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합성 전자 추출 기반 바이오 태양광 에너지 전환기술 동향
Trends of Photosynthetic Bio-solar Energy Conversion Technology 원문보기

세라미스트 = Ceramist, v.21 no.3, 2018년, pp.233 - 248  

김용재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홍현욱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신혜인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윤재형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류원형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otosynthesis of plant, algae, and certain types of bacteria can convert solar energy to electrons at high efficienc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investigations to utilize this mechanism to develop photosynthetic bio-solar energy systems. In this article, the fundamentals of photosynthetic ener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이 연구에서는 저렴하게 제작 가능하면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생체적합 (biocompatible)한 물질로 헤마타이트를 선정하고, 이를 산화전극(anode)에 성장시켜 광계2와의 상호작용 및 광전류의 양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성장된 헤마타이트는 다공성(mesoporous) 표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더 많은 광계2 분자들과 접촉할 수 있어 더 많은 양의 광합성 전자를 추출할 수 있다.
  • 본 리뷰에서는 고등식물을 이용한 광합성 기반 바이오 태양광 에너지 변환 기술의 소개와 동향을 기술하고자 하며, 위에서 언급한 4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설명을 진행하고자 한다. 각 광합성 인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소개하고, 여러 연구결과들에서 사용하는 광합성 인자에 따라 어떤 전극 디자인과 표면처리, 전자전달 매개체를 사용하였는지,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하였는지를 살펴보고 현재 어느 정도 수준까지 도달하였는지를 다루도록 하겠다.
  • 5)이 연구에서는 광계2를 고정하는 지질 이중층 물질로 DMPC(dimyristoyl-phosphatidylcholine)를 사용하였다. 논문에서는 DMPC를 이용하면 상온(ambient temperature)에서 간단하게 지질 이중층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한다. 시금치를 재료로 하여 광계2를 추출하고 이를 함유하고 있는 약 2㎛ 두께의 지질 필름을 전극에 도포하고 건조 후 산화전극을 구성하였다.
  • 광 바이오 초축전지(photo-bio-supercapacitor)의 핵심 원리는 회로가 열린 상태에서 광합성을 진행하여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을 대전(charge)시켜 두 전극간 전위차를 높이고, 이 상태에서 회로를 닫아 전류를 측정하면서 전극을 방전(discharge)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기본 전위차와 대전에 의한 전위차가 더해지면서 높은 전력량을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CNT 매트릭스를 사용한 전극의 축전효과를 통해 일반 ITO 전극에 틸라코이드를 도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00배 이상의 전력 밀도를 얻었다고 설명하였다.
  • 본 리뷰에서는 고등식물을 이용한 광합성 기반 바이오 태양광 에너지 변환 기술의 소개와 동향을 기술하고자 하며, 위에서 언급한 4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설명을 진행하고자 한다. 각 광합성 인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소개하고, 여러 연구결과들에서 사용하는 광합성 인자에 따라 어떤 전극 디자인과 표면처리, 전자전달 매개체를 사용하였는지,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하였는지를 살펴보고 현재 어느 정도 수준까지 도달하였는지를 다루도록 하겠다.
  • 나노구조물(nanostructure)을 통해 전극 표면적을 늘려서 전극과 광계1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키고자 한 연구들도 진행된 바 있다. 이 연구들에서는 전자전달 매개를 사용하지 않고 1차원 나노구조물을 사용하거나 다공성 전극을 제작하여 광합성 에너지 추출 밀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한 연구에서는 ITO 위에 TiO2를 이용하여 1차원 나노구조물을 제작하고 도데실 말토사이드(dodecylmaltoside, DDM)에 광계1을 분산시켜 전기방사(electrospray)를 통해 전극 표면에 부착시켰다.
  • 이 반응은 가역반응(reversible reaction)으로 퀴논 계열 전자전달 매개체는 이 두 상태를 오가며 전하를 전달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퀴논 계열 분자들의 광합성 전자 전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총 9종류의 퀴논 파생물질(derivatives)을 사용하여 광전류를 평가하였다. 그 중 파라벤조퀴논(para-benzoquinone, PBQ)과 디클로로벤조퀴논(dichloro benzoquinone, DCBQ)이 광전류 측정 실험에서 여타 퀴논 파생물들과 비교하여 월등한 성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광 에너지를 광합성 반응 센터에서 100%에 가까운 효율로 전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식물세포 또는 식물 조류세포에서 일어나는 광합성 과정은 잎 또는 식물세포로 입사된 태양광 에너지를 광합성 반응 센터(reaction center)에 100%에 가까운 효율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달 메커니즘은 광 수확 복합체(light harvesting complex) 내의 엽록소 피그먼트(chlorophyll pigments)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나며, 이런 일련의 작용들을 통해 식물세포는 태양광 에너지를 매우 높은 효율로 광합성 전자로 변환시켜 이를 세포의 생장에 이용하 거나 탄수화물의 형태로 저장하게 된다.
광합성이란? 식물세포의 광합성을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를 이해하려면, 우선 광합성 현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광합성이란 일반적인 식물이 스스로 양분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식물세포 안에 있는 엽록체(chloroplast), 엽록체 내부에 있는 틸라코이드 막(thylakoid membrane)에 존재하는 광계(photosystem)에서 일어난다. 각 광계에 있는 반응 센터가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면 물을 분해하여 산소, 양성자 (proton) 그리고 전자(electron)를 생성한다.
식물세포에 광합성으로 생성된 산소와 양성자의 이동경로는? 각 광계에 있는 반응 센터가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면 물을 분해하여 산소, 양성자 (proton) 그리고 전자(electron)를 생성한다. 생성된 산소와 양성자는 틸라코이드 내부인 루멘(lumen)에 축적되었다가 별도의 이온 및 가스 교환채널(ion/gas exchange channel)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전자는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하는 여러 전자 전달체들을 통해 이산화 탄소를 탄수화물로 치환하는 암반응(dark reaction), 즉 캘빈 사이클(calvin cycle)에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 Rao, D. Hall, N. Vlachopoulos, M. Gratzel, M. Evans, M. Seibert, "Photoelectrochemical responses of photosystem II particles immobilized on dyederivatized $TiO_2$ films",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5 [3-4] 379-389 (1990). 

