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적산소요구량을 이용한 하구해역의 해수중 유기물 기원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of Organic Matter in Seawater in Korean Estuaries Using Chemical Oxygen Demand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4 no.6, 2018년, pp.735 - 749  

김영숙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구준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하천인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그리고 낙동강의 하구에서 해수중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의 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과 수질인자에 대해 고찰하였다. 주성분분석으로 얻어진 해수중 COD 농도를 결정하는 주요요인은 염분과 클로로필-a를 중심으로 한 외래성 기원과 자생공급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해저 퇴적층의 유기물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해역의 COD 농도를 결정하는 수질인자들의 기여도는 회귀식 기울기를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시기별로는 전체적으로 염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월과 8월에는 클로로필-a의 영향도 함께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별로는 낙동강에서는 클로로필-a, 한강과 영산강에서는 염분, 금강에서는 염분과 함께 클로로필-a의 기여도가 각각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진강에서는 염분과 클로로필-a 모두 낮은 기여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ne studied the principal factors and water-quality components that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 seawater in estuaries, such as the Han, Geum, Youngsan, Seomjin, and Nakdong rivers in Korea. The principal factors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CO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5개 주요하구에서 얻은 3년간(2014-2016)의 조사결과를 다변량 통계기법으로 분석하여 하구해역 수질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를 이해하고 COD 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표층수 유출이 심해지는 계절은? , 2004). 우리나라 연안의 수질오염은 강우가 집중되는 시기인 하계에 내륙의 하천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아 연안의 부영양화를 가속시키는 외부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Cho et al., 1998).
화학적산소요구량이란?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일반적으로 해수중 유기물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수질환경 변수로 이용된다(Aoki et al., 2004; Huang et al.
부영양화가 생기는 이유는? , 1998). 부영양화는 외부로부터 다량의 영양염이 유입됨으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포함한 미생물이 번성하여 적조와 같은 생태계 파괴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육상에서 유래 한 유기물은 빈산소수괴(hypoxic zone)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식물성 플랑크톤 성장에 유리한 하구해역의 표층수는 상당한 양의 영양물과 육상 유기물을 전달하여 식물 플랑크톤을 대량 발생시키며(Gu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oki, S., Y. Fuse and E. Yamada(2004), Determinations of humic substances and other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their effects on the increase of COD in Lake Biwa, Analytical Science, Vol. 20, pp. 159-164. 

  2. Baek, S. H.(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oxygen demand and Escheria coli on pollutant sources at Gwangyang Bay of South Se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3279-3285. 

  3. Boynton, W. R., J. H. Garber, R. Summers and W. M. Kemp(1995), Inputs, transformations, and transport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Chesapeake Bay and selected tributaries, Estuaries, Vol. 18, pp. 285-314. 

  4. Carstensen, J., J. H. Andersen, B. G. Gustafsson and D. J. Conley(2014), Deoxygenation of the Baltic Sea during the last centur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Vol. 111, pp. 5628-5633. 

  5. Cho, K. J., M. Y. Choi, S. K. Kwak, S. H. Im, D. Y. Kim, J. G. Park and Y. E. Kim(1998),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hae Bay,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 No. 4, pp. 193-202. 

  6. Drira, Z., S. Kmiha-Megdiche, H. Sahnoun, A. Hammami, N. Allouche, M. Tedetti and H. Ayadi(2016), Assessment of anthropogenic inputs in the surfacewaters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Sfax during spring (Tunisia, Southern Mediterranean S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104, pp. 355-363. 

  7. Guo, X., M. Dai, W. Zhai, W. J. Cai and B. Chen(2009), $CO_2$ flux and seasonal variability in a large subtropical estuarine system, the Pearl River Estuary, Chin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4, G03013, doi:10.1029/2008JG000905. 

  8. Hong, S. J., W. C. Lee, S. P. Yoon, S. E. Park, Y. S. Cho, J. N. Kwon and D. M. Kim(2007), Reduction of autochthonous organics in Masan Bay using a simple box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3, No. 2, pp. 111-118. 

  9. Huang, X., L. Huang and W. Yue(2014),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and eutrophication in the Pearl River estuary, South Chin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7, pp. 30-36. 

  10. Humborg, C., A. Ittekkot, A. Cociasu and B. V. Bodungen (1997), Effect of Danube River dam on Black Sea biogeochemistry and ecosystem structure, Nature, Vol. 386, pp. 385-388. 

  11. Jang, J. I, I. S. Han, K. T. Kim and K. T. Ra(201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Shihwa Lake and outer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No. 2, pp. 105-121. 

