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아의 치아우식 부위별 우점 세균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bundant bacteria in dental caries in children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5, 2018년, pp.843 - 852  

김은미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isolate the abundant bacteria in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species involved in addition to those that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Methods: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supragingival plaques of each dental caries area, pit 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의 치아우식 부위별로 채취한 치면세균막에서 세균을 분리하여 16S ribosomal 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치아우식 부위별 우점 세균을 파악하고 기존의 보고된 종 이외에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종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치아우식 네 부위 40 검체및 건전한 치아에서 5 검체를 대상으로 두 가지 배지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그리고 분리된 세균은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동정하여 우식 부위별로 어떠한 세균이 분리되고 우점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아의 치아우식 부위별 우점 세균을 분리하고 기존의 보고된 종 이외에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종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치아우식 부위 즉 소와열구 우식, 심부 상아질 우식, 평활면 우식, 우식 치아의 치은연상 치면세균막과 대조군으로 건전한 치아의 치은연상 치면세균막에서 채취한 검체로부터 세균을 배양하고, 분리된 세균의 DNA를 추출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 및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의 발생 부위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치아우식은 발생 부위에 따라 소와열구 우식, 심부 상아질 우식, 평활면 우식으로 구분된다. 소와열구의 구조는 많은 구강미생물이 정체하기 쉬운 형태를 갖고 있어, 우식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평활면 우식은 무엇인가? 심부 상아질 우식은 초기 치아우식이 상아질까지 진행된 상태이거나 2차 우식이 발생한 상태이다. 평활면 우식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인 순(협)면, 설면, 인접면 등에 발생하는 우식이다. 치아는 부위에 따라 형태와 성분이 다르고, 또 환경적 조건이 다르므로 상재하는 미생물총이 다르며, 이에 따라 우식발생 양태에 차이가 생긴다 [3].
구강의 미생물 군집 및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세균의 배양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NGS 방법으로 구강 내존재하는 세균 종(species) 수는 1,000여 종까지 분석되었다[18]. NGS 기법은 배양하지 않고 검체 내 세균 DNA를 추출하여 군집 및 다양성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 이지만 구강 내 사멸된 세균에서도 DNA가 다량 추출되어 PCR 반응에서 많은 오류를 범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검체 내 살아있는 세균을 대상으로 군집 및 다양성을 파악하고 분리된 세균의 생리적 특징 및 항생제 저항성, 전체 유전체 분석 등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세균의 배양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KH, Koo HH, Kim HL, Park JY, Jeon HJ, Jung ES. Factors affecting fluoride percep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J Dent Hyg Sci 2018;18(3):323-34.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3.323 

  2. Chon IY, Yu EJ, Yu SC, Lee JY, Jung SH, Oh TJ. The antibacterial effect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on oral bacteria. J Dent Hyg Sci 2018;18(1):9-18.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1.9 

  3. Nikiforuk G. Understanding dental caries: etiology and mechanisms basic and clinical aspects. Vol 1. Basel: Karger; 1985: 1-23. 

  4. Aas JA, Griffen AL, Dardis SR, Lee AM, Olsen I, Dewhirst FE, et al. Bacteria of dental caries i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J Clin Microbiol 2008; 46(4):1407-17. https://doi.org/10.1128/JCM.01410-07 

  5. Bowden GH. Microbiology of root surface caries in humans. J Dent Res 1990;69(5):1205-10. https://doi.org/10.1177/00220345900690051701 

  6. Van Houte J, Jordan HV, Laraway R, Kent R, Soparkar PM, DePaola PF. Association of the microbial flora of dental plaque and saliva with human root-surface caries. J Dent Res 1990;69(8):1463-68. https://doi.org/10.1177/00220345900690080301 

  7. Gross EL, Leys EJ, Gasparovich SR, Firestone ND, Schwartzbaum JA, Janies DA, et al. Bacterial 16S sequence analysis of severe caries in young permanent teeth. J Clin Microbiol. 2010;48(11):4121-8. https://doi.org/10.1128/JCM.01232-10 

  8. Nyvad B, Crielaard W, Mira A, Takahashi N, Beighton D. Dental caries from a molecular microbiological perspective. Caries Res 2013;47(2):89-102. https://doi.org/10.1159/000345367 

  9. Lane DJ. 16S/23S sequencing. In: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Edited by Stackebrandt E, Goodfellow M. Chichester: Wiley; 1991: 115-75. 

