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Navigation을 위한 해상디지털통신 구축에 관한 정책 연구
A Study on Policy Making for e-Navig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Maritime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4 no.6, 2018년, pp.679 - 685  

임현택 (호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조용갑 (호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해양사고 감소를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e-Navigation 관련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가 실제로 해상에서 사고예방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선박에 관련 장비가 설치되어야 하며 법제적으로도 운영 조직과 시스템이 확충되어야 한다. 특히, 한국형 e-Navigation 사업으로 개발 될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망) 및 VDES, Digital-MF/HF 등 디지털 통신기술이 실행될 수 있도록 선박에는 관련 통신장비와 기술표준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기존연구는 이러한 LTE-M에 대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의 효율적인 시행에 필요한 제도와 정책방안을 단기, 중기 및 장기로 나누어 식별하고, e-Navigation 핵심서비스, e-Navigation 통신망 및 운영시스템, e-Navigation 국제표준선도 기술 및 e-Navigation 서비스 활성화 분야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양수산부 주도로 추진 중인 한국형 e-Navigation 구축사업의 진도점검 자료에 기초하여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관련분야 실무자 및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하여 연구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된 정책들은 해양사고 저감과 해사산업 진흥 및 국민 안전을 위한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duce marine accidents using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re conducted globally on e-Navigation related technologies and services. Existing studies do not provide policy measures for LTE-M. In order for these technolog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하여 해상디지털통신기술 내용과 수준에 따라 시기별(단기·중기·장기)로 정책추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이란 무엇인가?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GICOMS : General Information Centeron Maritime Safety & Security)’은 해양수산부가 ‘선박자동식별 장치(AIS: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선박의 제원·운항정보를 선박-선박 및 선박-육상 간 자동으로 송수신하는장치)’, ‘선박모니터링시스템(VMS: Vessel Monitoring System,선박의 위치, 이동경로 등 해상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자해도 화면상에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장거리선박식별장치(LRIT: 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ships, 해적, 테러 등 해상보안 및 수색구조의 목적으로 선박의 기국, 항만국 및 연안국에서 자국 항만에 입항하거나 연안을 통과하는 모든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를 통해 전 세계해역에 항해 중인 우리나라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는 해양안전 및 보안관리 정보시스템이다.
해상교통관제센터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해상교통관제센터는(VTS) 주로 초단파(VHF) 무전기를 활용해 관제 대상 선박과 통화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정보제공의 효율이 낮은 한계가 있다. e-Navigation의 디지털 무선통신체계를 활용할 경우 한 번에 다양한 안전정보를 다수의 선박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어 관제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e-Navigation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선박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됨에 따라 정밀한 실시간 선박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선박용 LTE-M 라우터에 대한 기술기준 제정 시 초 단위의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기능이 탑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n, K.(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time Traffic Management by Introducing e-Navig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No. 2, pp. 164-170. 

  2. Cho, D. J. and H. Lee(2017), Development of Korean e-Navigation business and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SafeNet Forum Technical Report, pp. 155-168. 

  3. Choi, W. J. and H. P. Kim(2015), Understanding LTE Mobile Communications, KICS Information & Communication Magazine, Vol. 32, No. 9, pp. 27-35. 

  4. ITU-R(2015), IMT Vision-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5. Jeong, N.(2017), LTE-based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Navigation, Ph. D., Thesis,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of Paichai University, Korea. 

  6. MOF(2015a),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ext-generation Marine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trategy Implementation Plan, 1st Edition, Sejong, Korea. 

  7. MOF(2015b),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e-Navigation Forum Library Book, Mar. 

  8. MSIT & KCC(2018),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Radio Waves Act. Article 24 (Radio Stations that May Be Established after Filing Reports). 

  9. Mun, S. M. and J. Y. Son(2011), Current Activities of Navigation & Communication Equipments Industry and 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5, No. 4, pp. 512-518. 

  10. Song, B. S. and H. Lee(2017), Status and plan of Korean e-Navigation LTE-Maritime test network, SafeNet Forum Technical Report, pp. 145-1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