\cdot}s$) < 적송($0.511kW/m^2{\cdot}s$) < 삼나무 ($2.8522kW/m^2{\cdot}s$) < 가문비나무($3.0662kW/m^2{\cdot}s$) 순으로 높았다. 그러므로 목재의 열방출 특성에 대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와 삼나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heat release rate (HRR) properties of building wood.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with four kinds of wood. The time to ignition measured after the combustion in $25kW/m^2$ external heat flux...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목재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한 한 부분으로 열방출 특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열방출 특성 관련 요소로 착화시간(Time to ignition, TTI), 질량감소율(Mass loss rate, MLR),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 HRR), 총열방출량(Total heat released, THR), 유효연소열(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 화재성능지수(Fire performance index, FPI), 화재성장지수(Fire growth index, FGI) 등을 측정한 후 평가하였다(20).

가설 설정

  • 시험에 앞서 콘히터의 열량이 설정값 ± 2% 이내, 산소분석기의 산소농도가 20.95 ±0.01%가 되도록 교정하고 배출유량을 0.024 ± 0.002 m3/s로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차열분석(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이란 무엇인가? 시차열분석(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은 시료를 일정한 속도로 가열 혹은 냉각시켰을 때 기준물질과 시료와의 온도 차이를 읽어 이를 열량의 변화로 환산하는 실험법이다. 온도차가 생기는 것은 시료에 발열 혹은 흡열 반응이 일어나고 이것은 화학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목재의 열분해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목재-폴리프로필렌 복합재에 팽창 흑연과 활석을 혼합 시, 숯 잔유물의 증가가 일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암모늄 폴리 포스페이트로 처리한 동일한 복합체와 비교한 결과 숯 잔유물이 증가되었고 최대열방출률과 총열방출량을 감소되었다. 숯 잔유물의 증가는 팽창흑연이 목질 복합재의 잔류물에 팽창된 흑연 층을 추가 하여 기저 물질이 완전 연소를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10). Martinka등은 가연성 액체인Ethyl tert-butyl ether (ETBE)의 화재 위험을 열방출율(Heatrelease rate), 비질량감소율(Specific mass loss rate) 및 CO 생산량 값을 기준으로 평가했다(11).
목재가 건축 재료로서 가진 단점은 무엇인가? 천연 산림 자원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감소하고 있지만 목재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오염이 낮으므로 효과적인 사용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다른 건축 재료들에 비해 가연성이 크므로 화재 안전측면에서 많은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 M. Suleiman, J. Larfeldt, B. Leckner and M. Gustavsson, "Thermal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of Wood",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3, No. 6, pp. 465-473 (1999). 

  2. P. S. Ngohe-Ekam, P. Meukam, G. Menguy and P. Girard, "Therm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Tropical Wood used as Building Materials: With respect to the Basal Densit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0, No. 10, pp. 929-938 (2006). 

  3. W. K. Smith and J. B. King, "Surface Temperatures of Materials during Radiant Heating to Ignition", Journal of Fire and Flammability, Vol. 1, pp. 272-288 (1970). 

  4. R. Bilbao, J. F. Mastral, M. E. Aldea, J. Ceamanos, M. Betran and J. A. Lana,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of the Ignition and Smoldering of Wood including Convective Effects", Combustion and Flame, Vol. 126, No. 1-2, pp. 1363-1372 (2001). 

  5. M. Gao, K. Zhu, Y. J. Sun and C. Sun, "Thermal Degradation of Wood treated with Amino Resins and Amino Resins modified with Phosphate in Nitrogen",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22, No. 6, pp. 505-515 (2004). 

  6. M. Gao, C. Y. Sun and K. Zhu, "Thermal Degradation of Wood treated with Guanidine Compounds in Air : Flammability Study",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Vol. 75, No. 1, pp. 221-232 (2004). 

  7. J. B. Carle and J. L. Brown, "Wood as a Source of Solid Fuel", ed. G. S. Watt, A Review, New Zealand Forest Service, Auckland, NZ (1976). 

  8. M. J. Spearpoint and J. G. Quintiere, "Predicting the Piloted Ignition of Wood in the Cone Calorimeter using an Integral Model: Effect of Species, Grain Orientation and Heat Flux", Fire Safety Journal, Vol. 36, No. 4, pp. 391-415 (2001). 

  9. N. Boonmee and J. G. Quintiere, "Glowing Ignition of Wood: the on Set of Surface Combustion", Proceedings of the Combustion Institute, Vol. 30, pp. 2303-2310 (2005). 

  10. A. Naumann, H. Seefeldt, I. Stephan, U. Braun and M. Knoll, "Material Resistance of Flame Retarded Wood-Plastic Composites against Fire and Fungal Decay",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97, No. 7, pp. 1189-1196 (2012). 

