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림 간벌에 기인한 산림생물량 감소가 산림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n the Forest Temperature by Reduced Biomass Caused by Natural Forest Thinning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3, 2018년, pp.303 - 312  

강래열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숲가꾸기가 시행된 부산대학교 제1학술림을 대상으로 간벌 전 후의 산림생물량 및 온도를 실측하여 천연림에서 간벌에 따른 산림생물량 감소와 산림 내부 온도변화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산림생물량은 간벌 전 후 동일 조사구에 흉고단면적, 수관단면적, 수관체적을 각각 동일한 도출식을 적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산림 온도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온도측정은 간벌 이전인 2016년 04월 20일~28일, 간벌 전후인 2016년 07월 26일~11월 04일, 간벌 이듬해인 2017년 04월 15일~05월 08일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온도데이터로거를 방형구 내 중앙에 위치한 수목의 지상 2.0m 높이에 북향으로 설치하여 동일기간동안 각 10분마다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설치하였다. 간벌이 산림 전역에 진행되어 산림 내 대조구 설정이 어려워 인근 도시에 위치한 동래구 지역별상세관측자료(AWS)를 대조구로 활용하였다. 산림생물량의 변화와 온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산림 내부 온도 변화는 한낮 시간대(PM12:00~15:00)에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산림생물량 중 수관체적과 깊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간벌 직후(평균 $0.74^{\circ}C$)보다 간벌 후 1년이 경과한 시점(평균$1.91^{\circ}C$)에서 훨씬 높은 온도 상승을 보였다. 조사구별 수관체적 감소비율과 온도 상승정도를 비교한 결과, 수관체적 감소량이 15.4%로 가장 높았던 리기다소나무군락에서 간벌 직후와 1년 후 분석에서 각각 $1.06^{\circ}C$, $2.49^{\circ}C$로 가장 높은 온도 상승을 나타냈다. 수관체적 감소비율이 5.0%로 가장 적었던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에서 간벌 직후는 그 차이가 없었으며 1년 후 분석에서는 $0.92^{\circ}C$가 상승하였다. 천연림에서 간벌로 인한 산림생물량 감소는 산림내부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간벌 직후보다는 이듬해에 더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제거된 산림생물량에 의한 미기후 변화는 단기간에 회복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rease of forest biomass by forest thinning and the change of temperature in the natural forest by measuring forest biomass and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forest thinning in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forest where affores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숲가꾸기 사업시행 중 간벌 전·후의 숲 내부 온도의 실측을 통해 인위적으로 변화된 산림생물량과 온도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대표적 산림정책인 숲가꾸기 사업이 외국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숲가꾸기는 오랜 세월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양립하고 있다. 다만 외국의 경우와 달리 우리나라는 효과에 대한 검증 없이 천연림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어 숲가꾸기의 긍정적인 측면을 저해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간벌의 긍정적 측면으로는 5영급 이상의 임상에 대한 산사태 위험성 감소(Youn et al.
배출된 온실가스의 흡수 방법은?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으로 복잡한 관계 속에서 발생하고 있어 뚜렷한 해결책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나, 근본적으로는 기후변화 발생요인인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와, 배출된 온실가스를 포집하는 것이다. 이 중 배출된 온실가스의 흡수는 식물의 생장이 거의 유일하다. 숲은 온실가스의 축적과 함께 증발산을 통해 주변의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일 최고기온을 최대 5.
숲의 온도 저감효과는 무엇인가? 이 중 배출된 온실가스의 흡수는 식물의 생장이 거의 유일하다. 숲은 온실가스의 축적과 함께 증발산을 통해 주변의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일 최고기온을 최대 5.1℃, 평균 1.8℃까지 낮추고 침엽수림보다 활엽 수림에서, 겨울보다 여름에, 고도가 낮을수록 높은 온도 저감효과를 가진다(von Arx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 M.Y.(2015) 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vegetation type and temperature in urban fores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5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n, S.M., H.G. Son, K.S. Lee and C.Y. Yi(2016) A Study of the Urban Tree Canopy Mean Radiant Temperature Mitigation Estimation. J. KILA. 44(1):93-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Azor, J.S., X. Santos and J.M. Pleguezuelos(2015) Conifer-plantation thinning restores reptile biodiversity in Mediterranean landscap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54: 185-189. 

  4. Bae, S.W., J.H. Hwang, S.T. Lee, H.S. Kim and J.M. Jeong(2010) Changes in Soi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Light Availability and Diameter Growth After Thinning in Korean Pine(Pinus koraiensis) Plantation. Jour. Korean For. Soc. 99(3): 397-403. 

  5. Choi, E.J., H.Y. Seo, K.S. Lee, B.O. Yoo, C.S. Kim and H.S. Cho(2016) Soil CO2 Efflux by Thinning Treatments of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Stand Disturbed by Pine Wilt Disease. J. Korean For. Soc. 105(1): 12-18. 

