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정보의 공유를 위한 생태정보 포털서비스 (EcoBank) 구축 및 활용 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Ecological Data Portal Service (EcoBank) for Sharing Ecological Information of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1 no.3, 2018년, pp.212 - 220  

성선용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권용수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김기동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logical and ecosystem database is becoming very necessary to understand origins and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lso to minimize disturbance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can play important roles as a computing system to collect knowledge, distribu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생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생태정보포털을 설계·구축하여, 사용자맞춤형 생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생태정보 서비스단위의 재사용성이 높은 Open-API 방식의 자료 연계를 채택하였으며, Open-API를 이용한 웹서비스를 통해 타 시스템과의 연계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사용자 참여 양방향 서비스를 통해 생태정보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r)에서는 해양생태계, 해양생태계의 구조 등 해양생태계와 관련하여 전자지도, WebGIS의 개념으로 해양생태와 관련한 정보를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및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자료를 제공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외 생태관련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생태정보 공유를 위한 생태정보 포털서비스의 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의 자연환경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생태정보의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사용자별 요구기능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일반인, 연구자 및 정책결정자별 정보분석 기능을 개발하였다. 일반인들을 위해서는 생태자연도 정보를 수정조회 할 수 있는 Web 기반의 분석도구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적으로 생태정보포털은 어떤 기능을 가지는가? 국제적으로는 생태정보포털을 이용하여 전 세계의 생태계와 관련된 정형데이터 및 비정형데이터를 목록화하고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하여(Chavan and Ingwersen, 2009) 연구자간 협업 시너지를 높이고 있으며(Youn et al., 2017), 일반인의 참여를 유도해 대규모 생물출현정보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생태정보의 공개 및 활용이 많은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기관별로 생태정보가 분산·관리되고 있어(Youn, 2014)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생태계 관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 2015). 이러한 생태계 관련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태정보의 종합적 수집을 통해 생태계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Choi and Kim, 2002). 이를 위해서는 시민, 학자, 정부 등 다양한 주체가 보유한 광범위한 생태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Balvanera et al.
생태정보의 종합적 수집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생태계 관련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태정보의 종합적 수집을 통해 생태계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Choi and Kim, 2002). 이를 위해서는 시민, 학자, 정부 등 다양한 주체가 보유한 광범위한 생태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Balvanera et al., 2006; Geijzendorffer and Roch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lvanera, P., A.B. Pfisterer, N. Buchmann, J. He, T. Nakashizuka, D. Raffaelli and B. Schmid. 2006. Quantifying the evidence for biodiversity effects on ecosystem functioning and services. Ecology Letters 9: 1146-1156. 

  2.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Network (BES-NET). 2018. Available at: http://www.besnet.world/ (Accessed 3 Mar. 2018). 

  3. Center for Ecology and Hydrology (CEH). 2018. Available at: https://www.ceh.ac.uk/ (Accessed 4 Mar. 2018). 

  4. Chavan, V. and L. Penev. 2011. The data paper: a mechanism to incentivize data publishing in biodiversity science. BMC Bioinformatics 12(Suppl 15): S2. 

  5. Chavan, V.S. and P. Ingwersen. 2009. Towards a data publishing framework for primary biodiversity data: challenges and potentials for the biodiversity informatics community. BMC Bioinformatics 10(Suppl 14): S2. 

  6. Choi, B.G. and S.S. Kim. 2002. Natural eco-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in Kang-Wh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0(3): 123-130. 

  7.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learing-House Mechanism (CBD-CHM Korea). 2018. Available at: http://www.cbdchm.go.kr/eng/main/main.do (Accessed 6 Mar. 2018). 

  8. Data Observation Network for Earth (DataONE). 2018. Available at: https://www.dataone.org/ (Accessed 4 Mar. 2018). 

  9. Ecosea. 2018. Available at: http://www.ecosea.go.kr/ (Accessed 5 Mar. 2018). 

  10. Geijzendorffer, I.R. and P.K. Roche. 2013. Can biodiversity monitoring schemes provide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s?. Ecological Indicators 33: 148-157. 

  11. Geijzendorffer, I.R., E.C. Regan, H.M. Pereira, L. Brotons, N. Brummitt, Y. Gavish, P. Haase, C.S. Martin, J. Mihoub, C. Secades, D.S. Schmeller, S. Stoll, F.T. Wetzel, M. Walters and M. Cadotte. 2016. Bridging the gap between biodiversity data and policy reporting needs: An Essential Biodiversity Variables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Ecology 53: 1341-1350. 

  12.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2018. Available at: https://www.gbif.org/ (Accessed 3 Mar. 2018). 

  13. Groom, Q., L. Weatherdon and I.R. Geijzendorffer. 2017. Is citizen science an open science in the case of biodiversity observations?. Journal of Applied Ecology 54(2): 612-617. 

  14. Hampton, S.E., C.A. Strasser, J.J. Tewksbury, W.K. Gram, A.E. Budden, A.L. Batcheller, C.S. Duke and J.H. Porter. 2013. Big data and the future of ecology.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1: 156-162. 

  15. Integrated Biodiversity Assessment Tool (IBAT). 2018. Available at: https://www.ibatforbusiness.org/ (Accessed 3 Mar. 2018). 

  16. Kim, H.Y., H.S. Ji, H.S. Lee and J.D. Ji. 2014. Big data point according to the study on the Efficiency methods of cadastral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al Information Association 16(1): 29-48. 

  17. Korean Bioinformation Center (KOBIC). 2018. Available at: https://www.kobic.re.kr/ (Accessed 5 Mar. 2018). 

  18.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Systems 3: 36-71. 

  19.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68-144. 

  2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8. Available at: https://www.nibr.go.kr/eng/main/main.jsp (Accessed 5 Mar. 2018). 

  21.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New York. 

  22.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23. Song, J.H., I.J. Kang, S.H. Hong and D.H. Park. 2014. Construction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2(4): 99-106. 

  24. Youn, J., C. Kim and H. Moon. 2017. The establishment for technology development plan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cloud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469-477. 

  25. Youn, J.H. 2014. The establishment of BPR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2(4): 81-8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