  2. P. Cai, X. Feng, J. Fei, G. Li, J. Li, J. Huang, J. Li, "Co-assembly of photosystem II/reduced graphene oxide multilayered biohybrid films for enhanced photocurrent", Nanoscale, 7 [25] 10908-10911 (2015). 

  3. A. Efrati, R. Tel-Vered, D. Michaeli, R. Nechushtai, I. Willner, "Cytochrome c-coupled photosystem I and photosystem II (PSI/PSII) photo-bioelectrochemical cells", Energy Environ Sci, 6 [10] 2950-2956 (2013). 

  4. W. Wang, Z. Wang, Q. Zhu, G. Han, C. Ding, J. Chen, J.-R. Shen, C. Li, "Direct electron transfer from photosystem II to hematite in a hybrid photoelectrochemical cell", Chem Commun, 51 [95] 16952-16955 (2015). 

  5. Y. Zhang, N. M. Magdaong, M. Shen, H. A. Frank, J. F. Rusling, "Efficient photo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using spinach photosystem II (PSII) in lipid multilayer films", ChemistryOpen, 4 [2] 111-114 (2015). 

  6. M. Kondo, M. Amano, T. Joke, S. Ishigure, T. Noji, T. Dewa, Y. Amao, M. Nango, "Immobilization of photosystem I or II complexes on electrodes for preparation of photoenergy-conversion devices", Res Chem Intermed, 40 [9] 3287-3293 (2014). 

  7. O. Yehezkeli, R. Tel-Vered, J. Wasserman, A. Trifonov, D. Michaeli, R. Nechushtai, I. Willner, "Integrated photosystem II-based photobioelectrochemical cells", Nat Commun, 3 DIO1741 (2012). 

  8. G. Li, X. Feng, J. Fei, P. Cai, J. Li, J. Huang, J. Li, "Interfacial Assembly of Photosystem II with Conducting Polymer Films toward Enhanced Photo Bioelectrochemical Cells",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4 [1] 1600619 (2017). 

