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신우신염 환자에 대한 현삼지황탕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 Chronic Pyelonephritis Patient Treated with Hyeonsamjihwang-tang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9 no.5, 2018년, pp.949 - 954  

공원호 (삼세한방병원 한방내과) ,  백지영 (삼세한방병원 한방침구의학과) ,  박여빈 (삼세한방병원 한방침구의학과) ,  백지원 (삼세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진준수 (국립중앙의료원 한방내과) ,  손경우 (삼세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case reports the management of a chronic pyelonephritis patient treated with Hyeonsamjihwang-tang. Methods: The patient suffered from swelling and fatigue and was diagnosed with Soyangin Mangeum-syndrom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yeonsamjihwang-tang for a 40 day period. Hemat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Abdomen Enhanced Computer Tomography(Abdomen ECT)상 만성 신우신염의 경과로 우측신장의 위축 소견을 받고, 항생제 치료로 호전이 없던 환자에 대해 현삼지황탕을 투여하여 임상증상 및 소변검사 결과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신우신염이란? 만성 신우신염은 급성 신우신염 치료 후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것으로,요로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한다.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면역력이 약한 소아,고령자에서 호발한다.
만성 신우신염의 호발 연령대는 어떠한가? 만성 신우신염은 급성 신우신염 치료 후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것으로,요로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한다.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면역력이 약한 소아,고령자에서 호발한다.원인균은 급성 신우신염에 비해 다양하며,대장균(E.
만성 신우신염의 진단은 어떻게 하는가? 진단은 소변검사 상 농뇨,세균뇨가 나타나는 것 외에 특이적인 증상은 없다.따라서 신기능검사를 통해 소변농축력의 저하를 증명하거나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환측 신장의 위축과 신우의 변형,좌우의 비대칭을 통해 증명한다.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로는 급성 신우신염에서의 치료와 마찬가지로 항생제 투여가 가장 효과적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 editorial department of Jungdam. Steps to Internal Medicine Vol. 5 Nephrology. Seoul: Jungdam: 2013, p. 308-11. 

  2. An editorial department of Jungdam. Steps to Internal Medicine Vol. 2 Infection. Seoul: Jungdam: 2013, 319-23. 

  3. Papadakis MA, McPhee SJ, Gleason N, Quinn G. Current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2017. New York(State): McGraw-Hill: 2016. p. 956. 

  4. Lee SG, Lee KL, Song JM. A Clinical study on Cooperative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 Treating Chronic Pyelonephriti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5:17(1):170-73. 

  5. Lee DS, Nam HI, Jeong JJ, Kim BW, Sun SH, Baik TH. A Case Report on Efficacy of Korean- Western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in Acute Pyelonephritis. J Int Korean Med 2014:35(110):204-11. 

  6. Hyun JO, Paik JW, Hwang JW, Park DJ, Han CH, Jeong SH, et al. Case Report :Clincal Observation on 1 Case Patient of The Acute Pyelonephritis with Ganhae Treated with Sosihotang-gamibang. J Int Korean Med 2005:26(111):237-42. 

  7. Koh BH, Goo DM, Kim GY, Kim DR, Kim IH, Kim JY, et al.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undang: 2018. 

  8. Lee EJ, Koh BH, Song IB, Lim JN. Comparison with 'Gu-Bon'and 'In-Bon'on Symptom of Soeumin's Disease and Soyangin's Disease.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1:13(2):62-73. 

  9. Hwang MW, Koh BH. A Study on the Pathology of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9:21(3):1-16. 

  10. Kwon OI, Lee JH, Kim YH, Hwang MW. The Study on the Mangeum-syndrome of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1:23(1):44-52. 

  11. Lee JW, Lee JH, Koh BH, Lee EJ. A Study on the Therapeutic Herbal Medications for Soyangin Mangeum Symptomatology.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1:23(1):53-62. 

  12. Park SK, Lee HJ, Kim HT, Whang WW. An experimental study of oriental medicine on cure for dementia:the effect of Jowiseungcheongtang and Hyungbangjihwangtang on cure for aged rat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8:9(2):19-35. 

  13. Jeong SY, Kim SM, Im MH, Lee JH, Park JH. The Prevention Effect of HyeungBangJiHwang Tang Extracts on the Liver Cirrhosis of Fisher 344 Rats In6uced By Long Term Tetrachloride Injection.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03:18(4):193-210. 

  14. Lee HE, Ahn TW. Anti-Oxidant Effect of Hyeongbangjiwhang-tang Decoction in Kidney, Bladder and Spleen Cell of SD Rat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8:20(2):85-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