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4-2016년 경남 용남·광도해역 해수 및 굴(Crassostrea gigas)의 세균학적 위생평가
Assessment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Seawater an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Yongnam-Gwangdo Area, Korea 2014-2016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5, 2018년, pp.535 - 541  

윤현진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권지영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이가정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권순재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목종수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가공과) ,  김풍호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정연중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sanitary state of seawater and shellfish in Yongnam-Gwangdo area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6. The sampling stations for sanitary survey in Yongnam-Gwangdo area were composed of 41 seawater stations and 5 oyster Crassostrea gigas stations. The samples were collected m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동 해역은 신도시개발로 인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및 상가와 인접해있으며, 대형조선소 및 안정산업단지가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수산물의 위생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굴 생산량이 많은 용남·광도 해역에 대하여 해수 및 패류의 세균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위생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 해역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굴의 평균 생산량은? 우리나라는 최근 5년간 패류를 연 평균 41만톤 생산하고 있으며, 그 중 굴(Crassostrea gigas)은 평균 29만 톤(총 패류 생산량의 70 %)을 차지하고 있다(MOF, 2018a). 용남·광도 해역은 경상남도 진해만 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은 고성군 거류면과 동해면, 서쪽과 남쪽은 통영시 광도면과 용남면, 동쪽은 거제시 사등면과 접하고 있다.
패류의 특징은? 패류는 연안해역에 서식하므로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여러 오염물질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패류는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이 활동을 통해 먹이를 섭취하므로 해수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및 병원성 미생물을 체내에 축적하게 되어, 이러한 오염된 패류 섭취로 인해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Grimes, 1991; Feldhusen, 2000; Shin et al.,2014).
굴(Crassostrea gigas) 시료의 분석법은? 해수 시료의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 분석은 Laboratory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의 방법(APHA, 1985)에 준하여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료를 5개 시험관법으로 측정하였고, 추정시험으로는 lauryl tryptose broth(LTB; Difco, Detroti, MI, USA) 배지를, 확정시험으로 대장균군은 brilliant green bile lactose broth (BGB; Difco, Detroti,MI, USA), 분변계대장균은 EC broth (EC; Difco, Detroti, MI,USA) 배지를 각각 사용하였다(APHA, 1985). 굴 시료의 E.coli 분석은 최초 시료를 10배 희석하여 분석하는 most probable number technique using 5-bromo-4chloro-3-indolyl-β-Dglucuronide에 준하여 실시하였다(ISO,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85. Laboratory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zation of official control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icial J Eur Commun L226, 83-127. 

  3. Feldhusen F. 2000. The role of seafood in bacterial foodborne disease. Microbes Infect 2, 1651-1660. 

  4. Grimmes DJ. 1991. Ecology of estuarine bacteria capable of causing human disease: A review. Estuaries 14, 345-360. 

  5. Ha KS, Shim KB,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Hansan.Geojem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2, 449-455. http://dx.doi.org/10.5657/kfas.2009.42.5.449. 

  6.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5. Microbiology of the food chain-Horizontal method for the enumeration beta-gluccuronidase-positive Escherichia coli Part 3: Detection and most probable number technique using 5-bromo-4-chloro-3-indoly- ${\beta}$ -D-glucuronid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6649-16653. 

  7. Kwon JY, Park KBW, Song KC, Lee HJ, Park JH, Kim DS and Son KT. 2007.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J Fish Sci Technol 11, 7-14. http://dx.doi.org/10.5657/fas.2008.11.1.007. 

  8.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a. Product statistic.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p/s020304 on Jun 11, 2018. 

  9.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b. Classification Standard of sedentary Fisheries growing area.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o 2018-63. 

  10.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General test method in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 go.kr/foodcode/01_01.jsp on Jun 08, 2018. 

  11. Park KBW, Jo MR, Kwon JY, Son KT, Lee DS and Lee HJ. 2010.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the shellfish-growing area in Gangjinm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614-622. http://dx.doi.org/10.5657/kfas.2010.43.6.614. 

  12. Shim KB, Ha KS, Yoo HD, Lee TS and Kim JH. 2012. Impact of pollution Source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the Yongnam-Gwangdo shellfish growing area of western Jinhae Bay, Koera. Korean J Fish Aquat Sci 45, 561-569. http://dx.doi.org/10.5657/KFAS.2012.0561. 

  13. Shin SB, Oh EG, Lee HJ, Kim YK, Lee TS and Kim JH. 2014. Norovirus quantification in oysters Crassostrea gigas collected from Tongyeoung,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501-507. http://dx.doi.org/10.5657/KFAS.2014.0501. 

  14.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8.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2015,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Seafoo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