  9. K. Brinkert, F. Le Formal, X. Li, J. Durrant, A. W. Rutherford, A. Fantuzzi, "Photocurrents from photosystem II in a metal oxide hybrid system: Electron transfer pathways", Biochim Biophys Acta, 1857 [9] 1497-1505 (2016). 

  10. I. Lee, J. W. Lee, E. Greenbaum, "Biomolecular electronics: vectorial arrays of photosynthetic reaction centers", PhRvL, 79 [17] 3294 (1997). 

  11. R. Das, P. J. Kiley, M. Segal, J. Norville, A. A. Yu, L. Wang, S. A. Trammell, L. E. Reddick, R. Kumar, F. Stellacci, "Integration of photosynthetic protein molecular complexes in solid-state electronic devices", Nano Lett, 4 [6] 1079-1083 (2004). 

  12. C. J. Faulkner, S. Lees, P. N. Ciesielski, D. E. Cliffel, G. K. Jennings, "Rapid assembly of photosystem I monolayers on gold electrodes", Langmuir, 24 [16] 8409-8412 (2008). 

  13. L. Frolov, O. Wilner, C. Carmeli, I. Carmeli, "Fabrication of Oriented Multilayers of Photosystem I Proteins on Solid Surfaces by Auto Metallization", Adv Mater, 20 [2] 263-266 (2008). 

  14. P. N. Ciesielski, C. J. Faulkner, M. T. Irwin, J. M. Gregory, N. H. Tolk, D. E. Cliffel, G. K. Jennings, "Enhanced photocurrent production by photosystem I multilayer assemblies", Adv Funct Mater, 20 [23] 4048-4054 (2010). 

  15. V. B. Shah, W. R. Henson, T. S. Chadha, G. Lakin, H. Liu, R. E. Blankenship, P. Biswas, "Linker-free deposition and adhesion of photosystem I onto nanostructured $TiO_2$ for biohybrid photoelectrochemical cells", Langmuir, 31 [5] 1675-1682 (2015). 

  16. K. Stieger, S. Feifel, H. Lokstein, M. Hejazi, A. Zouni, F. Lisdat, "Biohybrid architectures for efficient lightto-current conversion based on photosystem I within scalable 3D mesoporous electrodes", J Mater Chem A, 4 [43] 17009-17017 (2016). 

  17. G. LeBlanc, G. Chen, E. A. Gizzie, G. K. Jennings, D. E. Cliffel, "Enhanced photocurrents of photosystem I films on p doped silicon", Adv Mater, 24 [44] 5959-5962 (2012). 

  18. A. Mershin, K. Matsumoto, L. Kaiser, D. Yu, M. Vaughn, M. K. Nazeeruddin, B. D. Bruce, M. Graetzel, S. Zhang, "Self-assembled photosystem-I biophotovoltaics on nanostructured $TiO_2$ and ZnO", Sci Rep, 2 srep00234 (2012). 

  19. G. LeBlanc, K. M. Winter, W. B. Crosby, G. K. Jennings, D. E. Cliffel, "Integration of photosystem I with graphene oxide for photocurrent enhancement", Advanced Energy Materials, 4 [9] 1301953 (2014). 

  20. E. A. Gizzie, J. S. Niezgoda, M. T. Robinson, A. G. Harris, G. K. Jennings, S. J. Rosenthal, D. E. Cliffel, "Photosystem I-polyaniline/ $TiO_2$ solid-state solar cells: simple devices for biohybrid solar energy conversion", Energy Environ Sci, 8 [12] 3572-3576 (2015). 

  21. R. Pamu, V. P. Sandireddy, R. Kalyanaraman, B. Khomami, D. Mukherjee, "Plasmon-Enhanced Photocurrent from Photosystem I Assembled on Ag Nanopyramids", J Phys Chem Lett, 9 [5] 970-977 (2018). 

  22. Z. Zeng, T. Mabe, W. Zhang, B. Bagra, Z. Ji, Z. Yin, K. Allado, J. Wei, "Plasmon-exciton Coupling in Photosystem I Based Biohybrid Photoelectrochemical Cells", ACS Applied Bio Materials, (2018). 

