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도로변 가로녹지가 주변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산시청 광장을 대상으로 -
Study on the Impact of Roadside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between Road and Public Openspace in front of Building Site - Case of Openspace of Busan City hall in Korea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3, 2018년, pp.323 - 331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강래열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안미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지석 (서울특별시 중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  정은상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로변 선형의 가로녹지 조성이 고밀시가지 대로와 건물 사이에 조성한 보행로 및 오픈스페이스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부산시 중앙대로와 부산광역시청 건물 사이에 폭 약 70m로 조성된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가로녹지가 없는 지역의 경우 주중과 주말 모두 차도와 인접한 오픈스페이스의 농도차이가 미미하였으나, 반대로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지역은 차도에 비해 오픈스페이스의 농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로녹지가 조성된 지역은 차도와 보도 모두에서 미조성지역보다 미세먼지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차도와 건축물 사이가 넓은 공간의 경우 가로녹지의 조성이 전체적으로 도로 밖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차도보다 오픈스페이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에 의해 발생한 미세먼지가 빠른 바람흐름에 의해 가로변 관목림을 통과하지만 바람흐름이 줄어든 보행공간에서는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넓은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는 도심 도로변 지역의 경우에는 가로녹지가 오히려 바람에 의한 확산을 억제하여 하여 차량이동에 따른 부유 미세먼지를 녹지 내부에 가두어 보도를 포함한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가로녹지의 조성에 있어 도로와 건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tructing streetside urban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PM) content in pedestrian paths and open spaces created between the main streets and buildings in a high-rise, high-density urban area. The study site is a 70m-wide open space between Bu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로와 건축물 사이 오픈스페이스에 조성 되는 선형의 관목림이 도로변 가로의 미세먼지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도로와 오픈스페이스 사이 가로녹지가 조성된 공간과 조성되지 않은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세부 조사지점은 경찰청 앞 도로변으로 양호한 가로녹지 조성지역 사이 차량진입을 위한 공간에 가로녹지가 없는 지역으로 두 지점간 거리는 30m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심 내에서 건물과 도로 사이 조성된 휴게공간을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조성하고 있는 선형의 관목림이 차량통행에 의해 발생하는 재비산먼지 중심의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현장측정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으로 미세먼지가 유발하는 질환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미세먼지는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데, 대표적으로 호흡기 질환과 심혈관질환 발병율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미세먼지(PM10)의 농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만성 폐쇄성폐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1.
일반적인 미세먼지와 다른 도로변 미세먼지에는 무엇이 있는가? 도로변 미세먼지는 도시의 일반적 미세먼지와는 달리 차량의 타이어, 에너지 소모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금속성 물질 등 차량이용에 따른 먼지들이 도로 바닥에 축적 되고 이들 먼지가 차량이동에 의한 돌풍을 따라 도로변으로 이동하여 도로변을 이용하는 사람들에 영향을 주게 된다. Matzka and Maher (1999)는 소규모 공업도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도로변에서 자라는 나무들, 특히 도로와 접한 수목과 도로 상부사면에서 자라는 수목들이 도심 내 공원에서 자라는 나무에 비해 훨씬 높은 전기저항성을 보임을 밝혀 같은 도시에서도 도로변이 훨씬 많은 금속성 미세먼지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현재 도시녹지는 어떠한 역할로 인식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도시녹지가 미세먼지 저감에 매우 효과적이 라는 것이 통념적 생각이었는데, 지엽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량이나 중금속 등 오염물질의 흡수량이 극히 미미하여 최근 이에 대한 검증요구가 꾸준하게 제기되어왔다. 도로 바닥면에 쌓여있는 미세먼지는 차량이동 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도로 주변으로 빠르게 전달되는데, 현재 가로녹지는 미세먼지 자체의 흡착을 통한 저감 효과보다는 도로에 쌓인 재비산 먼지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가로변 녹지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효과는 현장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모델링을 이용한 분석 (e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lender, S., C. Foster, L. Hutchinson and C. Arambepola(2008) Quantification of urbanization in relation to chronic diseases in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Urban Health 85(6): 938-951. 

  2. Camacho, T.C., R.E. Roberts, N.B. Lazarus, G.A. Kaplan and R.D. Cohen(1991)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 evidence from Alabama Count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4(2): 220-231. 

  3. Gromke. C., N. Jamarkattel and B, Ruck(2016) Influence of roadside hedgerows on air quality in urban street canyons. Atmospheric Environment, 139: 75-86. 

  4. Ha, E.H., J.T. Lee, H. Kim, Y.C. Hong, B.E. Lee, H.S. Park and D.C. Christiani(2003) Infant susceptibility of mortality to air pollution in Seoul, South Korea. Pediatrics 111(2): 284-374. 

