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뇌성 다계통위축증(MSA-C) 환자 한방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 Multiple System Atrophy-C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9 no.5, 2018년, pp.1042 - 1051  

조준호 (동수원한방병원 한방내과) ,  임보라 (동수원한방병원 한방내과) ,  정택수 (동수원한방병원 한방내과) ,  전경륭 (동수원한방병원 한방내과) ,  박진서 (동수원한방병원 한방내과) ,  이유진 (동수원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권도익 (동수원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in a patient with multiple system atrophy-C (MSA-C). Methods: A patient diagnosed with MSA-C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Boyangwhano-tang hap Yeokgan-s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or 8 weeks. Clinical improvements were eval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방광직장장애와 자율신경실조증상은 입원 치료에도 별다른 호전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료 기간 중대변 실금의 증상이 새로 발생하였다. 변 등 9 의 한방 치험례를 참고하여 배뇨장애가 심한 다계통위 축증 환자에게 B32(次髎)전침 치료 등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본 증례의 환자는 보행장애, 현훈 등의 소뇌 실조증상이 삶의 질을 매우 저하시키고 있어 이들 증상의 호전을 우선 치료 목표로 삼았다. 입원 초기에 신경과 협진으로 Levodopa 용량 감량 및 고혈압 약물을 조절하였고, 치료 기간 동안 별다른 변인이 없는 상황에서 한방 치료 위주로 난치성 퇴행성 신경질환의 하나인 다계통위축증의 여러 임상 증상의 호전을 확인한 것에 본 증례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보행장애, 현훈 등을 주소로 하는 소뇌형 다계통 위축증(MSA-C)으로 진단된 환자 1명을 肝陽化風 으로 변증하여 약 8주간 한약, 침구 치료를 통해 객관적, 주관적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을 확인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환자는 소뇌실조증상 중 특히 보행장애와 현훈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큰 제약이 있기에, 주된 치료 목표를 이들 증상의 개선으로 삼았다. 8주 입원기간 동안 보행 양상 호전되어 자가 또는 한 손으로 난간을 잡는 형태로 40여분 보행 가능하였으며, 보호자 도움 없이 방향 전환과 회전이 가능하였다.
  • 본 증례의 환자는 비정형파킨슨증으로 진단 후 약 1년간 Levodopa등 약물 복용하였으나 보행장애, 현훈, 구음장애 등 소뇌실조증상과 함께 배뇨장애, 자율신경실조증상 점차 악화되어 본원 내원 후 신경과 협진 통해 ‘Probable MSA-C'로 진단 받았다.이후 8주간의 한방 침구, 한약 치료 등을 통해 객관적 평가 척도 및 주관적 평가에서 모두 유의한 호전이 확인되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변 등 9 의 한방 치험례를 참고하여 배뇨장애가 심한 다계통위 축증 환자에게 B32(次髎)전침 치료 등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본 증례의 환자는 보행장애, 현훈 등의 소뇌 실조증상이 삶의 질을 매우 저하시키고 있어 이들 증상의 호전을 우선 치료 목표로 삼았다. 입원 초기에 신경과 협진으로 Levodopa 용량 감량 및 고혈압 약물을 조절하였고, 치료 기간 동안 별다른 변인이 없는 상황에서 한방 치료 위주로 난치성 퇴행성 신경질환의 하나인 다계통위축증의 여러 임상 증상의 호전을 확인한 것에 본 증례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다계통위축증의 한방 치료는 현대 의학적 치료와 마찬가지로 대증 치료 수준이며 증례보고도 제한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계통위축증이란? 다계통위축증(Mutiplesystem atrophy, MSA)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추체외로 및 추체로 증상과 소뇌 기능 장애, 자율신경계 장애의 조합으로 발현된다1. 다계통위축증은 증상이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나 진단이 어려우며 특히 파킨슨병과 유사한 경우가 많으나 파킨슨병과 달리 병의 진행이 빠르고 예후가 불량하여 발병 후 7-10년이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2.
다계통위축증의 진단에는 어떤것이 사용되는가? 다계통위축증의 진단에는 자율신경실조검사, 방사선검사 등이 사용되며 임상소견을 중심으로 임상의가 진단을 내리게 된다. 최근에는 Gliman S등이 고안한 진단 기준을 통해 Levodopa의 반응 성, GCIs의 병리적 소견을 고려하여 ‘Possible', ‘Probable', ‘Definite'으로 다계통위축증을 분류하여 진단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Quinn N. Multiple system atrophy-the nature of the beast.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Special Supplement 1989:52(suppl):78-89. 

