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레드밀 전·후방 보행과 속도에 따른 다리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Gait Pattern and Speed on the Treadmill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5 no.2, 2018년, pp.55 - 61  

최석화 (최석화바디발란스) ,  전혜림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규리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muscle activation of leg muscles with forward and backward gait and treadmill speed. Method: The experimenter is a healthy ten male and female. They practice walking on the treadmill for 2 minutes and then walk 2km/h and 4km/h in front and back for 3 minutes. Musc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위에서 속도변화에 따른 전 후방 보행 시 다리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재활 훈련 동안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율적인 보행 운동 양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방보행의 장점은 무엇인가? 후방보행은 하지의 근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방보행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더욱 높다.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은 생소한 운동 패턴에 기인한 에너지 효율성 감소, 짧은 보폭과 보행 빈도수 증가에 의한 전체 운동량 증가 그리고 하지의 주된 단축성 수축 사용에 의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소비량 증가 등에 의한 것이다(류호열, 2010).
후방 보행은 관절의 부화 감소와 근력강화를 통해 재활을 촉진시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후방보행은 하지의 근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방보행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더욱 높다.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은 생소한 운동 패턴에 기인한 에너지 효율성 감소, 짧은 보폭과 보행 빈도수 증가에 의한 전체 운동량 증가 그리고 하지의 주된 단축성 수축 사용에 의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소비량 증가 등에 의한 것이다(류호열, 2010). 따라서, 후방 보행은 관절의 부화 감소와 근력강화를 통해 재활을 촉진시킨다(Mackie와 Dene, 1984;Threlked 등, 1989).
트레드밀이란 무엇인가?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해 흔히 트레드밀 훈련이나 지면 보행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Lee & Hidler, 2008), 트레드밀은 러닝머신(running machine) 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운동기구로서, 바닥의 회전밸트가 자동으로 돌아가면서 사람이 그 위에서 걷거나 달리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운동기구이다(김지연, 2000). 트레드밀의 보행훈련은 과제특이적(task-specif-ic)이며, 복잡한 보행주기(cycle)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형규 외(2012). 타원형 기구 보행, 트레드밀 보행 및 지면보행이 하지 근육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53-266. 

  2. 김병곤 외(2009). 트레드밀 전.후방 보행에서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 테이핑적용시 근 활성도 비교.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15(2), 50-62. 

  3. 김은정(2009). 트레드밀과 불안정면에서의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근활성도 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학위논문(석사) 

  4. 김은영 외(2010). 전.후방보행 방법과 트레드밀 각도 변화에 따른 넙다리곧은근과 앞정강이근의 활성 비교.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16(2), 76-81. 

  5. 김지연(2010).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의 운동 역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학위논문(박사). 

  6. 류호열(2009). 경사진 트레드밀 후방보행 훈련이 하지 근력과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7. 류호열 외(2010). 트레드밀 전.후방보행 훈련이 탈진적 운동 수행 전과 후의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8(1), 37-43. 

  8. 문곤성(2004).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하지의 운동 역학적 분석과 근활동의 근전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9. 박성훈(2017). 트레드밀 속도 변화 방법에 따른 뇌 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및 폐 기능 변화. 대전대학교일반대학원 학위논문(석사). 

  10. 박주완 외(2010).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후방보행운동을 통한 넙다리네갈래근 강화와 요통의 관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8(1), 47-55. 

  11. 박치복(2016). 속도가 다른 트레드밀 훈련이 다리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2), 363-370. 

  12. 배성수(2015). 고유수용성 신경촉진법에서 CPG를 이용한 뇌손상자 보행훈련 전략.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7(1), 13-24 

  13. 한동기(2002).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 및 청소년의 등속성 근력과 보행 형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한상완(2005).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전방 걷기와 후방 걷기동안 넙다리네갈래 근 활도성비교: 표면 근전도 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2(1), 63-70. 

  15. Bruce H. Dobkin(2004). Neurobiology of Rehabilitaion, Ann N Y Acad Sci. 1038(1), 148-170. 

  16. Dobkin, B.H. (2004).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Neurology, 3, 528-3, 536. 

  17. Eilam D, Adijes M, Vilensky J. (1995). Uphill locomotion in mole rats: a possible advantage of backward locomotion, Physiology & behavior, 58(3), 483-489. 

  18. Flynn T. W, Soutas-Little R. W. (1995). Patellofemoral joint compressive forces in forward and backward running.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1(5), 277-282. 

  19. Hogrel, J. Y. (2005). Clinical applications of surface electromyography in neuromuscular disorders. Neurophysiologie Clinique, 35(2-3), 59-71. 

  20. Kramer J. F. & Reid D. C. (1991). Backward walking: a cinematogrphic and eletromyographic pilot study. Physiother Cn, 33, 77-86. 

  21. Lee, S.J., Hidler, J. (2008). Biomechanics of overground vs. treadmill walking in healthy individual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4(3), 747-755. 

  22. Mackie J.W., Dean T.E. (1984). Running backward training effects on upper leg musculature and ligamentous instability of injured knee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6(2), 151. 

  23. Patla: AA. (1995).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obility problem in the elderly Mosby. 

  24. Threlkeld AJ, Horn TS, Wojtowitez GM, Rooney JG, Shapiro R. (1989). Kinematics, ground reaction force, and muscle balance produced by backward running. J Orthop sports Phys Ther, 11(2), 56-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