  5. Hagler, G.S.W., W. Tang, M.J. Freeman, D.K. Heist, S.G. Perry and A.F. Vette(2011) Model evaluation of roadside barrier impact on near-road air pollution. Atmospheric Environment 45(15): 2522-2530. 

  6. Hanesch, M., R. Scholger and D. Rey(2003) Mapping dust distribution around an industrial site by measuring magnetic parameters of tree leaves. Atmospheric Environment 37(36): 5125-5133. 

  7. Jang, I.S., J.B. Lee and I.S. Seo(2017), Fine dust on entering lif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7(3): 6-12. (in Korean) 

  8. Matzka, J. and B.A. Maher(1999) Magnetic biomonitoring of roadside tree leaves: identific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vehicle-derived particulates. Atmospheric Environment 33(28): 4565-4569. 

  9. Moreno E., L. Sagnotti, J. Dinares-Turell, A. Winkler and A. Cascella(2003) Biomonitoring of traffic air pollution in Rome using magnetic properties of tree leaves. Atmospheric Environment 37(21): 2967-2977. 

  10. Muxworthy, A.R., E. Schmidbauer and N. Petersen(2002) Magnetic properties and Mossbauer spectra of urban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a case study from Munich, Germany.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50(2): 558-570. 

  11. Nowak, D.J. and D.E. Crane(2000) The urban forest effects (UFORE) model: quantifying urban forest structure and functions. In: Hansen, M., T. Burk(Eds) Integrated tools for natural resources inventories in the 21st Centruy. Proceedings of the IUFRO Conference.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NC-212, pp. 714-720. 

  12. Pataki, D.E., M.M. Carreiro, J. Cherrier, N.E. Grulke, V. Jennings, S. Pincetl, R.V. Pouyat, T.H. Whitlow and W.C. Zipperer (2011) Coupling biogeochemical ccles in urban environments: ecosystem services green solutions, and misconceptions. Frontiers 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9(1): 27-36. 

  13. Pikora, T., B. Giles-Corti, F. Bull, K. Jamrozik and R. Donovan (2003)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cycling. Social science & Medicine 56(8): 1693-2396. 

  14. Raaschou-Nielsen, O., Z.J. Andersen, R. Beelen, E. Samoli, M. Stafoggia, G. Weinmayr, B. Hoffmann, P. Fischer, M.J. Nieuwenhuijsen, B. Brunekreef, W.W. Xun, K. Katsouyanni, K. Dimakopoulou, J. Sommar, B. Forsberg, L. Modig, A. Oudin, B. Oftedal, P.E. Schwarze, P. Nafstad, U. Faire, N.L. Pedersen, C. Ostenson, L. Fratiglioni, J. Penell, M. Korek, G. Pershagen, K.T. Eriksen, M. Sorensen, A. Tjonneland, T. Ellermann, M. Eeftens, P.H. Peeters, K. Meliefste, M. Wang, B. Bueno-de-Mesquita, T.J. Key, K. Hoogh, H. Concin, G. Nagel, A. Vilier, S. Grioni, V. Krogh, M.Y. Tsai, F. Ricceri, C. Sacerdote, C. Galassi, E. Migliore, A. Ranzi, G. Cesaroni, C. Badaloni, F. Forastiere, I. Tamayo, P. Amiano, M. Dorronsoro, A. Trichopoulou, C. Bamia, P. Vineis and G. Hoek(2013) Air pollution and lung cancer incidence in 17 European cohorts: prospective analyses from the European Study of Cohorts for Air Pollution Effects (ESCAPE). The Landcet Oncology 14(9): 813-822. 

  15. Sadeghian, M. M.(2012) Biomonitoring of vehicles derived particulate matter using magnetic properties of Ulmus carpinifolia leaves.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Crop Sciences 4(16): 1180-1183. 

  16. Shiroma, E.J. and I.M. Lee(2010)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lessons learned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across age, gender, and race/ethnicity. Circulation 122(7): 743-752. 

  17. Tong Z., R.W. Baldauf, V. Isakov, P. Deshmukh and K.M. Zhang(2015) Roadside vegetation barrier designs to mitigate near-road air pollution impac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41: 920-927. 

  18. Vlahov, D. and S. Galea(2002) Urbanization, urbanicity, and health. Journal of Urban Health 79(4): 1-12. 

  19. Vos, P.E.J., B. Maiheu, J. Vankerkom and S. Janssen(2013) Improving local air quality in cities: To tree or not to tree? Envirnmental Pollution 183: 113-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