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 누출에 따른 긴급 확산 방재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Block and Diffusion Prevention System for Hazardous Chemicals Leakage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2 no.5, 2018년, pp.89 - 99  

이덕재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윤정현 (화학물질안전원) ,  유병태 (화학물질안전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 소업체의 경우 누출 사고 시 자동화 시스템이 갖춰진 안전장치에 의한 방재체계가 아닌 근로자에 의한 긴급 방재가 주로 이루어져 인명 환경피해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화학물질 취급공정 중 누출 사고 발생 빈도에 따라 누출 예상지점에 선별적으로 쉽게 탈 부착이 가능한 긴급 확산방재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사고대응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화학사고를 시스템적으로 예방하여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의한 인명, 환경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ase of medium and small-sized businesse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emergency disaster prevention by workers, rather than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a safety device equipped with an automation system in case of a leak accident,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order to solve these l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플랜트 에서 화학물질의 누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고정형 감지기의 위치에 따른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여 고정형 감지기의 위치별 이동속도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6). KIDS는 화학물질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일반인도 사용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App/Web 등 시스템을 융합하는 Web 3.0 스마트 소셜 방재 플랫폼 개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7). Ren et al.
  • 이와 같은 결과를 대처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한 감지, 전파, 긴급 방재가 통합된 시스템을 연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화학물질 긴급 확산 방재시스템은 화학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구축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특징으로 개념안을 설계하였다.
  • 특히,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재원, 숙련된 엔지니어 등이 부족하여 화학물질 누출 사고 발생 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한 감지, 차단 등의 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 물질 방재안전 기술 개발의 제한사항과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에서 누출사고 발생이 예상되거나 소규모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누출 차단이 가능한 화학물질 긴급 확산 방재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ark et al.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플랜트 에서 화학물질의 누출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고정형 감지기의 위치에 따른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여 고정형 감지기의 위치별 이동속도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6). KIDS는 화학물질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일반인도 사용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App/Web 등 시스템을 융합하는 Web 3.
  • 하지만 누출지점 예측과 같은 모델링 연구에 비해 실제 누출에 대비한 누출지점 차단·방재에 대한 장비 개발 , 적용 등 실용 분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에서 화학물질 누출 사고 시 활용 가능한 소규모의 자동화 긴급 확산방재시스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 자동화 방재시스템이 미구축되어 있는 경우 인력에 의한 초기 긴급 방재가 이루어져 인명피해와 환경피해 등 추가 피해 발생 가능성도 높았다. 이에 화학물질을 주로 사용하는 취급공정과 화학물질 누출 방재 관련 국내 법령 및 활용 기술 정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현행 화학물질 누출 방재기술에 대한 제한사항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누출 방재기술과 관련한 자료는 화학물질안전원과 미국의 TEEX(Taxas A&M Engineering Extension Service Emergency Services Training Institute) 교육 자료와 한국환경공단의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안내서를 참고하였다.
  • 특히 방재시스템에 대한 특허기술 등록 건수에서 타 분야와 비교하면 현저히 적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대처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한 감지, 전파, 긴급 방재가 통합된 시스템을 연구,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고대비물질은 무엇인가? 3%) 등 4개 화학물질이 전체 화학물질 배출량의 62%를 차지하고 있다(1). 환경부는 화학물질의 건강위험성, 반응성과 인체․환경에 누출되었을 경우 큰 피해가 발생하는 물질에 대해서 ‘사고대비물질’로 별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사고대비물질’과 같은 화학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의 대다수는 20년 이상 노후화된 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다.
재원 부족, 전문 인력 충원의 어려움 등이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어떤식의 긴급 확산 방재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는가? 따라서 화학물질을 취급 하는 전체 공정라인에 자동화된 긴급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 등이 소요 된다. 재원과 시간 등이 부족한 중․소업체는 화학 물질을 취급하는 전체 공정라인 중 선택과 집중의 원리를 적용하여 누출 등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예상지점 위주로 소규모의 자동화된 긴급 방재시스템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장비 개발, 차단․배출 방법 등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인력에 의한 긴급 방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재원 부족, 전문 인력 충원의 어려움 등이 있는 중․소기업 경우 화학물질 누출 사고 발생 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한 방재 보다는 인력에 의한 긴급 방재가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력에 의한 긴급 방재 시 화학물질에 의한 직․간접 피부 접촉, 호흡기 흡입 등 인명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긴급 방재에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되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방재 투입 시기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초기 긴급 방재 시에는 자동화된 방재시스템에 의한 감시, 자동 보고, 긴급 방재 등이 신속히 이루어진 후 인력에 의한 최종 확인, 점검 순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