  6. Choi, J.W., E.H. Lee, J.K. Eo, C.D. Koo and A.H. Eom(2014) Community Changes of Ectomycorrhizal Fungi by Thinning in a Fore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42(2):133-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S.H. and K.J. Lee(1993)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Five years in Puk'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7(1): 35-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Forrester, D.I. and T.G. Baker(2012) Growth responses to thinning and pruning in Eucalyptus globulus, Eucalyptus nitens, and Eucalyptus grandis plantations in south eastern Australia. Can. J. For. Res. 42: 75-87. 

  9. Fujii. S. and Y. Kubota(2011) Understory thinning reduces woodproduction efficiency and tree species diversity in subtropical forest in southern Jap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6(3): 253-259. 

  10. Hayes, J.P., S.S. Chan, W.H. Emmingham, J.C. Tappeiner, L.D. Kellogg and J.D Bailey(1997)Wildlife response to thinning young forests in the Pacific Northwest. Journal of Forestry 95(8): 28-33. 

  11. Hong, S.H. and S.D. Lee(2015) Report on Forests Damaged Due to Cutting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Kor. J. Env. Eco. 29(4): 590-5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o, H.K. and T.W. Ahn(1999)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ace. J. KILA. 27(4): 2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utras, S., A.P. Plamondon, H. Hokka and J. Begin(2006)Water table changes following precommercial thinning on post-harvest drained wetlan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35(1-3): 252-259. 

  14. Ki, K.S., B.H. Han and J.Y. Hur(2012)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f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and Planting Structure in the City Park. Kor. J. Env. Eco. 26(5): 801-81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S.(2010) Edge effects on vegetation and environment after clearcutting of Pinus densiflora fores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rea Forest Service(200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5. 222-223pp.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200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6. 230-231pp.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2007)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7. 230-231pp.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2008)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8. 236-237pp. (in Korean) 

  20. Korea Forest Service(200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9. 230-231pp. (in Korean) 

  21. Korea Forest Service(2010)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0. 230-231pp.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1. 236-237pp. (in Korean) 

  23. Korea Forest Service(2012)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2. 238-239pp. (in Korean) 

  24. Korea Forest Service(2013)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3. 228-229pp. (in Korean) 

  25. Korea Forest Service(2014)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4. 234-235pp. (in Korean) 

  26. Korea Forest Service(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5. 226-227pp. (in Korean) 

  27. Korea Forest Service(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6. 228-229pp. (in Korean) 

  28. Korea Forest Service(2017)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7. 228-229pp. (in Korean) 

  2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7) Abnormal Climate Report 2016. 20-22pp. (in Korean) 

  30. Li, R. S., Q.P. Yang, W.D. Zhang, W.H. Zheng, Y.G. Chi, M. Xu, Y.T. Fang, A. Gessler, M.H. Li and S.L. Wang(2017) Thinning effect on photosynthesis depends on needle ages in a Chinese fir (Cunninghamia lanceolata) plantatio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80: 900-906. 

  31. Ma, S., A. Concilio, B. Oakley, M. North and J. Chen(2010) Spatial variability in microclimate in a mixed-conifer forest before and after thinning and burning treatmen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5): 904-915. 

  32. Moreno-Fernandez, D., M. Sanchez-Gonzalez, J.G. Alvarez-Gonzalez, A. Hevia, J.P. Majada, I. Canellas and G. Gea-Izquierdo(2014) Response to the interaction of thinning and pruning of pine species in Mediterranean mountains. Europe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3(5): 833-843. 

  33. Park, I.H. and G.D. Kim(1985) Forest Structure, Biomass, and Net Produc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at Mt. Baekun Area.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4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Park, J.H., S.K. Kim, S.T. Lee, K.S. Lee and H.H. Kim(2013) Thinning Effect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Oak Stan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6):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Rambo, T. R. and M.P. North(2009) Canopy microclimate response to pattern and density of thinning in a Sierra Nevada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7(2): 435-442. 

  36. Spies, T.A. and J.F. Franklin(1991)The structure of natural young, mature, and old-growth Douglas-fir forests in Oregon and Washington. Wildlife and vegetation of unmanaged Douglas-fir forests. pp. 91-109. 

  37. Verschuyl, J., S. Riffell, D. Miller and T.B. Wigley(2011) Biodiversity response to intensive biomass production from forest thinning in North American forests-a meta-analysi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1(2): 221-232. 

  38. von Arx, G., M. Dobbertin and M. Rebetez(2012) Spatio-temporal effects of forest canopy on understory microclimate in a long-term experiment in Switzerland. Agricultural & Forest Meteorology 166: 144-155. 

  39. Waters, J.R., K.S. McKelvey, C.J. Zabel and W.W. Oliver(1994) The effects of thinning and broadcast burning on sporocarp production of hypogeous fungi. Can J For Res. 24(7): 1516-1522. 

  40. Yeom, C.H.(2009)A study on the effect of forest thinning or non-thinning on damage of forest fir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62-6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Youn, H.J., C.S. Woo and C.W. Lee(2011) Effects of forest tending on Landslide. Jour. Korean For. Soc. 100(3): 417-4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Yun, Y.H., E.I. Kim and T.G. Song(1998) Effect of open space on the temperature drop -on Syakujii park of Tokyo in Japan-. J. KILA 26(2): 259-2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