  12. Jeong, D. H., H. H. Shin, S. W. Jung and D. I. Lim(2013), Variations and characters of water quality during flood and dry seasons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sea,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1, No. 1, pp. 19-36. 

  13. Jeong, Y. H., Y. T. Kim, Y. Z. Chae, C. W. Rhee, K. R. Ko, S. Y. Kim, J. Y. Jeong and J. S. Yang(2005), Analysis of long-term monitoring data from the Geum river estuary,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0, No. 3, pp. 139-144. 

  14. Jung, W. S., S. J. Hong, W. C. Lee, H. C. Kim, J. H. Kim and D. M. Kim(2016), Modeling for pollution contribution rate of land based load in Ma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2, No. 1, pp. 59-66. 

  15. Kairesalo, T., L. Tuominen, H. Hartikainen and K. Rankinen (1995), The role of bacteria un the nutrient exchange between sediment and water in a flow-through system, Microbial Ecology, Vol. 29, pp. 129-144. 

  16. Kim, J. G.(2006),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Incheon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5, No. 11, pp. 1017-1025. 

  17. Kim, J. G. and H. S. Jang(2016), A Study on the inflowing pollution load and material budgets in Hampyeong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2, No. 1, pp. 1-10. 

  18. Kim, J. K., G. I. Kwak and J. H. Jeong(2008), Three-Dimensional mixing characteristics in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1, No. 3, pp. 164-174. 

  19. Kim, Y. T., Y. S. Choi, Y. S. Cho and Y. H. Choi and S. Jeon(2015), Characteristic distributions of nutrients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in the vicinity of Mokpo Harbor after freshwater inpu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No. 6, pp. 617-636. 

  20. Lee, K. S. and S. K. Jeon(2009), Material budget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ith simple box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 No. 4, pp. 248-254. 

  21. Lim, J. S., Y. W. Kim, J. H. Lee, T. J. Park and I. G. Byun(2015),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a and multiple parameter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7, No. 5, pp. 253-261. 

  22. Maciejewska, A. and J. Pempkowiak(2014), DOC and POC in the water column of the southern Baltic Part I.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ources,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dynamics of organic matter, Oceanologia, Vol. 56, No. 3, pp. 523-548. 

  23. MOF(2013), Ministry of Oceans and Fsheries, Marine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pp. 47-85. 

  24. Morioka, T.(1980), Application of ecological dynamics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Kobe Harbour area, Pro Water Technology, Vol. 12, pp. 445-458. 

  25. Park, H. S., C. K. Park, M. K. Song, K. H. Baek and S. K. Shin(2001),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 using factor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17, No. 6, pp. 693-701. 

  26. Quan, W. M., X. Q. Shen and J. D. Han(2005), Analysis and assessment on eutrophication status and developing trend in Changjiang Estuary and adjacent sea,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Vol. 24, No. 3, pp. 13-16. 

  27. Savchuk, O. P.(2002), Nutrient biogeochemical cycles in the Gulf of Riga: scaling up field studies with a mathematical model, Journal of Marine Systems, Vol. 32, No. 4, pp. 253-280. 

  28. Shen, H. T., Q. H. Huang and X. C. Liu(2000), Fluxes of the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through the key interfaces in the Changjiang Estuary, Estuarine Coasts, Vol. 33, No. 6, pp. 1420-1429. 

  29. Shim, K. H., Y. J. Lee, B. K. Jeong, Y. S. Shim and S. H. Kim(2013),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ungsan river using stable isotope ratios ( ${\delta}13C,{\delta}15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46, No. 2, pp. 175-184. 

  30. Shin, S. K., C. K. Park and K. O. Song(1995) Evaluation of autochthonous COD in the Nakdong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8, No. 3, pp. 263-269. 

  31. Simpson, J. H., P. B. Tett, M. L. Argote-Espinoza, A. Edwards, K. J. Jones and G. Savidge(1982), Mixing and phytoplankton growth around an island in a stratified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1, pp. 15-31. 

  32. Singh, K. P., A. Malik, D. Mohan and S. Sinha(2004),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e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water quality of Gomti River (India): a case study, Water Research, Vol. 38, pp. 3980-3992. 

  33. Straskrabova, V., J. Komarkova and V. Vyhnalek(1993), Degradation of organic substance in reservoir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8, No. 6, pp. 95-104. 

  34. Wang, H., M. Dai, J. Liu, S. J. Kao, C. Zhang, W. J. Cai, G. Wang, W. Qian, M. Zhao and M. Sun(2016), Eutrophication-Driven Hypoxia in the East China Sea off the Changjiang Estuary,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50, pp. 2255-226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