  11. J. Martinka, T. Chrebet and K. Balog, "A Fire Risk Assessment for Bio Ethyl Tert-Butyl Ether (ETBE)", Procedia Engineering, Vol. 69, pp. 616-621 (2014). 

  12. P. Zhao, C. Guo and L. Li, "Exploring the Effect of Melamine Pyrophosphate and Aluminum Hypophosphite on Flame Retardant Wood Flour/Polypropylene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70, pp. 193-199 (2018). 

  13. J. Jiang, J. Z. Li, J. Hu and D. Fan,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Flame Retardants on Thermal Degradation of Wood",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4, No. 12, pp. 2633-2637 (2010). 

  14. T. Jiang, X. Feng, Q. Wang, Z. Xiao, F. Wang and Y. Xie, "Fire Performance of Oak modified with N-methylol Resin and Methylolated Guanylurea Phosphate/Boric Acid-based Fire Retardan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72, pp. 1-6 (2014). 

  15. C. A. Giudicea, P. V. Alfierib and G. Canosa, "Siloxanes Synthesized 'in situ' by Sol-Gel Process for Fire Control in Wood of Araucaria Angustifolia", Fire Safety Journal, Vol. 61, pp. 348-354 (2013). 

  16. K. L. Friquin, "Material Properties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Charring Rate of Solid Wood and Glue-Laminated Timber", Fire and Materials, Vol. 35, No. 5, pp. 303-327 (2011). 

  17. E. Mikkola, "Charring of Wood, VTT Research Report 689", VTT Technical Research Centre of Finland, Espoo, Finland (1990). 

  18. ISO 5660-1, "Reaction-to-Fire Tests-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and Smoke Production Rate (Dynamic Measurement)", Genever, Switzerland (2015). 

  19. U. S. Forest Service (USFS) "Wood Handbook: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Products Laboratory, Madison, WI, USA (1999). 

  20. T. Y. Woo,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of Building Wood", Ph.D.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Gangwondo, Republic of Korea (2017). 

  21. J. G. Quinti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Chap. 5, Cengage Learning, Delmar, U.S.A. (1998). 

  22. Y. J. Chu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Rigida and Castanea Sativa Using Cone Calorimeter",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 98, No. 3, pp. 319-323 (2009). 

  23. Y. Chung, "Comparis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Native Wood Species used for Fire Pots in Korea",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Chemistry, Vol. 16, No. 1, pp. 15-19 (2010). 

  24. B. H. Lee, H. S. Kim, S. Kim, H. J. Kim, B. Lee, Y. Deng, Q. Feng and J. Luo, "Evaluating the Flammability of Wood-based Panels and Gypsum Particleboard using a Cone Calorimet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5, No. 7, pp. 3044-3050 (2011). 

  25. F. M. Pearce, Y. P. Khanna and D. Raucher, "Thermal Analysis in Polymer Flammability, Chap. 8. In : Thermal Characterization of Polymeric Material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981). 

  26. Y. J. Chung, "Combustion Characterics of the Quercus Varialis and Zelkova Serrata dried at Room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 99, No. 1, pp. 96-101 (2010). 

  27. M. Risholm-Sundman, M. Lundgren, E. Vestine and P. Herder, "Emission of Acetic Acid and 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Different Species of Solid Wood", Holz als Rohund Werkstoff, Vol. 56, No. 2, pp. 125-129 (1998). 

  28. J. D. Dehaan, "Kirks's Fire Investigation", Fifth Ed., pp. 84-112,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2002). 

  29. B. Wang, Q. Tang, N. Hong, L. Song, L. Wang, Y. Shi and Y. Hu, Y. Hu, "Effect of Cellulose Acetate Butyrate Microencapsulated Ammonium Polyphosphate on the Flame Retardancy, Mechanical,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Intumescent Flame-Retardant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Microencapsulated Ammonium Polyphosphate/ Polyamide-6 Blends", ACS Applied Material and Interfaces, Vol. 3, No. 9, pp. 3754-3761 (2011). 

  30. L. Liu, J. Hu, J. Zhuo, C. Jiao, X. Chen and S. Li, "Synergistic Flame Retardant Effects between Hollow Glass Microspheres and Magnesium Hydroxide in Ethylene-Vinyl Aacetate Composit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104, pp. 87-94 (2014). 

  31. S. Fang, Y. Hu, L. Song, J. Zhan and Q. He, "Mechanical Properties, Fire Performance and Thermal Stability of Magnesium Hydroxide Sulfate Hydrate Whiskers Flame Retardant Silicone Rubber",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Vol. 43, No. 3, pp. 1057-106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