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체 자수 기법을 적용한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형 직물 구조의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ucture of Fabric of Increasing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by Applying Three-dimensional Embroidery Techniqu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1 no.3, 2018년, pp.141 - 150  

양진희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  조현승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  김민욱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  김종백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  김신혜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이주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마찰 시 직물의 면적을 증가시켜 에너지 수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 자수 기법 및 전도성 직물 재료를 탐색하고, 둘째 높은 효율을 보이는 입체 자수 기법을 토대로 브러싱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 후의 발생 전압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근거로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형 직물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에서는 인체로부터 마찰 에너지를 수확하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직물 내 주요 변인으로, 1) 입체 자수 기법(사틴 기법, 파일 기법), 2) 전도성 직물 재료(구리 기반 MPF, 니켈 기반 MPF)를 선정하고, 이 두 변인들의 조합에 따른 4개의 시료를 제작하여 마찰 시 발생 전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II"에서는 높은 효율을 보이는 입체 자수 방식의 시료를 대상으로 브러싱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 후의 발생 전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전도성 직물 재료 모두에 있어서 파일 자수 직물 구조가 사틴 자수 직물 구조에 비해 높은 마찰 에너지 수확 효율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마찰 면적에 따른 전하 밀도와 발생 전압이 비례하는 마찰 에너지 수확의 원리와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 마찰 면적이 큰 파일 자수 직물 구조가 마찰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틴 자수 직물 구조에 비해 에너지 수확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유리한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러싱 가공 후의 에너지 수확 효율도 마찰 면적 증대로 인해 가공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나, 브러싱 가공 방식이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에 있어서 유리한 가공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ree-dimensional embroidery techniques for creating conductive fabric materials. Such technique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energy harvesting by increasing the fabric's area during rubbing and brushing. We also investigate the fabric structure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형 직물 구조의 탐색을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인체로부터 마찰 에너지를 수확하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직물 내 주요 변인으로, 1) 입체 자수 기법(사틴 기법, 파일 기법), 2) 전도성 직물 재료(구리 기반 MPF, 니켈 기반 MPF)를 선정하고, 이 두 변인들의 조합에 따른 4개의 시료를 제작하여 마찰 시 발생 전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입체 자수 기법 및 전도성 직물 재료를 달리한 4가지 종류의 직물 구조를 고안하여, 직물 구조에 따른 에너지 수확 효율의 차이를 분석하고 마찰에너지 수확 증대형 직물 구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마찰 시 직물의 면적을 증가시켜 에너지 수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 자수 기법 및 전도성 직물 재료를 탐색하고, 둘째 높은 효율을 보이는 입체 자수 기법을 토대로 브러싱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 후의 발생 전압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근거로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형 직물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 및 의복을 통한 에너지 수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인체 및 의복을 통한 에너지 수확은 인체의 움직임이나 압력을 통한 압전 에너지 수확(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인체와 외부 환경과의 온도차를 이용한 열전 에너지 수확(heat energy harvesting), 물체의 운동과 진동을 통한 진동 에너지 수확(vibration energy harvesting), 접촉을 통해 정전기를 유도하는 마찰 에너지 수확(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등이 있다. 현재 미세 열전 에너지 및 진동 에너지 수확, 압전 에너지 수확 등의 기초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개념 정립의 단계이고, 기존의 대형 발전 원리의 소형화에 치중되어 있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 에너지원 후보인 인체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직물을 통한 마찰 에너지 수확의 장점은? 마찰 에너지 발생의 원리는 마찰 전기 소자가 접촉을 통한 정전기를 유도하는 원리로 동력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직물을 통한 마찰 에너지 수확의 장점은 첫째, 직물을 에너지 수확의 매개체로 사용하므로 의류에 적용하기 유리하고 둘째,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인체의 반복적인 움직임으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으며 셋째, 비교적 발생 전압이 높은 편이고 넷째, 전기 음성도 차이를 갖는 직물 소재의 선택 폭이 넓어 다양한 의류 제품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재 마찰 에너지 수확에 관한 연구는 물체 간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정전기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는 에너지 수확 모듈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이를 직물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인체 및 의복을 통한 에너지 수확의 한계는? 인체 및 의복을 통한 에너지 수확은 인체의 움직임이나 압력을 통한 압전 에너지 수확(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인체와 외부 환경과의 온도차를 이용한 열전 에너지 수확(heat energy harvesting), 물체의 운동과 진동을 통한 진동 에너지 수확(vibration energy harvesting), 접촉을 통해 정전기를 유도하는 마찰 에너지 수확(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등이 있다. 현재 미세 열전 에너지 및 진동 에너지 수확, 압전 에너지 수확 등의 기초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개념 정립의 단계이고, 기존의 대형 발전 원리의 소형화에 치중되어 있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 에너지원 후보인 인체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ui, N., Liu, J., Gu, L., Bai, S., Chen, X., & Qin, Y. (2015). Wearable Triboelectric generator for power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7(33), 18225-18230. DOI: 10.1021/am5071688 