  2. Wenning GK, Ben Shlomo Y, Magalhaes M, Danie SE, Quinn NP. Clinical features and natural history of multiple system atrophy:An analysis of 100 cases. Brain 1994:117(4):835-45. 

  3.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Test book of Neurology. 2nd Edition. Seoul: Panmun: 2012. p. 509. 

  4. Gilman S, Wenning GK, Low PA, Brooks DJ, Mathias CJ, Trojanowski JQ, et al. Second consensus statement on the diagnosis of multiple system atrophy. Neurology 2008:71(9):670-6. 

  5. Flabeau O, Meissner WG, Tison F. Multiple system atrophy : current and future approaches to management. Ther Adv Neurol Disord 2010:Jul;3(4):249-63. 

  6. Baik YS, Jo EY, Choi HJ, Jung SH. A Clinical Case Study on Multiple System Atrophy-C. J Int Korean Med 2008:spr;119-26. 

  7. Kang YG, Shim WS, Lee BR, Kin KL, Park DI. A Case Study of a MSA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5:spr;138-42. 

  8. Im JW, Lee JE, Yei YC, Kim YS, Cho KH, Moon SK, et al. A case report of multiple system atrophy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3:spr;206-10. 

  9. Byeon HS, Park JY, Leem JT, Kim MY, Kim CH, Jung WS, et al. A Clinical Case Study on Multiple System Atrophy with Dysuria treated with Electroacupuncture and Moxibustion. J Int Korean Med 2008:fal;196-203. 

  10. Wenning GK, Tison F, Seppi K, Sampaio C, Deiem A, Yekhlef F,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UMSARS). Movement Disorders 2004:19(12):1391-402. 

  11. Schmitz-Hubsch T, du Montcel ST, Baliko L, Berciano J, Boesch S, Depondt C, et al. Scale for the Assessment and Rating of Ataxia:development of a new clinical scale. Neurology 2006:Jun 13; 66(11):1717-20. 

  12. Lee JH, Song SK, Kim SK, Kim TS, Lee PH. An Autopsy Case of Multiple System Atrophy. J Korean Neurol Assoc 2010:28(1):56-8. 

  13. Gibb WR, Lees AJ. The relevance of the Lewy body to the pathogenesis of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8:51(6):745-52. 

  14. Wenning GK, Geser F, Stampfer-Kountchev M, Tison F. Multiple system atrophy:an update. Mov Disord 2003:18(Suppl 6):34-42. 

  15. Druschky A, Hilz MJ, Platsch G, Radespiel-Troger M, Druschky K, Kuwert T, et al. Differentiation of Parkinson's disease and multiple system atrophy in early disease stages by means of I-123-MIBG-SPECT. J Neurol Sci 2000:175(1):3-12. 

  16. Choi SH.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Pathology of Endogenous wind stirring in liver. J of Eastern Pathology 1984:1:53-8. 

  17. Kim NY, Lee I, Jang HY, Im JM, Kim SM, Cho HG, et al. Effect of Boyanghwanoh-tang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Rats. Korean J Oriental Medical Physiology & Pathology 2001:15(5):682-6. 

  18. Kang SH, Kim GJ.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3:26(1):50-62. 

  19. Lim SM, An JJ, Choi BR, Song GC, Kim MH, Kim YS, et al. A case study of tremor patient with Yeokgansan-gamibang. Korean J Orinet Int Med 2003:24(4):1062-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