  10. Yoon SH, Ha SM, Kwon S, Lim J, Kim Y, Seo H, et al. Introducing EzBioCloud: A taxonomically united database of 16S rRNA and whole genome assembl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7;67(5):1613-7. https://doi.org/10.1099/ijsem.0.001755 

  11.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12):2725-9. https://doi.org/10.1093/molbev/mst197 

  12.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Higgins DG.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1997;25(24):4876-82. https://doi.org/0.1093/nar/25.24.4876. 

  13. Jukes TH, Cantor CR.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In: Mammalian Protein Metabolism. Vol. 3. Edited by Munro H. N. New York: Academic Press. 1969: 21-132. 

  14. Saitou N,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1987;4(4):406-25. https://doi.org/10.1093/ oxfordjournals.molbev.a040454 

  15. Santigli E, Koller M, Klug B. Oral biofilm sampling for microbiome analysis in healthy children. J Vis Exp 2017;130(e56320):1-13. https://doi.org/10.3791/56320 

  16. Freitas AO, Marquezan M, Nojima Mda C, Alviano DS, Maia LC. The influence of orthodontic fixed appliances on the oral microbiota: A systematic review. Dent Press J Orthod 2014;19(2):46-55. https://doi.org/10.1590/2176-9451.19.2.046-055.oar 

  17. Belda-Ferre P, Alcaraz LD, Cabrera-Rubio R, Romero H, Simon-Soro A, Pignatelli M, et al. The oral metagenome in health and disease. ISME J. 2011;6(1):46-56. https://doi.org/10.1038/ismej.2011.85 

  18. Siqueira JF Jr, Rocas IN. The oral microbiota in health and disease: An overview of molecular findings. Methods Mol Biol. 2017;1537:127-38. https://doi.o rg/10.1007/978-1-4939-6685-1_7 

  19. Rosan B, Lamont RJ. Dental plaque formation. Microbes Infect 2000;2(13):1599-607. https://doi.org/10.1016/S1286-4579(00)01316-2 

  20. Kim EM, Baik KS, Ha MO. Bacterial diversity in children's dental carie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5):889-900.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5.889 

  21. Guo B, Yang F, Jia Y, Xia Q, Zhou XD. The genotypic diversity of oral Actinomyces naeslundii of root caries in aged people. Hua Xi Kou Qiang Yi Xue Za Zhi 2010;28(6):646-8. https://doi.org/10.3969/j.issn.1000-1182.2010.06.019 

  22. Ahn ST, Park JH, Lee NY. Prevalence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in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5;32(2):207-16. 

  23. Kook JK, Park JW, Yoo SY, Kim HS, Lee NY. Distribution of mutans streptococci in dental plaque of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4;31(3):439-47. 

  24. Bin Z, Lorna CM, Todd K, Ping Xu. Streptococcus sanguinis biofilm formation & interaction with oral pathogens. Future microbilogy 2018;13(8):915-32. https://doi.org/10.2217/fmb-2018-0043 

  25. Kim YK, Han MD, Oral microbilogy. 3rd ed. Seoul: Komoonsa; 2001: 261-84. 

  26. Yoo SM, Jeong SK, Yoo HJ, Jang JH, Analysis of total oral microorganisms in saliva using real-time PCR and colony forming unit. J Korean Soc Dent Hyg 2017;17(1):13-25.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1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