  23. G. Zucchelli, F. M. Garlaschi, R. C. Jennings, "Spectroscopic analysis of chlorophyll photobleaching in spinach thylakoids, grana and light-harvesting chlorophyll a/b protein complex",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2 [4] 483-490 (1988). 

  24. M. Rasmussen, S. D. Minteer, "Investigating the mechanism of thylakoid direct electron transfer for photocurrent generation", Electrochim Acta, 126 68-73 (2014). 

  25. M. Rasmussen, S. D. Minteer, "Thylakoid direct photobioelectrocatalysis: utilizing stroma thylakoids to improve bio-solar cell performance", PCCP, 16 [32] 17327-17331 (2014). 

  26. J. Lee, J. Im, S. Kim, "Mediatorless solar energy conversion by covalently bonded thylakoid monolayer on the glassy carbon electrode", Bioelectrochemistry, 108 21-27 (2016). 

  27. D. Pankratov, G. Pankratova, T. P. Dyachkova, P. Falkman, H.-E. Akerlund, M. D. Toscano, Q. Chi, L. Gorton, "Supercapacitive Biosolar Cell Driven by Direct Electron Transfer between Photosynthetic Membranes and CNT Networks with Enhanced Performance", ACS Energy Letters, 2 [11] 2635-2639 (2017). 

  28. H. Kanso, G. Pankratova, P. Bollella, D. Leech, D. Hernandez, L. Gorton, "Sunlight photocurrent generation from thylakoid membranes on gold nanoparticle modified screen-printed electrodes", J Electroanal Chem, 816 259-264 (2018). 

  29. K. Hasan, Y. Dilgin, S. C. Emek, M. Tavahodi, H. E. Akerlund, P. A. Albertsson, L. Gorton, "Photoelectrochemical communication between thylakoid membranes and gold electrodes through different quinone derivatives", ChemElectroChem, 1 [1] 131-139 (2014). 

  30. P. Cai, G. Li, Y. Yang, X. Su, Z. Zhang, "Co-assembly of thylakoid and graphene oxide as a photoelectrochemical composite film for enhanced mediated electron transfer", Colloids Surf Physicochem Eng Aspects, (2018). 

  31. W. Ryu, S.-J. Bai, J. S. Park, Z. Huang, J. Moseley, T. Fabian, R. J. Fasching, A. R. Grossman, F. B. Prinz, "Direct extraction of photosynthetic electrons from single algal cells by nanoprobing system", Nano Lett, 10 [4] 1137-1143 (2010). 

  32. H. Hong, Y. J. Kim, M. Han, G. Yoo, H. W. Song, Y. Chae, J.-C. Pyun, A. R. Grossman, W. Ryu, "Prolonged and highly efficient intracellular extraction of photosynthetic electrons from single algal cells by optimized nanoelectrode insertion", Nano Res, 11 [1] 397-409 (2018). 

  33. L. H. Kim, Y. J. Kim, H. Hong, D. Yang, M. Han, G. Yoo, H. W. Song, Y. Chae, J.-C. Pyun, A. R. Grossman, W. Ryu, "Patterned Nanowire Electrode Array for Direct Extraction of Photosynthetic Electrons from Multiple Living Algal Cells", Adv Funct Mater, 26 [42] 7679-7689 (2016). 

  34. Y. H. Seo, L. H. Kim, F. B. Prinz, W. Ryu, "Digitallypatterned nanoprobe arrays for single cell insertion enabled by wet tapping", RSC adv, 4 16655-166661 (2014). 

  35. Y. J. Kim, J. Yun, S. I. Kim, H. Hong, J.-H. Park, J.-C. Pyun, W. Ryu, "Scalable long-term extraction of photosynthetic electrons by simple sandwiching of nanoelectrode array with densely-packed algal cell film", Biosens Bioelectron, 117 15-22 (2018). 

  36. F.-L. Ng, S.-M. Phang, V. Periasamy, K. Yunus, A. C. Fisher, "Evaluation of algal biofilms on indium tin oxide (ITO) for use in biophotovoltaic platforms based on photosynthetic performance", PloS one, 9 [5] e97643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