  2. Hou, T. -C., Yang, Y., Zhang, H., Chen, J., Chen, L. -J., & Wang, Z. L. (2013).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uilt inside shoe insole for harvesting walking energy. Nano Energy, 2, 856-862. DOI: 10.1016/j.nanoen.2013.03.001 

  3. Kim, M. O., Yang, J. H., Cho, B. H., Jo, E. H., Kang, Y. S., Kwon, D. S., Cho, H. S., Park, S. H., Lee, J. H., & Kim, J. B. (2014). A study of fabric-based triboelectric energy generator for harvesting energy generated by human motion.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ing, Micro/Nano Engineering Part, 2014 Annual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4. Kim, M. O., Yang, J. H., Cho, B. H., Jo, E. H., Kang, Y. S., Kwon, D. S., Cho, H. S., Park, S. H., Lee, J. H., & Kim, J. B. (2014).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wearable fabric for harvesting energy induced by human motion. The 5th Japan-China-Korea MEMS/NEMS with NANO KOREA, 2014 Conference Proceedings, 87-88. 

  5. Kim, M. P., Lee, Y. O., Hur, Y. H., Park, J. H., Kim, J. Y., Lee, Y. S., Ahn, C. W., Song, S. W., Jung, Y. S., & Ko, H. H. (2018). Molecular structure engineering of dielectric fluorinated polymers for enhanced performances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Nano Energy, 53, 37-45. DOI: 10.1016/j.nanoen.2013.03.001 

  6. Kim, W., Kim, M. O., Oh, Y., & Kim, J. B. (2016). Fabric-based Breathable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Process.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6 Annual Fall Conference Proceedings. 

  7. Lee, J. H., Kim, J. B., Yang, J. H., Cho, H. S., Park, S. H., Kim, M. O., Kwon, D. S., Cho, B. H., Jo, E. H., & Kang, Y. S. (2016). Fabric type independent power plant having advanced structure for harvesting frictional electricity, and fabric product having the same. Patent registration number of Republic of Korea Grant, 10-1652293. 

  8. Niu, S., Wang, S., Lin, L., Liu, Y., Zhou, Y. S., Hu, Y., & Wang, Z. L. (2013). Theoretical study of contact-mode triboelectric nanogerators as an effective power source.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6, 3576-3583. DOI: 10.1039/c3ee42571a 

  9. Post, E. R. & Waal, C. E. (Asteism Inc). (2013). Electrostatic power harvesting. Patent registration number of US Grant, 8519677B2. 

  10. Qin, Y., Wang, X., & Wang, Z. L. (2008). Microfibrenanowire hybrid structure for energy scavenging. Nature, 451, 809-813. DOI: 10.1038/nature06601 

  11. Yang, J. H., Kim, M. O., Cho, H. S., Park, S. H., Kim, J. B., & Lee, J. H. (2014). An Exploratory Research of Advanced Fabric-typed Structure using the embroidery method fo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14 Annual Fall Conference Proceedings. 

  12. Yang, J. H., Cho, H. S., & Lee, J. H. (2018). An Exploratory Research on Advanced Fabric Structure of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licable to the Cycling Wear.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18 Annual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13. Zeng, W., Tao, X. -M., Chen, S., Shang, S., Chan, H. L. W., & Choy, S. H. (2013). Highly durable all-fiber nanogenerator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6, 2631-2638. DOI: 10.1039/c3ee41063c 

  14. Zhang, H., Yang, Y., Hou, T. -C., Su, Y., Hu, C., & Wang, Z. L. (2013).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uilt inside clothes for self-powered glucose biosensors. Nano Energy, 2, 1019-1024. DOI: 10.1016/j.nanoen.2013.03.024 

  15. Zhou, T., Zhang, Chi., Chang, B. H., Fan, F. R., Tang, Wei., & Wang. Z. L. (2014). Woven structur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wearable device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6(16), 14695-14701. DOI: 10.1021/am504110u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